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004020) - 변동성 축소 국면 진입, 매수(Buy)...대신증권 - 투자의견 : Buy [매수, 유지] - 목표주가 : 137,000원 (하향) ● 눈높이를 낮춰 목표가격을 13.7만원으로 하향하나 점차 매수해야 할 시점 8월 이후 원/달러 환율상승과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로 주가가 급락세를 보였던 현대제철에 대해 매수해야 할 때라고 판단된다. 그 이유는 1) 환율 상승에 따른 실적 악화를 감안해도 올해 예상 PER이 6배로 저평가된 것으로 분석되며, 2) 향후 환율이 추가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일시적일 것이고 이것이 현대제철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또한 3) 곧 발표할 3분기 실적에 대한 악화 우려는 이미 주가에 거의 반영됐다고 보고 이제는 4분기 실적을 반영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4) 국내외 철강가격은 점차 재고조절을 거친 후 빠르면 12월, 늦으면 내년 3월부터는 회복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목표주가는 종전보다 17% 하향 조정한다. 올해와 내년 순이익을 각각 30%, 15%씩 하향 조정하기 때문이다. 목표주가 13.7만원은 향후 Foward EPS 13,770원의 PER 10배 수준이다. ● 3분기 예상외 판매량 저조와 단가 회복 미흡으로 매출액 및 영업이익 시장 컨센서스 하회 전망 현대제철의 3분기 실적은 당초 예상보다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3분기 판매량이 당초 계획인 400만톤을 10만톤 정도 하회한 390만톤으로 추정되며(철근 공급 중단때문), 9월부터의 환율 상승에 따른 재료비 상승과 제품단가 인상 미흡 때문이다. 이에 따라 3분기 매출액은 전분기대비 7.7% 감소한 3조 7,396억원으로 추정되며,영업이익은 전분기대비 26.8%감소한 2,996억원으로 전망된다.(시장컨센서스: 매출액 3조 8,741억원, 영업이익 3,303억원) 순이익은 달러부채 39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업외수지 부문에서 외환손실(외환차손익+외화환산손익)이 3천억원 내외 나타나면서 소폭의 적자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 환율이 10원 상승할 경우 연간 640억원의 세전이익 감소 영향 분석 현대제철의 향후 실적은 원/달러 환율의 안정과 현재 인상 시도 중인 철근 및 핫코일가격의 시장 반영 정도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현대제철은 제품수출액보다 원료수입액이 연간 24억달러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외화부채를 39억달러 보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경우 원/달러 환율이 10원 상승할 경우 연간 250억원의 영업이익 감소 영향이 있고, 390억원의 외화환산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만약 환율 상승이 지속되면 4분기 재료비 증가와 외환손실 추가 발생으로 인해 실적 악화가 지속되겠지만 환율이 급등 후 다시 하향안정세를 보이면 현대제철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건설업계와 마찰이 있는 철근가격은 국내 철근 재고가 여타 제품에 비해 빠르게 조절 중이고, 최근 환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 철근이 줄어들면서 수입 철근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보여 국내 철근 판매량 및 가격 회복도 점차 나타날 전망이다. 제강사가 제시하는 톤당 5만원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톤당 2~ 3만원은 인상 가능할 전망이다. 한편 핫코일가격도 동부제철과 포스코가 가격 할인 축소(각각 3만원, 2만원)를 발표하였고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가격 상승으로 점차 소폭이나마 상승할 전망이다. 최근 약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 철강 유통가격도 중국 국경절 이후 재고조절 진행으로 빠르면 12월 이후 회복될 전망이다. ● 향후 환율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을 소폭이나마 제품가격 인상에 반영하고 고로 원료가격 안정 등으로 전체 영업이익률은 8~ 9% 보일 전망 현대제철의 4분기 실적은 성수기와 수출 중심의 판매량 증가(전분기대비 10.2% 증가한 430만톤), 그리고 제품단가 회복(환율 상승에 수입산 가격 상승으로) 속에 12월부터 저가의 4분기 협상 원료 투입(4분기 철광석(분광) 협상가격: 전분기대비 2달러 하락한 $167/톤, 강점탄 가격: 30달러 하락한 $285/톤)등을 감안, 매출액은 전분기대비 17% 증가한 4조 3,874억원, 영업이익은 37% 증가한 4,103억원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매출액은 15조 7,258억원, 영업이익은 1조 4,281억원, 순이익은 9,116억원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종전에 비해 각각 5.5%, 30%씩 하향 조정하는 것이다. 2012년에는 연평균 환율을 1,100원/$으로 전제하고 판매량은 올해 수준인 1,640만톤, 원료가격은 현재와 큰 변화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16조 1,135억원, 1조 5,516억원, 1조 2,150억원으로 전망된다. 이는 종전대비 각각 10%, 15%씩 하향 조정하는 것이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