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경제] 뚜렷한 회복신호 확인에는 시간 필요...대우증권 : 당분간 정부정책과 설효과로 경제지표 변동성 확대 전망 ■ 12월 산업생산 예상보다 부진. 1~2월은 재고조정과 설 효과로 산업생산 변동성 확대 전망 * 12월 산업생산은 전월비 3.9%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2.3% 증가에 그침 - 주력산업(반도체 및 영상음향 통신, 그리고 와 자동차)의 생산 부진이 주된 원인 - 특히 반도체의 경우 전년동월비로 보아 수출이 12월 중 40%의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과는 달리 생산은 10.7%로 크게 낮아짐. 반면 재고 증가 속도는 19.1%를 기록 11월(45.4%)에 비해 크게 낮아짐 - 수출 호조가 산업생산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재고 소진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임 * 기술적으로는 조업일수 감소가 주된 원인이었음 - 12월 조업일수는 24.6일로 05년 12월의 25.7일과 06년 11월의 25.3일보다 감소 - 조업일수 줄어든 효과를 감안했을 경우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비 6.9% 증가 * 07년 1~2월 동안에 재고 조정이 계속되면서 산업활동은 당분간 부진할 전망 - 출하는 2.4%, 재고는 6.4% 늘어나 여전히 재고 조정의 필요성은 남아있는 상황 * 1월과 2월 산업생산은 상승과 하락을 거듭할 전망 - 07년 1월 산업생산은 지난해 설이 1월에 있어 산업생산이 부진했던데 따른 반작용으로 증가율이 다시 높아질 전망. 하지만 자동차 파업효과로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한편 2월에는 설 연휴로 생산활동이 재차 부진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 설 연휴는 짧아 생산 차질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됨 ■ 설비투자 약화 신호 VS 소비 및 건설투자는 견조 * 생산부진의 영향이 반영되며 12월 가동률이 79.7%대로 다시 낮아짐에 따라 설비투자 압력도 동시에 낮아짐 - 그 결과 12월 설비투자 추계지표는 2.1% 증가에 그쳤고, 기계수주는 전년동월대비 4.9% 감소함. 기계수주의 감소는 전력(-52%)을 중심으로 한 공공부문의 수주가 34.1% 감소한 탓이 큼 - 한편 비제조업 기계수주도 전년동월대비 12.8% 줄어들어 향후 설비투자 증가 속도는 완만할 전망 * 설비투자와 달리 건설 및 소비는 견조한 모습 - 건설 기성액이 7.9%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건설수주도 12월에 29.5%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감. 민간부문 건설수주(+35%) 가운데서도 신규주택이 61.8% 늘어나 건설투자 회복을 주도하는 모습 - 최근 정부의 부동산 경기 안정화 정책의 영향으로 건설경기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 같은 수주 추이를 감안할 때 최소한 07년 상반기 동안 건설투자는 성장에 플러스 기여 보일 전망 * 소비는 전년동월비 2.7%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크게 실망할 상황은 아님 - 전월비로 3개월 연속 1%대의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고, 지난 05년 12월의 9.6%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는 부담 때문에 나쁜 실적은 아님. - 비내구재 소비가 전년동월대비 0.1% 감소했으나 내구재 및 준내구재가 각각 6.4%, 3.8%씩 증가 - 이후 부채 부담과 부동산 경기 불안으로 소비가 탄력적 회복을 보이기는 힘들겠지만 유가 하락과 제한적이나마 꾸준한 고용과 소득 증가로 연초 소비는 3% 가량의 플러스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한국 선행지수는 1분기 중 저점 다지는 시간 가질 듯 * 한국 선행지수는 12월 중 전월비 0.4% 높아져, 전년동월비 증가율은 전월과 같은 4.8% 수준을 기록하며 상승 속도가 주춤해진 모습 - 소비심리와 고용환경, 그리고 교역조건과 유동성은 플러스 기여를 했지만 건설수주와 설비투자 관련지표들은 전월비 마이너스 기여를 보임 * 1~2월 중 선행지수는 급등보다는 상승 속도가 다소 둔화되면서 저점을 다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 - 정부의 부동산 경기 안정화 정책 영향으로 총유동성 및 소비심리가 둔화되는 가운데, 주가 부진의 영향으로 선행지수 상승 탄력이 둔화될 전망 - 건설과 설비투자 관련 지표는 급등세로 반전하기 힘들어 중립적인 변수일 것으로 판단 * 다만 재고조정이 1분기 중 완료되면서 전반적인 전체 생산활동이 빨라지면서 설비투자 관련 지표 개선과 교역조건의 상승 효과가 나타날 전망 - 또한 정부의 유동성 억제 정책도 장기화되기는 힘들어 2분기에는 선행지수 상승 흐름이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