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최종병기 활>│그 남자들의 활, 제대로 명중했다
│그 남자들의 활, 제대로 명중했다" />
“임금이 바뀌던지, 나라가 망하던지…” 인조반정 후 역적의 자손이란 제약 속에 자라난 남이(박해일)는 세상이 뒤집히지 않는 한 관직에 오를 수도, 출세를 꿈꾸는 것도 불가능한 인생이다. 아버지의 유언을 따라 여동생 자인(문채원)을 보살피는 것과 목적 없이 연마하는 활쏘기를 제외하고는 그에게 삶의 희망이란 풀섶을 온종일 뒤져도 찾을 수 없는 영원히 잃어버린 화살이었다. 곱게 키운 여동생이 혼례를 올리던 날, 소임을 다하고 길을 떠나려는 남이를 가로 막는 것은 청나라의 공격이다. 명궁 쥬신타(류승룡)를 비롯해 대규모 정예부대를 앞세운 청나라의 말발굽 아래 조선의 임금은 항복하고, 마침내 세상은 뒤집혔다. 병자호란의 혼란 속에 자인은 청의 포로로 끌려가 수모를 당하고, 여동생을 구출하기 위해 남이는 비로소 아버지가 물려준 활시위를 팽팽하게 당기기 시작한다.
영화 <최종병기 활>│그 남자들의 활, 제대로 명중했다
│그 남자들의 활, 제대로 명중했다" />
남자니까 쏘는 거야
영화 <최종병기 활>│그 남자들의 활, 제대로 명중했다
│그 남자들의 활, 제대로 명중했다" />
제목을 다시 한 번 보자, . 사건이 발생한 장소도 ( ), 주인공의 직업과 긴장요소를 드러내는 것도 (), 주제 의식을 암시한 제목()도 아니다. 2011년 한국 여름영화의 마지막 병기로 모습을 드러낸 은 영화 속 무기를 당당히 제목으로 내세웠다. ‘활’로 설명되는 캐릭터와 그것을 서로 겨누는 자들의 대결에 집중하겠다는 단호한 선언인 셈이다. 총과 검이 누가 먼저 쏘고, 먼저 찌르는가에 갈리는 싸움이라면, 활의 대결은 누가 최후의 화살을 회수하는가에 있다. 작지만 치명적인 남이의 애깃살과 육중하고 무시무시한 쥬신타의 육량시가 만들어내는 캐릭터적 콘트라스트, 남이 패거리와 쥬신타 부대가 벌이는 추격과 대결은 광활한 대륙의 기운과 진동하는 페로몬 향까지 더해지며 라스트 신까지 홀린 듯 달려 나간다. 특히 둥글기보다는 강직하고 모난 촉을 가진 듯한 남성적인 울림의 만주어(이제는 거의 사어가 된)를 주요 언어로 채택한 감독의 무모한 용기와 실천은 적어도 배우 류승룡을 위해서는 탁월한 선택이었다.

물론 고운 한복 자태와 단아한 기운, 남자들도 놀랄만한 무예실력 등 문채원이 연기하는 자인은 그 자체로는 강인하면서도 아름다운 존재다. 하지만 오빠 남이와 남편 서군(김무열)과의 상호관계에 있어서는 좀처럼 설득력 있는 드라마를 부여 받지 못한다. 결국 연출의 의도와 상관없이 자인이란 존재는 두 남자가 그토록 맹렬히 움직일만한 동력을 마지막까지 끌어내지는 못한 채 맥거핀에 그치고 만다. 자인의 자장을 벗어나지 못하는 서군의 활약이 좀처럼 힘을 얻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남이가 여동생에 대한 막연한 책임감이 아니라 쥬신타와의 팽팽한 대결 속에서 비로소 피가 도는 캐릭터처럼 느껴지는 것도 역시 이 때문이다. 거친 역사와 비장한 드라마의 외피를 두르고 있지만 이 대중의 심장에 명중하는 지점은 아마도 절벽과 폭포를 가로지르고 호랑이까지 등장하는 추격과 긴장감 넘치는 활 액션에 있을 것이다. 또한 ‘귀여운 초식남’들의 진화와 달리, 의리와 자존심을 목숨보다 귀하게 여기는 촌스럽지만 우직한 동물성 남자들과의 새삼스런 조우 역시 여성관객들에게는 피하지 못할 짜릿한 화살촉이다.

글. 백은하 기자 one@
편집. 이지혜 sev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