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한민국을 움직인 연예기획사는 어디일까? 2013년 매니지먼트 업계를 지배한 이슈를 살펴보면, 우선 한류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올해도 K팝을 중심으로 가수, 연기자들의 해외 진출을 촉진시킨 점을 꼽을 수 있다. 콘텐츠 제작 부문에서는 높아진 시청자, 관객들의 안목에 따라 이전보다 다각화된 콘텐츠를 제작, 기획하는 능력이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중소규모 기획사들은 안정적인 수익구조 확보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맺거나 인수 합병하는 사례도 늘어났다. 여기에 인터넷을 통한 연예인들의 사생활 노출이 잦아지면서 ‘위기 관리 능력’은 점점 매니지먼트 업계의 최우선 덕목으로 떠오르고 있다. 텐아시아에서는 2013년을 정리하면서 올해를 움직인 엔터테인먼트 기획사 15개를 선정, 성과와 장단점, 향후 나아갈 방향 등을 모색해봤다. (순서는 알파벳 순) 올해의 성과
한 때 원더걸스는 JYP의 상징이자 국민 걸그룹이었다. 원더걸스가 주춤한 사이 그 자리를 대신한 걸그룹이 바로 미쓰에이다. 엄밀히 말해 미쓰에이의 수지다. 2012년 영화 ‘건축학개론’ 출연이 JYP와 수지가 선택한 ‘신의 한 수’였다. 일약 ‘국민 첫사랑’이 된 수지는 뭘 해도 사랑 받는 스타가 됐다. 올해에도 드라마 ‘구가의 서’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11월에는 본업(?)인 미쓰에이 2집 ‘허쉬’로 돌아왔다.
ADVERTISEMENT
원더걸스에서 탈퇴한 후 솔로로 돌아온 선미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섹시를 무기로 ‘JYP 비밀병기’ 역할을 했다. ‘24시간이 모자라’는 발표 직후 국내 전 음원 차트에서 실시간 1위를 휩쓸기도 했다. 박진영이 참여하고 있는 SBS ‘K팝스타’를 통해 영입한 백아연이 앨범 ‘A Good Girl’, 드라마 ‘불의 여신 정이’ OST 등으로 활동했고, 또 다른 ‘K팝스타’ 출신 박지민은 백예린과 ‘15&’를 결성해 ‘Somebody’를 선보였다. YG 소속의 ‘K팝스타’ 출신 이하이의 파괴력에 다소 미치지 못했다는 아쉬움은 남는다. JYP 수장 박진영도 새 앨범 ‘Halftime’을 들고, 다시 무대에 올랐다. 연말 공연과 ‘K팝스타’ 심사까지. 여전히 바쁜 ‘노장’ 댄스 가수다.지난해 영입한 배우 이정진(드라마 ‘백년의 유산’, 예능 ‘우리동네 예체능’), 윤박(드라마 ‘굿닥터’), 최우식(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 드라마 ‘특수사건 전담반 TEN2’), 박주형(드라마 ‘투윅스’) 등 배우 영역도 꾸준했다.
올해의 스타
ADVERTISEMENT
2014년 계획
수지를 제외한다면, 올해 JYP에서 ‘빅이슈’를 만들어내는 스타는 다소 약했다. 그래도 JYP는 JYP다. 괜히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획사 ‘빅3′ 중 한 곳이 아니다. 사실상 해체 수준인 원더걸스가 아쉽긴 하지만, JYP가 만들어낸 아이돌 그룹들은 활동을 이어간다. 2PM, 2AM은 국내외를 넘나들며 음악적 활동과 멤버 개별 연기 활동도 이어진다. 수지 그리고 미쓰에이를 비롯해 백아연, 박지민, 선미 등도 도약을 노린다. 무엇보다 내년엔 신인 아이돌 그룹 4팀을 선보일 예정이다. 최근 신인 보이 그룹에 대한 정보들이 하나씩 공개되면서 궁금증을 더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또 올해 비상장사인 JYP(미국법인, 일본법인, 중국법인, 에이큐엔터테인먼트를 자회사로 둔 곳)를 흡수, 합병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