[텐아시아=노규민 기자]
배우 송강호와 박해일이 ‘살인의 추억’ ‘괴물’에 이어 세 번째로 호흡을 맞췄다. 송강호는 세종대왕으로, 박해일은 신미 스님으로 열연했다. 한글 창제 과정의 숨은 이야기를 펼쳐낸 영화 ‘나랏말싸미’에서다. 최근 삶을 마감한 하늘의 별이 된 고(故) 전미선의 유작이기도 하다.
15일 오후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나랏말싸미’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배우 송강호, 박해일과 조철현 감독이 참석했다.
‘나랏말싸미’는 세종과 한글 창제 과정에 함께 했으나 역사에 기록되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로 배우 송강호, 박해일, 故(고) 전미선 등이 출연했다.
이날 행사는 고인을 기리는 마음을 담아 차분하고 엄숙하게 이어졌다. 기자 간담회가 시작되기 전 영화사 두둥의 오승현 대표가 무대에 올랐다. 그는 “얼마 전 전미선 배우와 관련해 비보를 접하고 충격에 빠졌다. 영화가 잘 되고 안 되고를 떠나서 고인을 진심으로 애도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오 대표는 “개봉을 연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어서 유족과 이야기를 나눴다”며 “결론적으로 고인의 마지막 모습이 담긴 영화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함께 보고, 그녀를 최고의 배우로 기억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 예정대로 개봉하지만 홍보 일정을 최소화했다. 진심이 왜곡될까봐 조심스러운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감독과 배우들이 무대에 오른 이후에도 고인과 관련한 이야기가 계속됐다. 송강호는 “너무 안타깝고 슬픈일이 있었다. 감독과 스태프, 배우들 모두 슬픔 속에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했다.
이어 송강호는 “극 중 천도재 장면을 찍을 때는 하필 저희 아버님이 돌아가신 날이었다. 그날 촬영을 마치고 빨리 서울에 올라온 기억이 있다”며 “영화를 보면서 이루 말할 수 없는 착잡함이 있었다. 의도치 않았지만 이 영화의 슬픈 운명 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다. 그러나 이 영화가 슬픈 영화가 아니라 슬픔을 딛고 아름다운 이야기로 남을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잡고 있다”고 말했다.
박해일도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함께 촬영하고 식사도 하고 오손도손 얘기도 했다. 과거에 함께 촬영했던 작품 이야기와 ‘나랏말싸미’에 대한 설렘 등을 나눈 게 얼마되지 않았다”며 고인을 떠올렸다. 또한 박해일은 “이 자리에 함께 하지 못해 안타깝다”며 “선배님의 마지막 작품을 함께 해서 너무 영광이다. 보시는 분들도 저희 작품을 따뜻한 온기로 품어줄 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송강호는 글은 백성의 것이어야 한다는 믿음으로 한글 창제를 시작하고 맺은 세종대왕 역을 맡아 열연했다. 그는 “‘사도’의 영조대왕, ‘나랏말싸미’의 세종대왕 모두 실제로 만나보지 못했다. 그 분들은 너무나 오래된 조상님들이다. 아마 우리 스스로 만든 이미지가 존재할 것이다. 많은 드라마,영화 등에서 세종대왕을 담았기 때문에 그 이미지가 차곡차곡 쌓여 있을 것 같다”며 “그런것들을 깨고 창조하는 게 배우의 기본적인 의무라고 생각한다. 물론 관객들에게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 ‘세종대왕’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새롭게 만들어가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세종과 함께 한글을 만든 신미 스님은 박해일이 연기했다. 박해일은 “스님답게 하려고 촬영 들어가기 전부터 많은 것을 준비했다. 머리도 깎고 절에도 다녔다”며 “기존 스님과 특히 다른 점이라면 문자에 능통한 사람이셨다. 산스크리트어도 열심히 배웠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은) 억불정책이 있었던 시대다. 불교가 진리라 믿었던 신미 스님이 신분이 가장 높은 세종을 만나는 태도를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고민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고(故) 전미선은 세종의 약한 모습까지 보듬으며 한글 창제에 뜻을 보탠 소헌왕후를 연기했다. 신미를 세종에게 소개해 문자 창제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인물이다. 고인은 소헌왕후의 기품과 위엄을 절제된 감정선으로 담아내 몰입도를 높였다.
박해일은 “들이마시는 공기처럼 우리가 흔히 쓰는 말을 가지고 영화를 만들어봤다. 관객들이 이 영화를 쉽고 담백하게 받아들이고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송강호는 “너무 안타깝고 슬픈 일을 겪었다. 고인도 고인이지만 세종대왕의 고난의 역사, 외로움의 고통들을 영화관에서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소중한 영화로 기억됐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두둥의 오승현 대표는 최근 출판사 나녹이 제기한 저작권 소송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소송에 휘말려 있다. 영화가 개봉하면 모든 분들이 아시겠지만 ‘나랏말싸미’는 순수 창작물임을 확실히 말씀 드릴 수 있다. 오히려 우리가 그 쪽과 합의를 안 하고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는 중이다”라고 강조했다.
노규민 기자 pressgm@tenasia.co.kr
15일 오후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나랏말싸미’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배우 송강호, 박해일과 조철현 감독이 참석했다.
‘나랏말싸미’는 세종과 한글 창제 과정에 함께 했으나 역사에 기록되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로 배우 송강호, 박해일, 故(고) 전미선 등이 출연했다.
이날 행사는 고인을 기리는 마음을 담아 차분하고 엄숙하게 이어졌다. 기자 간담회가 시작되기 전 영화사 두둥의 오승현 대표가 무대에 올랐다. 그는 “얼마 전 전미선 배우와 관련해 비보를 접하고 충격에 빠졌다. 영화가 잘 되고 안 되고를 떠나서 고인을 진심으로 애도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오 대표는 “개봉을 연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어서 유족과 이야기를 나눴다”며 “결론적으로 고인의 마지막 모습이 담긴 영화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함께 보고, 그녀를 최고의 배우로 기억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 예정대로 개봉하지만 홍보 일정을 최소화했다. 진심이 왜곡될까봐 조심스러운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송강호는 “극 중 천도재 장면을 찍을 때는 하필 저희 아버님이 돌아가신 날이었다. 그날 촬영을 마치고 빨리 서울에 올라온 기억이 있다”며 “영화를 보면서 이루 말할 수 없는 착잡함이 있었다. 의도치 않았지만 이 영화의 슬픈 운명 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다. 그러나 이 영화가 슬픈 영화가 아니라 슬픔을 딛고 아름다운 이야기로 남을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잡고 있다”고 말했다.
박해일도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함께 촬영하고 식사도 하고 오손도손 얘기도 했다. 과거에 함께 촬영했던 작품 이야기와 ‘나랏말싸미’에 대한 설렘 등을 나눈 게 얼마되지 않았다”며 고인을 떠올렸다. 또한 박해일은 “이 자리에 함께 하지 못해 안타깝다”며 “선배님의 마지막 작품을 함께 해서 너무 영광이다. 보시는 분들도 저희 작품을 따뜻한 온기로 품어줄 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세종과 함께 한글을 만든 신미 스님은 박해일이 연기했다. 박해일은 “스님답게 하려고 촬영 들어가기 전부터 많은 것을 준비했다. 머리도 깎고 절에도 다녔다”며 “기존 스님과 특히 다른 점이라면 문자에 능통한 사람이셨다. 산스크리트어도 열심히 배웠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은) 억불정책이 있었던 시대다. 불교가 진리라 믿었던 신미 스님이 신분이 가장 높은 세종을 만나는 태도를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고민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고(故) 전미선은 세종의 약한 모습까지 보듬으며 한글 창제에 뜻을 보탠 소헌왕후를 연기했다. 신미를 세종에게 소개해 문자 창제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인물이다. 고인은 소헌왕후의 기품과 위엄을 절제된 감정선으로 담아내 몰입도를 높였다.
송강호는 “너무 안타깝고 슬픈 일을 겪었다. 고인도 고인이지만 세종대왕의 고난의 역사, 외로움의 고통들을 영화관에서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소중한 영화로 기억됐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두둥의 오승현 대표는 최근 출판사 나녹이 제기한 저작권 소송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소송에 휘말려 있다. 영화가 개봉하면 모든 분들이 아시겠지만 ‘나랏말싸미’는 순수 창작물임을 확실히 말씀 드릴 수 있다. 오히려 우리가 그 쪽과 합의를 안 하고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는 중이다”라고 강조했다.
노규민 기자 pressgm@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