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직 캐릭터를 다질 때" /> 월-금 MBC 오후 7시 45분
은 매 회 본방송이 시작되기 전, 지난 줄거리를 요약해 준다. 새로 유입될 시청자들을 위한 배려겠지만 한편으로 이것은 이 작품이 줄거리 의존적인 드라마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실제 그동안의 은 매 회 나름의 완결을 갖는 시츄에이션 안에서 웃음을 만들어 가야하는 시트콤의 특성이 완연히 드러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전체 줄거리를 진행해 나가면서 동시에 하나의 상황을 구성해 낸 지난 방송은 앞으로 작품의 방향에 고무적인 기대를 보내게 만들었다. 옥엽(조권)과 영옥(김영옥)이 친해지는 과정에서 옥엽을 연기하는 조권의 특징이 자연스럽게 반영되었고, 그저 할머니에 불과했던 영옥은 친근하면서도 어딘가 얄미운 캐릭터를 얻게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해 옥엽과 승아(윤승아)의 관계가 앙숙으로 굳어지는 과정 역시 납득할 수 있게 그려졌으며, 착하지만 답답한 승아의 성격 역시 적절하게 작용했다. 그러나 주요 에피소드를 제외한 부분에는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다. 신속하게 캐릭터를 구축하고 이들이 부딪히며 발생하는 에너지를 동력으로 만들어야 하는 시트콤에서 김원장(김갑수)과 미선(박미선)의 결혼 과정은 벌써부터 지난해 보인다. 태수(전태수)와 금지(가인)의 애매한 관계도 보다 콤팩트하고 선명하게 정리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특히 태수에게 민망한 장면을 들킨 금지의 억울함을 내레이션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보이지 않는 부분을 상상하며 웃어야 하는 시트콤의 트루기를 생각할 때 그다지 효율적인 선택이 아니다. 이 와중에 어색하게 동참하고 있는 두준(윤두준) 역시 좋은 연기에 비해 낭비되고 있는 느낌이다. 그동안 특정 제작진이 만든 작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트콤이 성공을 거두지 못한 이유를 냉정하게 되새길 때다. 그리고 시트콤에서 드라마는 발생하는 것이지 유도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아야 한다. 아직 에 필요한 것은 캐릭터를 다지는 일이다.
글. 윤희성 nine@
은 매 회 본방송이 시작되기 전, 지난 줄거리를 요약해 준다. 새로 유입될 시청자들을 위한 배려겠지만 한편으로 이것은 이 작품이 줄거리 의존적인 드라마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실제 그동안의 은 매 회 나름의 완결을 갖는 시츄에이션 안에서 웃음을 만들어 가야하는 시트콤의 특성이 완연히 드러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전체 줄거리를 진행해 나가면서 동시에 하나의 상황을 구성해 낸 지난 방송은 앞으로 작품의 방향에 고무적인 기대를 보내게 만들었다. 옥엽(조권)과 영옥(김영옥)이 친해지는 과정에서 옥엽을 연기하는 조권의 특징이 자연스럽게 반영되었고, 그저 할머니에 불과했던 영옥은 친근하면서도 어딘가 얄미운 캐릭터를 얻게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해 옥엽과 승아(윤승아)의 관계가 앙숙으로 굳어지는 과정 역시 납득할 수 있게 그려졌으며, 착하지만 답답한 승아의 성격 역시 적절하게 작용했다. 그러나 주요 에피소드를 제외한 부분에는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다. 신속하게 캐릭터를 구축하고 이들이 부딪히며 발생하는 에너지를 동력으로 만들어야 하는 시트콤에서 김원장(김갑수)과 미선(박미선)의 결혼 과정은 벌써부터 지난해 보인다. 태수(전태수)와 금지(가인)의 애매한 관계도 보다 콤팩트하고 선명하게 정리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특히 태수에게 민망한 장면을 들킨 금지의 억울함을 내레이션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보이지 않는 부분을 상상하며 웃어야 하는 시트콤의 트루기를 생각할 때 그다지 효율적인 선택이 아니다. 이 와중에 어색하게 동참하고 있는 두준(윤두준) 역시 좋은 연기에 비해 낭비되고 있는 느낌이다. 그동안 특정 제작진이 만든 작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트콤이 성공을 거두지 못한 이유를 냉정하게 되새길 때다. 그리고 시트콤에서 드라마는 발생하는 것이지 유도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아야 한다. 아직 에 필요한 것은 캐릭터를 다지는 일이다.
글. 윤희성 nine@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