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유나의 듣보드뽀》
'너에게 가는 속도 493km' 표기 오류 논란
속도에는 km가 아닌 km/h가 맞는 표현
'너가속' 측 "구어적인 표현, 편하게 불리기 위한 결정이었다"
'너에게 가는 속도 493km' 표기 오류 논란
속도에는 km가 아닌 km/h가 맞는 표현
'너가속' 측 "구어적인 표현, 편하게 불리기 위한 결정이었다"
!['너가속' 메인 포스터./사진제공=블리츠웨이스튜디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BF.29762034.1.jpg)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가 현장에서 듣고 본 사실을 바탕으로 드라마의 면면을 제대로 뽀개드립니다. 수많은 채널에서 쏟아지는 드라마 홍수 시대에 독자들의 눈과 귀가 되겠습니다.
대중에게는 시청률 1%대로 외면받고, 과학자들에게는 제목 오류로 문젯거리 취급을 당하고 있다. KBS2 새 수목드라마가 '너에게 가는 속도 493km' 이야기다.
최근 SBS 예능 '집사부일체'에 출연해 높은 관심을 받은 정재승 교수는 지난 25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세상에나. 이 드라마가 만들어지는 동안 'km'을 'km/h'로 표기해야 한다는 걸 제대로 지적한 사람이 없었거나 무시되어 이런 제목이 세상에 나왔다는 게 신기하다"고 지적했다.
tvN 예능 '알쓸범잡2'에 출연 중인 김상욱 교수 역시 자신의 페이스북에 "'너에게 가는 속도 493km'는 '유재서'(유재석), '알씁신자'(알쓸신잡)"이라며 한 끗 차이가 단어의 뜻을 완전히 바꾼다고 일침을 가했다.
![사진=김상욱 교수 페이스북(위), 정재승 교수 인스타그램(아래).](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BF.29762023.1.jpg)
정 교수가 지적한 '속도'와 '속력'에 대해서는 '너에게 가는 것'이라는 문구에 방향성이 내포되어 있어 속도라고 표현해도 완전히 이상한 뜻이 되지는 않는다. 이에 드라마 제목은 '너에게 가는 속도 493km/h' 혹은 '너에게 가는 속도 시속 493km'라고 하는 게 맞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과학자들의 문제 제기가 너무 예민하다는 반응도 보였다. '시적 허용'으로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음에도 걸고넘어지는 게 불편하다는 의견이었다. 정 교수 역시 "'시적 허용'으로 이해해주자는 의견도, 시속인지 초속인지 과학적 '열린 결말'이라는 의견도 주셨지만"이라고 하면서도 "전 접수가 안 되네요"라고 말했다.
!['너가속' 조웅 감독, 배우 박주현, 채종협/사진제공=KBS](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BF.29762043.1.jpg)
이러한 잡음을 일으킨 드라마 제목 속 '493km'는 말레이시아의 배드민턴 선수 탄분헝 선수가 친 비공식 스매시 세계 신기록으로, 너에게 가는 속도가 그만큼 빠르다는 은유적 의미를 담았다. 실제 탄분헝은 일본 사이타마현의 소카시에 위치한 체육관에서 '493km/h'를 기록하며 2013년 5월 '가장 빠른 배드민턴 스매시' 기네스북에 오른 바 있다.
!['너가속' 스틸컷./사진제공=블리츠웨이스튜디오](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BF.29762071.1.jpg)
작품 내용보다 제목으로 더 큰 이슈를 낳는 '너가속'이 초반 부진을 딛고 일어날 수 있을까. 현재 상황으로는 그럴 가능성이 매우 낮아 보이는 게 현실. '너가속'이 16부작이라는 긴 경기를 무사히 마치기만을 바랄 뿐이다.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 youyou@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