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종록 감독은 요즘 고민이 많다. 그동안 , , , 등 수많은 드라마를 히트시키거나 시청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그였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시장의 변화는 새로운 숙제를 안겼다. “연출하는 사람은 자기 색깔을 내고 싶어서, 남이 보기엔 이렇게 찍으나 저렇게 찍으나 비슷한 걸 밤새 촬영하고 죽도록 편집하는 건데 지금은 시청률에 모든 게 종속된 상황이다. 시청률이 나올 것 같은 소재만으로 드라마를 만들고, 없는 제작비와 시간으로 뭐라도 만들려다 보니 ‘막장 드라마’가 나오는 악순환이다. 같은 건 95년 당시에도 상업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만든 드라마는 아니었지만 지금이라면 아예 만들 수가 없을 거다.”
그래서 “방송사나 제작자처럼 돈을 벌어야 하는 쪽에게는 중요하지만 정작 소비자인 시청자에게는 시청률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사실은 드라마를 만드는 이들이 지금 처한 가장 큰 딜레마이기도 하다. “깡패가 깡패 짓을 계속 하고 사는 건 드라마가 되지 않는다. 깡패가 깡패 짓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드라마가 되는 거다”라는 오종록 감독의 말을 몇 번이고 곱씹게 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리고 “드라마는 결국 딜레마에 빠진 인간들에 대한 이야기”라고 정의하는 그가 고른 세 편의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日 (高校敎師) TBS
1993년
“노지마 신지의 드라마를 좋아한다. 이나 같은 예전 작품을 좋아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친아버지와 성적인 관계가 있는 여고생과 약혼녀가 있는 남자 교사가 만나고 사랑에 빠져 결국 동반자살 하는 걸로 끝나는, 어떻게 보면 엄청나게 선정적인 이야기인데 그걸 굉장히 아름답게 풀어냈다. 왜 그 두 사람이 서로를 알아보고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지, 보다 보면 이해하게 된다. 이를테면 4구 당구에서 코너에 공이 붙어 있어 도저히 칠 수 없을 때 ‘마세이(찍어치기)’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시작해 공들을 하나씩 쳐 나가는 게 이 작가의 스타일인데, 는 극단적인 소재를 가지고도 드라마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까지 간 작품이라고 생각한다.”SBS
2004년 연출 최문석, 극본 이선미 김기호
“사랑 이야기 같지만 그 바닥에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가 다이렉트로 싸우는 이야기가 깔려 있다. 80년대적 이데올로기와 90년대적 현상이 섞여 있는 독특한 느낌이었다. 특히 극 중에서 수정(하지원)에게 인욱(소지섭)이 헤게모니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며 그람시의 책을 건네주는데 수정은 그게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고 받아들던 장면이 잊히지 않는다. 이선미-김기호 작가는 대중적으로 크게 성공한 드라마들을 많이 썼지만 자세히 보면 그 안에는 우울함과 어두움이 숨겨진 코드가 있다. 반대로 생각하면 그렇게 비대중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중적으로 히트시키는 힘이 대단하다. MBC 에서 보여줬던 스펙터클한 전개도 놀라워서 언젠가 꼭 함께 일해보고 싶다.”
美 (Rome) HBO
2007년
“나는 사극이나 시대극을 만들어 본 적이 없다. 현재의 시대를 가장 잘 반영한 드라마를 만들면 시간이 지났을 때 그게 시대극이 되고, 먼 미래에는 사극이 될 거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과거의 이야기를 재현하는 데는 별로 관심이 없는 편이었다. 하지만 를 볼 때는 밤을 새웠다. 고대 로마의 거대하고 복잡한 역사 한가운데서 두 명의 소시민이 우여곡절을 거듭하며 시대의 흐름을 통과하는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이미 알고 있는 역사를 편년체 식으로 엮기만 했다면 재미없었겠지만 창작을 통해 나온 주인공들이 줄리어스 시저나 클레오파트라 같은 역사 속 인물들과 부대끼며 그 사회를 바라보는 방식이 인상적이었다”
“언젠가 강가에 부서진 나무토막 같은 인간에 대한 얘기를 해보고 싶다”오종록 감독은 요즘 올 여름 방영 예정인 드라마 을 준비하고 있다. 어느덧 50대에 접어든 그와 유행의 첨단을 걷는 패션지 기자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는 어쩐지 언밸런스해 보이지만 “최근 새 시즌을 보니까 황금빛으로 빛나는 듯 한 영상의 색감이 죽이더라. 우리도 90년대에 비해 촬영과 조명 기술이 엄청나게 발달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풍부하고 컬러풀한 색감을 살리고 싶다”는 그는 늘 그래왔듯 자기만의 ‘스타일’을 고민하는 중이다.
하지만 그가 생각하는 드라마는 사실 ‘스타일’ 너머에 있다. “내가 태어나서 자란 50년 동안 우리 사회가 엄청나게 빨리 변했다. 그렇게 정신없이 주류가 흘러갈 때 거기서 도태된 사람들, 강가에 부서지고 찢긴 채 남은 나무토막 같은 인간 군상들에 대한 얘기를 해보고 싶다. 상업 드라마로는 힘들더라도 언젠가 그런 작품을 꼭 만들고 싶다.” 도시에 올라온 뒤로 도시 사람들이 나오는 이야기만 해왔어도 자신은 여전히 ‘밀양 촌놈’이라는 오종록 감독의 뚝심을 믿고 싶어지는 것은 그도 역시 지금 우리와 함께 막장 드라마의 시대를 온 몸으로 통과하고 있는 동지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사진. 채기원 (ten@10asia.co.kr)
그래서 “방송사나 제작자처럼 돈을 벌어야 하는 쪽에게는 중요하지만 정작 소비자인 시청자에게는 시청률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사실은 드라마를 만드는 이들이 지금 처한 가장 큰 딜레마이기도 하다. “깡패가 깡패 짓을 계속 하고 사는 건 드라마가 되지 않는다. 깡패가 깡패 짓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드라마가 되는 거다”라는 오종록 감독의 말을 몇 번이고 곱씹게 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리고 “드라마는 결국 딜레마에 빠진 인간들에 대한 이야기”라고 정의하는 그가 고른 세 편의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日 (高校敎師) TBS
1993년
“노지마 신지의 드라마를 좋아한다. 이나 같은 예전 작품을 좋아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친아버지와 성적인 관계가 있는 여고생과 약혼녀가 있는 남자 교사가 만나고 사랑에 빠져 결국 동반자살 하는 걸로 끝나는, 어떻게 보면 엄청나게 선정적인 이야기인데 그걸 굉장히 아름답게 풀어냈다. 왜 그 두 사람이 서로를 알아보고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지, 보다 보면 이해하게 된다. 이를테면 4구 당구에서 코너에 공이 붙어 있어 도저히 칠 수 없을 때 ‘마세이(찍어치기)’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시작해 공들을 하나씩 쳐 나가는 게 이 작가의 스타일인데, 는 극단적인 소재를 가지고도 드라마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까지 간 작품이라고 생각한다.”SBS
2004년 연출 최문석, 극본 이선미 김기호
“사랑 이야기 같지만 그 바닥에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가 다이렉트로 싸우는 이야기가 깔려 있다. 80년대적 이데올로기와 90년대적 현상이 섞여 있는 독특한 느낌이었다. 특히 극 중에서 수정(하지원)에게 인욱(소지섭)이 헤게모니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며 그람시의 책을 건네주는데 수정은 그게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고 받아들던 장면이 잊히지 않는다. 이선미-김기호 작가는 대중적으로 크게 성공한 드라마들을 많이 썼지만 자세히 보면 그 안에는 우울함과 어두움이 숨겨진 코드가 있다. 반대로 생각하면 그렇게 비대중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중적으로 히트시키는 힘이 대단하다. MBC 에서 보여줬던 스펙터클한 전개도 놀라워서 언젠가 꼭 함께 일해보고 싶다.”
美 (Rome) HBO
2007년
“나는 사극이나 시대극을 만들어 본 적이 없다. 현재의 시대를 가장 잘 반영한 드라마를 만들면 시간이 지났을 때 그게 시대극이 되고, 먼 미래에는 사극이 될 거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과거의 이야기를 재현하는 데는 별로 관심이 없는 편이었다. 하지만 를 볼 때는 밤을 새웠다. 고대 로마의 거대하고 복잡한 역사 한가운데서 두 명의 소시민이 우여곡절을 거듭하며 시대의 흐름을 통과하는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이미 알고 있는 역사를 편년체 식으로 엮기만 했다면 재미없었겠지만 창작을 통해 나온 주인공들이 줄리어스 시저나 클레오파트라 같은 역사 속 인물들과 부대끼며 그 사회를 바라보는 방식이 인상적이었다”
“언젠가 강가에 부서진 나무토막 같은 인간에 대한 얘기를 해보고 싶다”오종록 감독은 요즘 올 여름 방영 예정인 드라마 을 준비하고 있다. 어느덧 50대에 접어든 그와 유행의 첨단을 걷는 패션지 기자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는 어쩐지 언밸런스해 보이지만 “최근 새 시즌을 보니까 황금빛으로 빛나는 듯 한 영상의 색감이 죽이더라. 우리도 90년대에 비해 촬영과 조명 기술이 엄청나게 발달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풍부하고 컬러풀한 색감을 살리고 싶다”는 그는 늘 그래왔듯 자기만의 ‘스타일’을 고민하는 중이다.
하지만 그가 생각하는 드라마는 사실 ‘스타일’ 너머에 있다. “내가 태어나서 자란 50년 동안 우리 사회가 엄청나게 빨리 변했다. 그렇게 정신없이 주류가 흘러갈 때 거기서 도태된 사람들, 강가에 부서지고 찢긴 채 남은 나무토막 같은 인간 군상들에 대한 얘기를 해보고 싶다. 상업 드라마로는 힘들더라도 언젠가 그런 작품을 꼭 만들고 싶다.” 도시에 올라온 뒤로 도시 사람들이 나오는 이야기만 해왔어도 자신은 여전히 ‘밀양 촌놈’이라는 오종록 감독의 뚝심을 믿고 싶어지는 것은 그도 역시 지금 우리와 함께 막장 드라마의 시대를 온 몸으로 통과하고 있는 동지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사진. 채기원 (t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