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이 빛나는 밤에>, 던져줘도 주워담지 못하는 토크쇼
, 던져줘도 주워담지 못하는 토크쇼" /> MBC 밤 11시 5분
매회 게스트들과 관련된 세트에서 녹화를 하고, 프로그램이 끝날 때는 MC들과 게스트들이 함께 사진을 찍는다. 이는 가 ‘추억’이라는 소재를 다루는 방식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포맷이다. MC인 류시원과 이경실, 이홍렬, 김희철은 누군가의 추억을 그저 아름다운 풍경처럼 감상한다. 7,80년대 최고 인기드라마였던 팀이 출연한 어제 방송 또한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방식 안에서 게스트인 최불암과 조경철, 김상순, 이계인은 네 명의 MC들 중 누구와도 화학작용을 일으키지 못했다. MC들은 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지 등 기본적인 질문에서 한 발짝도 더 나아가지 못했고 그마저도 토크의 흐름을 끊으며 던져졌다.

이러한 진행은 게스트들에게 무관심했다기보다 오히려 너무 충실하려다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에서 최불암은 왜 최 반장이 아니라 박 반장이었을까”라는 질문은 갑자기 80년대 유행했던 ‘최불암 시리즈’로 이어졌고, 작품 속 형사들의 패션코드와 본의 아니게 알게 된 범죄 노하우에 관한 이야기가 두서없이 튀어 나왔다. 담을 만한 내용은 많았던 반면 방향성에 대한 고민은 부족했다는 의미다. 적어도 MC 각자에게 에 얽힌 어떤 기억이 있는지, 방송을 한 번도 본적 없는 83년생 김희철은 이 작품에 대해 어떻게 알고 있는지 정도는 나왔어야 했다. 그 과정이 없었기에 어제 는 시청자들에게 추억을 되새길 시간을 주지 않고 황급히 달려가는 모양새가 됐다. 그 결과 토크는 맥락 없이 표류하고 게스트들의 발언은 ‘그땐 그랬지’라는 되새김에 그치고 말았다. 방송 말미에 조경환은 “세시봉이 다시 뜬 것처럼 도 다시 돌아올 날이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런 신드롬을 일으키기에 의 내공은 너무나 약했다.

글. 황효진 기자 sevente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