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소말리아 내전 중 탈출기 실화 바탕
南 강신성·北 김용수, 영화에선 한신성-림용수
뭉클한 동포애는 현실에서도, 영화에서도
南 강신성·北 김용수, 영화에선 한신성-림용수
뭉클한 동포애는 현실에서도, 영화에서도

영화 속 중요 포인트를 확대하는 인서트 장면처럼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가 매주 목요일 오후 영화계 이슈를 집중 조명합니다. 입체적 시각으로 화젯거리의 앞과 뒤를 세밀하게 살펴보겠습니다.
*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일부 포함돼 있습니다.
1991년 남북한이 UN에 동시 가입하기 전까지도 양측의 긴장감은 팽팽했다. 세계화를 외치던 당시 한국 정부에게 UN 가입은 필사적으로 이뤄내야 할 과제였고, 북한은 어떻게든 이를 저지하려 했다.
UN 가입은 회원국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제 3지대로 일컬어지던 아프리카 국가들의 표를 이끌어내기 위한 외교적 요충지는 소말리아였다. 소말리아에서 남북 모두 외교 총력전을 벌인 이유다.
이 시대의 실화를 배경으로 한 영화가 바로 류승완 감독의 신작 '모가디슈'다. 영화는 마치 시가전 한복판에 들어와 있는 듯 생생함을 자랑하는데, 현실을 얼만큼 반영했을까.

영화에서 한신성과 림용수는 원래부터 서로 면식 있는 사이다. 소말리아 대통령궁에서 마주치기도 하고 소말리아 정부 관계자와의 조식 미팅이 있었던 호텔에서 맞닥뜨려 언쟁을 벌이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 강신성과 김용수는 먼발치에서 본 적은 있으나 교류를 한 적은 없다. 처음 대면한 건 소말리아 내전 중 구조기를 기다리기 위해 나갔던 공항에서다. 강 대사가 김 대사에게 "처음 뵙는다. 반갑다"고 인사하자 김 대사는 "이 난리통에 여유만만하시다. 넥타이까지 매시고"라며 퉁명스럽게 대했다고 한다.

영화에서 양측 공관원들이 만나는 장면은 더 드라마틱하게 연출됐다. 북한 대사관이 무장 강도들에게 약탈당한 뒤 림용수는 대사관 식구들을 데리고 늦은 밤 남한 대사관을 찾아간다. 이 장면에서는 한신성과 림용수의 인간적이면서도 유연한 리더십이 빛난다. 탈출이라는 목적을 위해 모였다고는 하지만 이역만리 타지에서 동포애는 끌어올랐다.

실제로 남북한 20여명의 공관원들은 4대의 차에 나눠 타고 도움을 주겠다는 이탈리아 대사관으로 향했다고 한다. 이탈리아 대사관에 거의 다다랐을 때 포격이 쏟아졌고, 이 과정에서 운전대를 잡은 사람 중 하나였던 북한 공관원이 가슴에 치명적인 총상을 입었다. 그는 숨이 넘어가는 상황에 1분여를 더 달려 동승자들을 무사히 대사관까지 데려다놓았다. 영화에서도 이를 연상하게 하는 뭉클한 장면이 등장한다.
류승완 감독을 비롯한 제작진은 당시 소말리아 국영TV 사장의 회고록, 종군 기자의 사진, 한국 교환학생으로 와 있는 소말리아 대학생, 아프리카 관련 학과 교수 등 다양한 계층에 자문을 구해 이번 영화를 작업했다고 한다. 또한 드라마 '배가본드'에 참여했던 군사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1991년 당시 내전에서 사용한 총기까지 파악했다. 최근 시대극들이 허술한 고증으로 역사 왜곡이라는 질타를 종종 받는 상황이지만 '모가디슈'는 디테일을 놓치지 않으며 리얼리티를 살리되 적절한 각색으로 영화적 재미를 살려냈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