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1994' 스틸
'응답하라 1994' 스틸
tvN ‘응답하라 1994′ 속 신촌하숙집에는 경상남도 사천시 남부의 도심지역을 일컫는다는 곳, 아득한 바다마을 삼천포에서 온 삼천포(김성균)도 살고, 갈대가 기가 막히게 아름다운 전라남도 순천(순창 아님!)에서 온 해태(손호준)도 살고, 한국의 나폴리라 불리는 전라남도 여수에서 온 정대만(도희)도 산다. 그리고 구수한 충청북도에서 온 빙그레(바로)도 있다. 무엇보다 경상남도 마산에서 온 나정이(고아라)와 쓰레기(시레기라고도 불림, 정우)도 신촌하숙집에서 살아가고 있다.

좁디좁은 한반도 땅덩이에 이렇게 많은 언어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신촌하숙집의 아침, 저녁 상 앞에 모인 이들은 다양한 사투리를 소화하는데. 이곳에서만큼은 깍쟁이 서울사람이 낄 자리가 없을 정도다. 그래서 준비한, 사투리 활용설명서.

“자막을 입혀주세요!”라고 간곡히 청하는 일부 서울사람들을 위해 신촌하숙의 ‘유행어(?)’들의 활용법을 소개해보겠다.

칠봉이 나정의 ‘맞나?’에 폭소를 터뜨리게 되는 장면
칠봉이 나정의 ‘맞나?’에 폭소를 터뜨리게 되는 장면
칠봉이 나정의 ‘맞나?’에 폭소를 터뜨리게 되는 장면

1. 맞나? (서울어 번역 : 맞아? 정말이야?)
: ‘서울남자’ 칠봉이(유연석)를 웃게 만든 바로 그 대사! 해태를 짜증나게 만든 바로 그 대사! 바로 ‘맞나?’.

경상도 마산에서 온 나정이와 경상도 삼천포에서 온 삼천포를 비롯해, 나정이의 엄마(이일화)가 즐겨쓰는 말이다.

활용법) 상대가 어떤 말을 할때 추임새 정도로 넣는 말인데. 건성으로 대답할 경우 맞.나.로 짧게 하고, 반응에 영혼을 불어넣어 할 때는 ‘맞’에 강세를 넣고 ‘나~’를 길게 빼면 된다. ‘맞!나~’. 그래서 경상도 사람이 ‘맞.나’라고 말할 때는 굳이 ‘어! 맞어!’라거나 ‘아니. 맞지는 않아’라고 대답을 하면 안된다. 대답하면 서로 어색해지거나 맞는다.

예) 친구와 대화할 때

A : 야, 그거 알아? 어제 전공 시험에서 나 A+ 떴어!
B : 맞나?

A : 야야야야, 너 그거 아니? 옆 반에 민호랑 신혜랑 드디어 사귄다더라!
B : 맞!나~~

TIP) 어른에게는 ‘맞나’라고 대답하면 안된다. 존대어 버전은 ‘맞습니까?’ 내지는, ‘그렇습니까?’ 정도다.

전라도와 경상도가 만나 싸움이 붙었다. 경상도는 “쫌”이라는 말로 금지를 표하기도 한다
전라도와 경상도가 만나 싸움이 붙었다. 경상도는 “쫌”이라는 말로 금지를 표하기도 한다
전라도와 경상도가 만나 싸움이 붙었다. 경상도는 “쫌”이라는 말로 금지를 표하기도 한다

2. 쫌! (= 와 이라노! 서울어 번역 : 그만해, 하지마! 혹은 아, 왜 이러니? 정말!)

활용법) 금지를 뜻할 때나 짜증을 내고 싶을 때 언제나 쓸 수 있는 말이다. 간혹 PLEASE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예) 시레기같은 오빠와 대화할 때

A : 나정아, 쫌(=PLEASE) 와바라. 1분만! 급하다!
B : 야, 니 쫌! (= 그만해라의 의미)

새벽부터 일어나 동생 대신 밥을 짓고, 설거지까지도 해주는 오빠 “놀믄 모하노”를 로맨틱한 말로 만들었다
새벽부터 일어나 동생 대신 밥을 짓고, 설거지까지도 해주는 오빠 “놀믄 모하노”를 로맨틱한 말로 만들었다
새벽부터 일어나 동생 대신 밥을 짓고, 설거지까지도 해주는 오빠 “놀믄 모하노”를 로맨틱한 말로 만들었다

3. 놀믄 모하노 (서울어 번역 : 놀면 뭐하겠어, 그냥 내가 할게)

활용법) 상대를 위해 뭔가를 해주고 싶을 때, 하지만 생색을 내고 싶지 않을 때 시크하게 사용하면 된다.

예) 연인과 대화할 때

A : 어머, 정말 오빠가 이걸 다 준비한거야? 대박이다! 나 감동받았어!
B : 놀믄 모하노.

TIP) 존대어 버전은 ‘놀믄 뭐합니까’라고 하면 된다.

전라도와 경상도가 다 모인 신촌하숙, 서로 의사소통이 안 될 때도 있다
전라도와 경상도가 다 모인 신촌하숙, 서로 의사소통이 안 될 때도 있다
전라도와 경상도가 다 모인 신촌하숙, 서로 의사소통이 안 될 때도 있다

4. 천지 삐까리가 (서울어 직역 : 천지에 널려있니? 의역 : 많아? 혹은 흔해?)

활용법) 어떤 사물이나 상황이 많은지 혹은 흔한지 재차 확인할 때 쓰면 된다.

예) 고향이 서로 다른 친구와 대화할 때

A : 야, 너 삼천포에서 왔으면 생선은 진짜 많이 먹었겠구먼.
B : 어. 맞다. 삼천포에는 생선반찬이 천지삐까리다.

부록) 경상도와 전라도의 싸움의 기술

‘응답하라 1994′의 2편 ‘우린 모두 조금 낯선 사람들’ 편에 등장한 삼천포와 해태의 싸움을 다시 들어보자.

삼천포 : 우와, X낀 놈이 썽낸다 카드만 고만 키보드로 입을 조 잡아 째뿐다.
해태 : 뭐라고? 야, 너 돌이킬 수 없는 실수하지마라. 캄캄하다고 눈에 비는 게 없냐 지금?
삼천호 : 니나 하지마라 돌이킬 수 없는 실수.
해태 : 눈깔 확 뽑아다가 깍두기랑 오독오독 씹어볼랑까.
삼천호 : 우와 니 말 진짜 무섭게 하네. 니 싸움 좀 잘하나? 싸움 좀 잘 한다고 이렇게 함부로 해도 되는 거가.
해태 : 그만해라. 내가 돌이킬 수 없는 실수 하지말라 했다. 슬슬 올라온다, 나 지금.
삼천호 : 올라온나. 올라온나. 마, 밑에 사람 다 올라와가지고 극정 끼처 드리면 진짜 좋겠네.
해태 : 걱정! XX야, 걱정!
삼천포 : 그래 극정, 말귀도 못 알아듣나.
해태 : 말도 못하는 XX랑 뭐하고 있는지 모리겠네.

:: 밑줄 친 문장을 분석해보면, 경상도는 상대를 협박할 때 잔인한(?) 행위를 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에 방점을 두고, 전라도는 그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으로 상대를 협박한다. 서울 사람이 봤을 때 둘 다 무서운데 이런 미묘한 차이 탓에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서 서로를 무섭다고 말하는 삼천포와 해태. 그래도 결국은 다 같은 사람이다. 삼천포와 해태는 이 싸움을 계기로 둘도 없는 단짝이 된다.

글,편집. 배선영 sypova@tenasia.co.kr
사진. tvN 방송화면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