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임휘준 인턴기자]
주한 미군이 서울 용산기지에서 탄저균 실험을 16차례에 걸쳐 실시했던 사실이 밝혀져 논란을 일으키는 가운데 탄저균에 대한 궁금증 또한 증폭되고 있다.
탄저균은 탄저병을 일으키는 생물학무기로 탄저균 포자에서 생성되는 독소가 혈액 내의 면역세포에 손상을 입혀 쇼크를 유발시키고 급성 사망을 유발시킨다. 흔히 감염된 동물의 사체나 오염된 토양을 통해 피부나 호흡기감염이 되며 전염성이 강하고 일광이나 가열, 소독 등에도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오염 시에는 모두 소각하거나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특히, 탄저균의 포자는 땅 속에 묻은 시체에서도 몇 년간 생존한다.
탄저균이 생화학무기로 등장한 이유는 감염 후 하루 안에 항생제를 다량 복용하지 않으면 80% 이상이 사망에 이를 정도로 살상능력이 뛰어나고 탄저균 100kg로 100~300만 명을 죽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1메가톤의 수소폭탄에 맞먹는 살상규모이다. 또한 보관과 이용이 편리해 공격 시에 유리하다.
17일 한·미 공동으로 구성된 합동실무단은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서 주한미군 오산기지 탄저균 배달 사고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발표내용으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주한 미군은 용산기지에서 15차례의 사균화된 탄저균 검사용 표본을 들여와 실험했으며 교육훈련도 진행했다.
임휘준 인턴기자 sosukehello@
사진. YTN 영상캡처
탄저균은 탄저병을 일으키는 생물학무기로 탄저균 포자에서 생성되는 독소가 혈액 내의 면역세포에 손상을 입혀 쇼크를 유발시키고 급성 사망을 유발시킨다. 흔히 감염된 동물의 사체나 오염된 토양을 통해 피부나 호흡기감염이 되며 전염성이 강하고 일광이나 가열, 소독 등에도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오염 시에는 모두 소각하거나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특히, 탄저균의 포자는 땅 속에 묻은 시체에서도 몇 년간 생존한다.
탄저균이 생화학무기로 등장한 이유는 감염 후 하루 안에 항생제를 다량 복용하지 않으면 80% 이상이 사망에 이를 정도로 살상능력이 뛰어나고 탄저균 100kg로 100~300만 명을 죽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1메가톤의 수소폭탄에 맞먹는 살상규모이다. 또한 보관과 이용이 편리해 공격 시에 유리하다.
17일 한·미 공동으로 구성된 합동실무단은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서 주한미군 오산기지 탄저균 배달 사고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발표내용으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주한 미군은 용산기지에서 15차례의 사균화된 탄저균 검사용 표본을 들여와 실험했으며 교육훈련도 진행했다.
임휘준 인턴기자 sosukehello@
사진. YTN 영상캡처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