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최악의 악'
준모 역 지창욱 인터뷰
지창욱 /사진제공=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지창욱 /사진제공=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배우 지창욱이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최악의 악'에서 호흡을 맞춘 임세미, 비비(김형서)에 대해 언급했다.

지창욱은 24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텐아시아와 만나 디즈니+ 오리지널 '최악의 악'과 관련해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지난달 27일 공개된 '최악의 악'은 990년대, 한-중-일 마약 거래의 중심 강남 연합 조직을 일망타진하기 위해 경찰 준모(지창욱 역)가 조직에 잠입 수사하는 과정을 그린 범죄 액션 드라마. 극 중 지창욱은 성공과 인정을 위해 목숨을 건 언더커버 작전에 뛰어드는 악바리 경찰 준모 역을 맡았다.

이날 지창욱은 "누아르라는 장르는 제가 어렸을 때 많이 봤던 선배님들의 모습이나 다름없는 것 같다. 어렸을 때 선배님들이 했던 걸 보고 자랐고, 어떻게 보면 나도 한 번쯤은 해보고 싶다, 나도 할 수 있을까 이런 것들을 가지고 '최악의 악'을 했다. 이번에 해봤는데 처음에는 걱정을 많이 했다. 선배님들만큼 깊이 있는 모습이 나올 수 있을까, 어느 순간부터는 굳이 의심하지 않았던 것 같다"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만의 분위기가 있었다. 모든 팀원이 있어서 의심하지 않았다. 우리가 하면 분명히 우리만의 색이 나오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선배님들이 이걸 보면 어떨까, 우스워 보일까, 부러워 보일 수도 있지 않을까 싶기도 했다. 다만 선배님들이 우리 작품을 보면서 '이제는 내가 못 내는 색깔을, 이 친구들이 하고 있네'라는 부러움이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욕심, 바람은 있었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임세미는 '최악의 악'은 MZ 누아르라고 하기도. 지창욱은 "MZ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제가 MZ라고 하기에는 나이가 더 있다. 우리 작품의 색은 누아르라고 떠올리면 무채색의 느낌은 또 아니었다. 더 원색적이었으면 했다. 붉은빛의 색감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막연한 생각들을 화면으로 잘 표현해주신 것 같다. 그걸 시청자가 봤을 때 젊은 친구들의 누아르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들게끔 하는 요소인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지창욱은 "만약에 선배들이 이 작품을 본다면 어떻게 생각할까 궁금했다. '얘네 뭐 하고 있는 거야?'라는 생각이 들게끔 하면 안 되니까 '이건 뭐지?'라는 신선한 충격을 줬으면 좋겠다는 욕심이 있었다. 많은 선배님이 계신다. 제가 지금 유오성 선배님과 작품을 같이 하고 있다. 저는 '친구'를 여러 번 봤다. 그런 느낌처럼 옛날 선배님들이 보시면 어떨까 싶다. 유오성 선배님이 지나가면서 '창욱아, 처음 무언가 시도했을 때 관객 입장으로서는 어색해 보일 수 있는데 그거 의심하지 말고 밀어붙여라'고 이야기 해주셨다"라고 했다.

지창욱은 임세미, 비비와의 호흡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먼저 비비와의 키스신에 대해 "찍을 때는 그렇게 힘들지 않았다. 그런 장면을 찍는 게 비비랑 어색하지 않나. 보통 제가 그간의 했던 작품들보다 무언가 무드도, 수위도 짙었다. '이걸 어떻게 해야 하지?' 싶더라. 선배로서 뭘 어떻게 해줘야 하는 걸까 그런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극으로만 봤을 때 당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평소보다 편한 입장이었다"라고 말했다.

또한 "형서(비비)가 긴장이 많이 되지 않았겠느냐는 생각이 들었다. 다행히 감독님이 현장 분위기를 어색하지 않게 잘 만들어주셨던 것 같다. 리허설할 때부터 형서도 잘 물론 본인은 불편했을 수도 있지만 애써 편하게 의연하게 잘 해줬다. 그래서 저도 편했고, 고마웠다. 그 장면을 보면 아시겠지만, 형서가 적극적으로 연기 자체를 잘해줬다. 좋게 나올 수 있지 않았나 싶다. 제가 했던 작품들에 비해 농도가 짙었다. 긴장이 많이 됐다. 그렇지만 형서한테 고맙다"라면서 고마운 마음을 드러냈다.

지창욱은 "아무래도 기존의 배우들은 어쩔 수 없이 내뱉는 호흡들이 상투적인 표현들이 있다. 저 또한 마찬가지다. 저도 그걸 많이 감추려고 하고, 많이 바꿔보려고 노력하지만 순간순간 나오는 어쩔 수 없는 것들이 있다. 형서는 그게 많이 달랐다. 그 호흡이 없었고, 마주하고 연기할 때 새롭더라. 저도 자극을 많이 받았다. 보고 있으면 재밌고 새로웠다. 표현력이 다채롭고 좋았다"라고 애정을 표했다.

임세미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어떤 미묘한 불편함, 거리감이 계속 있었다. 저는 그게 의정이하고 준모한테는 도움이 됐던 것 같다. 희한하게 신혼집 보면 벽지도 그렇고 미술적으로 묘하다. 예쁘면서 묘한 분위기를 잘 만들어주셨다. 그 장소에 갔는데 이상하더라. 세미와 저에게 세트와 미술 등 도움을 많이 받았다. 세미랑 부딪히는 장면이 없다 보니 거리감, 애틋함이 도움이 많이 됐다. 감독님한테 의정이랑 붙는 장면을 더 넣어주면 안 될까요 할 정도로 분량이 없었다. 전화 통화도 하는 것도 중간에 추가가 됐었던 거 같기도 하다"라고 전했다.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 kkk39@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