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 뭘 따지려 들어! 그냥 영화적 쾌감에 몸을 맡겨 ∥ 관람지수 6

‘불굴의 파이터’라는 설정은 이정재를 ‘무적’으로 만들었다. 남자들의 대표적인 ‘허풍’인 17대1 수준을 뛰어 넘는다. 수십 명의 경찰을 뚫고, 조폭 수십 명을 혼자 상대한다. 그래도 결과는 언제나 이정재의 ‘승’이다. 액션뿐만 아니라 영화 내내 뛰고, 또 뛰고, 또 뛴다. 보는 사람마저 숨찰 정도로. 그리고 식상하긴 하지만, 1대1 ‘맞짱’ 대결을 내세운 파이널 빅매치는 나름의 짜릿함을 전한다. 마치 게임 한 판 끝낸 느낌이다. 실제 영화도 신하균이 설계해놓은 게임이고, 그 게임 속에서 움직이는 말이 이정재인 셈이다.
홀로 고군분투하는 이정재는 여러 액션 시퀀스 속에서 자신만의 매력을 곳곳에 심었다. 시원한 액션과 탄탄한 근육질 몸매는 기본이고, 의외의 개그 코드도 여럿 있다. 형이 납치된 심각한 상황 속에서 순진무구함을 드러내며 웃음을 만든다. 독특한 춤과 엉뚱한 백치미까지. 이정재한테 이런 모습이 있었나 싶을 정도다.
독특한 말투와 행동을 지닌 ‘허당’ 형사 김의성과 조직폭력배 배성우의 활약도 돋보이는 부분. 설명이 필요 없다. 그냥 웃기다. 보고 있으면 저절로 빠져든다. 국내 스크린에 본격적으로 첫 발을 내딛은 보아도 꽤 많은 비중을 담당한다. 이번 작품에서는 연기력에 대한 평가보다 ‘도전’에 초점을 맞추는 게 맞다. 이제 겨우 제대로 한 편 했을 뿐이니까.
‘빅매치’의 최대 약점은 이야기의 개연성이 될 것 같다. 설정을 위한 설정들이 많아보니 뜯어보면 구멍이 송송이다. 사실 ‘빅매치’의 핵심 뼈대는 납치된 형을 구하기 위해 이정재가 고군분투한다는 것. 근데 이 자체가 큰 설득력을 지니고 있진 않다. 또 등장 인물들의 히스토리나 연계도 어물쩡 넘어간다.
뛰고 또 뛰는 것을 통해 속도감을 높인 것도 부족한 개연성을 덮어보려는 의도처럼 보인다. 개연성에 대해 생각할 여유를 주기 않으려는 듯. 사실 초중반까지는 이 전략이 먹혀 들어간다. 다만 후반부로 갈수록 집중도가 떨어지는 건 어찌할 도리가 없다.
글. 황성운 jabongdo@tenasia.co.kr
[SNS DRAMA][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