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먼트 전문 미디어 텐아시아가 ‘영평(영화평론가협회)이 추천하는 이 작품’이라는 코너를 통해 영화를 소개합니다. 현재 상영 중인 영화나 곧 개봉할 영화를 영화평론가의 날카로운 시선을 담아 선보입니다. [편집자주]
“노동자 한 명이 5분 일찍 공장에 도착했다. 그는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었다. 다른 노동자가 5분 늦게 도착했다. 그는 사회주의 건설 의무에 나태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세 번째 노동자는 제시간에 도착했다. 그는 반 소비에트 선동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는 스위스에서 만든 시계를 차고 있었다.”(Bruce Adams, Tiny Revolutions in Russia: Twentieth-century Soviet and Russian History in Anecdotes, New York: Routledge, 2005, *88)
위에 인용한 스탈린 시대의 정치 유머는 서사 무대 속 암울한 시대상을 엿보게 한다. 완전한 사회를 꿈꾸던 소비에트연방은 모순을 은폐하기 위해 ‘인민의 적’을 기계적으로 재생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탈린은 절대 권력을 휘둘렀다. 고발을 위한 고발이 시스템화된 사회에서 타인과의 관계는 황폐해졌다. 어제의 동료는 내일의 적이 되며, 생존을 위해선 누명을 쓴 가족에게도 등을 돌려야만 했다. 시트콤 ‘VEEP’ 시리즈를 통해 블랙코미디에 대한 남다른 감각을 보여준 이아누치 감독은 그러한 시대의 부조리를 냉소적인 시선으로 재현한다.
흥미로운 부분은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소련 인민들이 스탈린을 대하는 태도이다. 스탈린의 언행은 공동체의 완벽한 규범으로 기능한다. 마음속 깊이 그러한 논리에 승복하든 아니든 말이다. ‘스탈린이 죽었다!’에서 웃음과 비애는 그 기괴한 불일치에서 발생한다. 총살을 당하기 직전 사형수들은 위대한 독재자의 이름을 외친다. “스탈린 만세!” 또한 인민은 독재자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행진하다가 살해당하기도 한다. 이처럼 사회주의 사회에서 독재자의 죽음을 둘러싼 피지배 계급의 반응은 기이하기 짝이 없다.
영화는 스탈린의 죽음 이후 헤게모니를 쟁취하려는 권력자들의 진흙탕 싸움을 다룬다. 이들은 서로에게 배신을 거듭한다. 여기서 나타나는 인물의 입체적인 일면과 처절한 몰락은 기묘한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이 싸움은 혼란한 시대에서 살아남으려는 발버둥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명심할 것은 권력자들의 이기심과 진흙탕 싸움이 야기한 사회적 파급력이다. 이들은 타인의 생명을 도박 밑천처럼 이용한다.
‘스탈린이 죽었다!’는 순수한 블랙코미디 장르 영화로서도 상당한 수작이다. 특히 복잡한 국제관계와 특수한 사회·역사적 상황에 놓인 한국인에게 여러 모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한기(영화평론가)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