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tvN 제공
사진=tvN 제공
tvN 월화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이하 '선업튀')의 대본을 집필한 이시은 작가가 작품의 결말에 관해 솔직하게 이야기하며 눈길을 끌었다.

윤종호 감독, 김태엽 감독, 이시은 작가 지난달 31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텐아시아와 만나 '선업튀'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선업튀'는 삶의 의지를 놓아버린 순간, 자신을 살게 해줬던 유명 아티스트 '류선재'(변우석 분). 그의 죽음으로 절망했던 열성팬 '임솔'(김혜윤 분)이 최애를 살리기 위해 시간을 거슬러 2008년으로 돌아가는 타임슬립 구원 로맨스다.

'선업튀'는 화제성 1위를 수성하며 방송하는 두 달여간 뜨거운 인기를 자랑했다. 지난달 28일 방송된 '선업튀' 최종회 시청률은 전국 가구 기준 평균 5.8%, 최고 6.9%를 기록하며 자체 최고를 경신했다. tvN 타깃인 2049 남녀 시청률 역시 전 회차 8주 연속 지상파 포함 전 채널 동 시간대 1위를 차지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시청자들에게 큰 호평을 받은 '엔딩'에 관해 이 작가는 "솔이와 선재가 같은 곳을 바라보는 엔딩이었다. 같은 미래를 그리고 있는 모습을 그려내고 싶었다. 판타지 동화 같지만, 행복을 가득 담으려고 지문을 썼는데, 배우들의 연기와 감독의 연출이 환상적으로 어우러졌다"면서 공을 돌렸다.
사진=tvN 제공
사진=tvN 제공
'선업튀'는 처음부터 해피 엔딩으로 결말이 정해져 있던 걸까. 이 작가는 "그렇다. 처음부터 해피 엔딩으로 정해놨다. 개인적으로 해피 엔딩을 좋아한다. 16회 벚꽃 프러포즈 신은 처음 기획 단계부터 정해 놓고 쓴 장면이다. 시청자들이 불안해하는 반응을 보고 의아하기도 했다. '로맨틱 코미디'(이하 '로코')는 당연히 해피 아닌가. 다른 장르는 새드 엔딩일 수 있지만, 내게 '로코'는 새드 엔딩일 수 없다. '로코'의 매력은 해피 엔딩이라고 생각한다. 즐거운 결말을 보기 위해 많은 이가 '로코'를 즐기는 게 아닐까. 주인공들이 얼마나 행복한지 보고 만족하기 위해 '로코' 장르를 시청하는 거라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했다.

이 작가는 판타지 요소에 관해 이야기하기도 했다.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내가 작품 속에서 뭔가를 말하고 싶을 때 솔이 할머니인 정말자 역(성병숙 분)을 빌렸다. 정말자에겐 내 마음이 담겼다. 극에서 시련이 닥칠 때 위로를 전하고 싶었다. 할머니의 역할이 '무엇이다'라고 확실하게 정의하고 싶지 않았다. 판타지 요소와 내 마음이 어우러진 역할이다"라면서 캐릭터를 설명했다.

최종회 신에서는 정말자가 타임슬립 하게 만드는 시계를 던지고 시계는 '0'을 표시한다. 이 작가는 "더 이상 타임슬립 할 필요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싶었다. 솔이와 선재가 행복해졌으니 시간 여행은 필요하지 않게 됐다. 캐릭터들이 그저 행복하길 바랐다. 정말자가 나를 대변했다. 동화처럼 이들의 사랑에 응원과 위로를 전하고 있다"면서 결말을 정해놓고 전개했지만, 다양하게 해석해주는 시청자들에 감사하다고 이야기했다.

이소정 텐아시아 기자 forusojung@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