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반의 기다림. ‘한국형 범죄수사물’의 기준점을 제시하겠다던 그들에게는 짧지만 밀도 깊은 시간이었고, 팬들에게는 정말 애가 타는 시간이었다. 4년 반의 준비기간을 거쳐 탄생한 < TEN > 시즌 1은 ‘수사물=미드’라는 공식을 깨뜨리고 ‘케이블 드라마’의 수준을 끌어올린 수작이었다. 4월 10일 상암 CGV에서 열린 제작발표회에선 이러한 기대를 반영하기라도 하듯 취재열기가 뜨거웠고, 전작의 ‘성공 신화’를 등에 진 주연배우들의 얼굴은 붉게 상기됐다.
“진짜가 나타났다!”
ADVERTISEMENT
‘한국적인 수사물’의 영역을 창조해내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 봐야할 부분이다. 미드에서나 나올 법한 화려한 화면 구성과 다채로운 효과들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한국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인물들의 감정선을 강조하는 영리함도 엿 보인다. 개별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에 매몰되지 않고, 피해자의 감정 혹은 피의자라 할지라도 이유 있는 범행처럼 느껴지게 하는 치밀한 감정선의 구성은 < TEN >만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그들은 왜 자리를 비워두어야 했을까?
ADVERTISEMENT
아예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간간히 모습을 보이던 ‘수사물’ 드라마들은 그 존재의 흔적조차 희미하다. 그 만큼 임팩트 있는 작품이 없었다는 얘기다. 영화판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드라마 영역에서도 전형적인 ‘한국적인 드라마’가 존재한다. 눈 밑에 점을 붙이고, 삼각도 모자라 사각 오각 관계를 형성하고, 알고 보니 너와 나는 배다른 형제였다는 그런 식의 이야기. 그간 방영된 범죄수사물 또한 이러한 ‘일반화의 오류’를 벗어나지 못했었다. 복잡해진 콘텐츠만큼이나 똑똑해진 대중들에게, “한번만 더 믿고 봐주십쇼!”하는 ‘방송가의 클리셰’가 결례처럼 느껴지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범죄 수사물계의 드림팀’, 비상할 준비를 마치다
ADVERTISEMENT
<별책부록: TEN에 대한 이모저모>
- 극 중 남예리(조안)에게 붙이는 청테이프 뒷면에는 거즈를 ‘한 장’ 덧댄다는 사실! 그런데 피해자 사진에 나온 소품사진 촬영 때는 테이프를 그대로 사용해서 보조출연자 중에는 머리카락까지 잘라낸 사람도 있었다는데……. 조안의 한 마디.“죄송해요. 제가 공식적으로 사과드릴게요.”
ADVERTISEMENT
- 지난 시즌, 소나기가 내릴 때 네 명이 한 화면에 등장하는 장면은 시즌 1의 영상미의 절정을 보여준 컷 중 하나! 아니, 그런데 전화박스가 도로위에 있는 건 옥에 티 아닌가요? 이승영 감독의 한 마디. “그대로 두려니 아무리해도 앵글이 안 잡히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대놓고 찍자했죠. 하하”
- 조안의 청테이프 장면이 연기가 아니라면? 조안은 실제로 폐쇄공포증이 있기 때문에 촬영 때 정말 겁에 질려서 힘들어 했다는 후문. 조안 의 한마디. “눈물, 콧물 다 쏟았어요. 이번엔 아주 제대로 저의 쌩얼을 보실 수 있을 거예요.”
ADVERTISEMENT
- 4·5부에서 비 오는 날인데도 질주하는 장면을 촬영했다는 이승영 감독. 의도한 것도 있지만 하늘이 내린 기회라는 생각이었다고. 또한 세상의 끝에서 만난 ‘F’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 CG와 헬기촬영은 물론 프리즘 프레임을 사용했다는데……. < TEN >하면 역시 영상미죠!
글.김광국 realjuki@tenasia.co.kr
편집.홍지유 jiyou@tenasia.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