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손예지 기자]
자이언티 / 사진제공=더 블랙 레이블
자이언티 / 사진제공=더 블랙 레이블
“이번 앨범은 ‘OO’, ‘오오’라고 읽어요. 숫자 ‘영영’이라고 읽어도 상관없어요. 동그란 머리 두 개일 수도 있고, 삶은 계란 두 개일 수도 있어요. 마음대로 읽으셔도 돼요.”

지난 1일 가수 자이언티의 신보가 나왔다. 1년여 만이다. 타이틀은 ‘OO’. 동그라미 두 개의 의미를 궁금해 하는 이들이 많았다. 자이언티는 자신을 상징하는 아이템이 된 안경과 시각, 밴다이어그램의 교집합 등을 생각하며 타이틀을 지었다고 답했다. 그러나 그 외에도 많은 뜻이 있을 수 있고 또 어떻게 해석해도 좋다는 말을 덧붙였다.

자이언티에게 음악은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이고, 거기서 비롯된 사고를 표현하는 창이며,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하나의 맞닿음이다. 때문에 그는 음반의 타이틀도, 또 곡마다 가사의 의미도, 들어주는 이에게 해석을 맡겼다. 공감하는 이가 있다면 감사한 일이고, 혹여 오해가 생긴다면, 그것은 또 다른 음악으로 풀면 될 일이다.

10. 1년여 만에 컴백했다. 타이틀곡 ‘노래’가 공개 당일부터 음원차트 1위를 석권했다.
자이언티: tvN ‘도깨비’ OST가 그동안 1위였고, 또 레드벨벳이 같은 날 컴백했다. 긴장을 많이 했다. 반응이 좋아서 정말로 기쁘다. 타이틀곡도 좋지만 수록곡도 좋아해주셨으면 좋겠다. 성적 때문이 아니라 이번 앨범을 같이 느껴주셨으면 좋겠는 마음이다.

10. 나오는 곡마다 음원차트를 올킬하니, 많은 사람들이 자이언티를 ‘음원강자’ 혹은 ‘음원깡패’라고 부른다.
자이언티: 깡패라는 말은 무서운 것 같다. 저는 과격한 사람이 아니다.(일동 웃음) 음원 성적이 좋아 ‘음원강자’라고 불러주시는 건 칭찬이다. 부담이 되기보다 음악을 창작하는 데 좋은 소스로 작용했으면 좋겠다.

10. ‘양화대교’, ‘꺼내먹어요’, ‘머신 건’ 그리고 ‘노래’까지, 내는 음악마다 성적이 좋은 비결이 있을까?
자이언티: 음악 작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완성도다. 좋은 아이디어, 좋은 컨디션, 좋은 장비도 중요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가진 것 안에서 가장 완성도 있는 곡을 만드는 것이다. 이번 앨범도 그래서 최선을 다했다. 나중에 자식들도 듣지 않겠나. 그런 마음으로 만들었다.

10. 새 앨범 타이틀이 ‘OO’다. 의미를 자세히 설명해 준다면?
자이언티: 이번 앨범은 ‘OO’, ‘오오’라고 읽는다. 숫자 ‘영영(00)’이라고 읽어도 상관 없다. 저의 상징이자 아이덴티티인 안경이 첫 번째 의미다. 두 번째는 저의 시야와 시각을 담았다는 의미다. 지금까지 음악을 만들며 가장 중요한 소스가 된 부분이다. 세 번째는 저와 대중이 교감할 수 있는 교집합이 음악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벤다이어그램의 교집합을 상징한다. 다른 의미도 있다. 사람 머리 두 개, 삶은 계란 두 개일 수도 있다. 마음대로 읽으셔도 된다.

10. 앨범에 대해 설명해 달라.
자이언티: 사소하고 작은 것들부터 큰 감정들까지 다 담고 있는 앨범이다. 앨범 소개를 스스로 적어보려고 했는데 딱 한 줄 쓸 수 있었다. ‘최근의 생각들을 담았다.’ 지금을 살고 있는 자이언티가 담긴 앨범이라 의미 있다.

10. 자이언티는 요즘 어떤 생각을 하나? 타이틀곡 ‘노래’를 들으면 사랑에 빠진 것도 같다.
자이언티: 앨범에 여러 내용이 있다. 사랑 이야기도 있고 사람의 어두운 면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한다. ‘나쁜 놈들’이라는 트랙에서는 제 입으로 제가 ‘부자가 되고 싶다’라고 한다. 저만의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돈을 많이 벌고 싶다는 표현이 아니라, 사람의 욕심은 아무리 채워도 끝이 없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다. 이렇게 제가 본 사람들의 인상, 느낌 같은 것들이 영감이 되기도 했다.

10. ‘노래’의 가사가 화제를 모았다. ‘이 노래가 유명해지지 않았으면 한다’는 가사가 있지 않나. 유명인으로서 느끼는 고충 같은 게 담긴 걸까?
자이언티: 그렇게 느끼실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을 지금 했다.(웃음) 그런 생각은 전혀 없었다. 전적으로, 그 가사는 농담이다. 유명해져야 된다.(일동 웃음) 재미있으라고 쓴 가사다. 사실 반은 농담이고, 반은 이런 생각이 들었다. 어쩌다 보니 제가 자전적인 가사를 쓰는 가수가 됐다. 제가 결코 말하고 싶지 않았던, 혼자만 알고 있던 이야기들을 하면서 유명해졌다. ‘양화대교’에서는 아버지의 직업, 가정환경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나 혼자 쓰는 일기장이 사람들한테 알려진 것과 비슷하다. 덕분에 사람들에게 알려졌고 성공했고 돈을 벌었다. 기쁘지만 동시에 내 감정이 드러나는 게 부끄럽고 낯 뜨거웠다. 이런 감정들이 노래에 묻어났다.

10.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다는 게 또 다른 불편함을 수반하기도 한다.
자이언티: (인터뷰 당시 자이언티는 안경을 쓰지 않은 상태였다) 지금 제 얼굴을 보시면 못 알아보지 않겠나. 실제로도 못 알아보신다. 안경을 벗고 다니면 (한국이) 거의 뉴욕이다. 아무도 신경 안 쓴다. 안경을 끼고 다니면 사람들이 몰리다가, 벗으면 물러나신다.(일동 웃음) 그게 문제가 아니라, 유명해지면서 따라오는 제약들이 분명 있다. 자유라는 게 소망이자 콤플렉스가 된 것 같다.

자이언티 ‘OO’ / 사진제공=더 블랙 레이블
자이언티 ‘OO’ / 사진제공=더 블랙 레이블
10. 수록곡 ‘콤플렉스(Complex)’ 이야기를 해 보자. 빅뱅 지드래곤이 피처링했는데, ‘내가 아이돌이었음 좋겠어. 춤 잘 추고 잘생긴 놈(중략)’이라는 가사가 일부 대중 사이서 논란이 됐다. 아이돌을 비하하는 게 아니냐는 것이 논지였다.
자이언티: 특히 아이돌 팬덤에 속한 분들이 화를 내시는 것 같았다. (작업하면서) ‘그런 의도로 들으시지 않겠지’라고 생각했는데, 그렇게(비하의 목적으로) 들으시는 분들이 많더라. 일단, 저는 아이돌을 비하할 이유가 전혀 없다. 아이돌 분들이 그렇게 오랜 시간 연습해 희박한 경쟁률을 뚫고 무대에 오르는 것을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그 가사를 쓴 이유는 일단 지용이 형(지드래곤)과 주고받는 가사를 쓰면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지용히 형을 나타내는 키워드 중 하나가 아이돌이지 않나. 제가 실제로 아이돌이 되고 싶다거나 열등감을 가지고 있어서가 아니라, 가사의 다른 부분에 나오는 키나 체중 이야기처럼 콤플렉스는 상대적인 것에서 온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다. ‘콤플렉스’가 힙합 트랙이다 보니 표현이 과격해진 것도 있다. 물론 해석은 해석하는 이의 자유다. 그렇지만 비하의 의도가 아니었다는 것은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다.

10. ‘콤플렉스’에는 대표곡 ‘양화대교’ 이야기도 나온다. ‘전화 좀 그만했으면 좋겠어. 특히 너네 양화대교 지나갈 때’가 그것이다.
자이언티: 지금은 제가 시큰둥하게 대해서 잠잠해졌는데 전화가 정말 많이 왔다. 새벽 2시, 5시에 전화가 온다. 받으면 일단 ‘양화대교’ 노래가 나오고 있다.(일동 웃음) 술에 취해서 “야, 왜 ‘양화대교’냐”고 한다. 그럼 “어쩌라고”라는 말 밖에 할 게 없다. 꼭 옆에 있는 자기 친구가 팬이라면서 바꿔주고, 그럼 잠결에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했다. 그래서 그런 가사를 쓰게 됐다. 당사자들이 상처받을 수도 있는데… 상관 없다.(웃음)

10. 동시에 ‘그 다리가 뭔 상관인데’라는 가사도 나온다.
자이언티: ‘그 노래’가 아니고 ‘그 다리’다. ‘양화대교’는 저의 인생 곡이라고 할만큼 소중한 노래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양화대교’에 저를 가둬 보시는 분들이 있다. 저는 다양한 표현과 음악을 하고 싶은데, ‘양화대교’ 때가 좋았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다. 사람이 항상 같을 수 없지 않나. 저는 계속 달라지고 변화하기 때문에, ‘양화대교’가 저에게 콤플렉스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 가사는 나름대로 펀치라인이라고 생각하며 썼다.

10. ‘코미디언’이라는 곡도 인상적이다.
자이언티: 2012년에 쓴 곡이다. 당시 대중에 이름이 알려지기 전이었다. 그럼에도 그런 생각을 했다. 사람들이 타인을 판단할 때, 단지 몇 장의 사진, 혹은 직업, 이미지로 판단해도 되는 것인가. 그것만으로 어떻게 사람을 다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나. 그때의 생각이 지금도 와 닿더라. 코미디언은 희극인이다. 무슨 말을 해도 웃겨야 하는 사람이다. 그가 정말 진지하고 중요한 이야기를 해도 사람들이 웃을 때가 있을 거다. 비단 코미디언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모든 사람들의 이야기다.

10. 자이언티를 가두고 있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자이언티: 대중가요를 만들게 됐다는 것. 대중가수가 되어 행복하다. 사람들이 제 노래를 좋아하는 것, 상상하지도 못했던 일이다. 하지만 저는 창작할 때 행복하다. 그만큼 다양한 표현과 이야기를 하고 싶다. 대중가수, 저는 공감하지 않는 표현이지만 공인으로 불리면서 제 창작물에 대한 호불호를 신경 쓰게 됐다. 표현의 창구가 더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언젠가 음반 외에 다른 창구를 통해 영역을 넓히고 싶다는 생각도 한다.

손예지 기자 yejie@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