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별 신문기사 및 공시사항 요약 * [증시전망] 국내외 거시지표가 관건 - 실망을 안겨준 1.4분기 기업실적 때문에 확산되던 국내외 증시의 비관론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결정을 기점으로 다소 잦아들면서 투자심리 회복 - 금주엔 세계증시의 흐름을 좌우할 경제협력 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는 물론, 미국과 한국의 소비관련지표 발표가 예정돼 있어 시장의 지지력을 다시 한 번 시험할 것으로 예상 * [코스닥시장] 435~440선 탐색전 치열 ‥ 낙폭과대 조선ㆍLCD관련주 반등 기대 - 지난 2일 7962억원까지 떨어졌던 거래대금도 꾸준히 증가해 6일에는 다시 1조1000억원 수준까지 상승 - 코스닥시장의 거래가 이처럼 활기를 띠게 된 것은 최근 1분기 실적발표가 마무리단계로 접어들면서 그동안 시장에 우려감을 안겨줬던 IT분야의 1분기 실적 우려감이 어느 정도 해소된 데 따른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 * 20일 이평선 상향돌파 '눈앞' ‥ 증시 본격 반등여부 관심 - "아직 기대는 이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지수 900선을 지키고 반등한 것은 의미가 있지만 현재의 수급과 모멘텀으로는 본격적인 상승 추세 전환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 * 외국인 '올해 현대차 팔고, 현대중 샀다' - 외국인들이 올들어 업황 호조를 이유로 조선주를 매집한 반면 내수부진과 환율 하락에 따른 채산성 악화 등을 들어 자동차주를 매도 * 외국인, 경기민감주 매수전환‥ITㆍ철강 등 4일동안 823억 순매수 - 외국인들이 지난 2개월 동안 내다팔기만 하던 정보기술(IT) 철강 등 증시 영향력이 큰 경기민감주를 다시 매수 - 시간이 지날수록 경기 회복 조짐이 가시화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으로 추정 - 반면 주가 조정기에도 매수를 유지하던 음식료 전기가스 등 내수방어주에 대해서는 매도 우위로 전환 * LCD 장비업체 '후끈' ‥ 주성·디엠에스 등 강세 - 삼성전자 등 LCD 제조업체들의 대규모 설비발주가 본격화되면서 LCD 장비업체들이 실적호전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세 - 6일 주성엔지니어링 디엠에스 디이엔티 에스엔유프리시젼 태화일렉트론 넥스트인 등이 일제히 강세 * 창투사, 실적모멘텀 동반 강세 - 창업투자회사들이 실적호전과 벤처육성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반등세 - 증권업계는 이 같은 강세의 배경으로 우선 1분기 실적 호전을 꼽는다. 우리기술투자가 1분기에 흑자전환한 것을 비롯해 대부분의 창투사들이 실적 모멘텀을 갖췄다는 평가 - 지난해 대규모로 부실을 털어낸 데다 올해 초 신규 상장주에 대한 투자수익이 높았기 때문 * KCC건설·동원개발, 기관 입질 활발 - 실적이 양호할 전망인 데다 자산가치도 높아 기관의 입질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 - 증권업계는 올 들어 기관의 꾸준한 매수세 유입으로 두 회사의 주가가 재평가받고 있다는 진단 * 동국제강, 주가 널뛰기‥4월말 급락이후 이달들어 급등세 -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와 29% 증가하는 등 실적이 호전됐지만 향후 전망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주가도 덩달아 요동친 것으로 분석 - 증권사들은 이와 관련,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하면서도 목표주가는 하향 조정 * 더존디지털웨어(045380) ; 외국인 매수 상한가 - 다이와증권 창구로 2만여주의 매수 주문이 나오는 등 외국인 매수세 유입이 강세의 배경 - 전체 외국인 지분은 14.09%로 늘었으며,이날 외국인이 2만1천여주(0.48%)를 추가 매수해 지분율이 14.57%로 상승...이처럼 외국인들이 매수에 나선 이유로는 실적 기대감 때문인 것으로 풀이 * 현대상선, 1분기 사상최대 순익 ‥ 52.4% 증가 - 1분기 순이익이 1천5백58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52.4%,직전 분기보다는 25.3% 각각 증가 - 영업이익과 경상이익은 1천5백7억원과 1천8백9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9.8%와 23.6% 증가...매출액은 1조2천3백57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 - 환율 하락과 유가 급등 등 불안정한 사업환경 속에서도 해상운임 상승 등 각 사업부문 경쟁력 강화와 이자비용 등 영업외 비용 감소 등에 힘입어 수익성 호전 * LG필립스LCD 활짝 웃었다 - 전문가들은 LCD 경기가 살아나고 있는 만큼 LG필립스LCD의 실적 개선은 시간 문제라는 분석을 제시 - 일부에선 대규모 설비 투자에 따른 차입금 부담이 남아 있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 * 한라건설(014790) ; 만도 M&A 기대로 상승 - 만도의 매각가격이 한라건설이 보유한 지분의 장부가격보다 5~7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산가치가 재부각되고 있기 때문 - 만도측에서는 부인하고 있지만 만도의 대주주인 JP모건파트너스와 UBS캐피털이 자신들이 보유한 지분(72.3%)을 매각할 계획이라는 소문이 일부 외신을 타고 확산 중 - 한라건설은 만도 주식 66만5천여주(지분율 9.27%)를 보유...이 주식의 장부가액은 주당 5만4천7백39원(총 3백64억원) - 만도의 예상 매각가격은 주당 28만9천~38만5천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서울반도체, 영업익 37% ↑ '기대이상' - 1분기에 매출 3백14억원과 영업이익 51억원, 순이익은 45억원 기록...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8.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7.1%,61.4% 증가 - 전통적으로 비수기인 1분기의 실적이 전분기보다 높게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 - 휴대폰 디스플레이용 백색LED(발광다이오드)와 광고용 톱LED의 점유율이 크게 늘어난 결과 * 대한항공(003490) ; '어닝 쇼크' 2분기도 난기류 -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16.4% 감소한 6백10억원,당기순이익 역시 70% 감소한 5백26억원을 기록...매출액은 1조7천23억원으로 2.5% 증가 -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유가 인상뿐 아니라 화물항공 수요가 크게 둔화된 점이 부정적이라며 실적전망과 목표가를 잇따라 하향 * 삼성물산(000830) ; 1분기 영업익 29% 줄어 311억 - 1분기에 2조2천9백53억원의 매출에 3백1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은 7.8%,영업이익은 29.2% 감소 - 그러나 영업외이익이 증가하면서 순이익은 49.3% 늘어난 5백48억원 기록 -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매출이 감소한데다 직원들에 대한 성과급이 이번에 지급됐기 때문 * 한국전력(015760) - 고유가로 전력 생산비용이 증가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38.8% 감소한 4천2백45억원...매출은 6조1천9백75억원으로 5.6% 증가 - 지분법평가이익 증가와 법인세법 개정에 따른 세금감소로 순이익은 6.3% 늘어난 1조1천1백40억원을 기록 - 고유가로 전력구입비가 11.5%나 증가하는 등 영업비용이 6천8억원 늘어나 영업이익이 감소 * 한국타이어(000240) - 수출이 3천2백7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0%가량 증가한 데다 판매단가도 인상돼 매출이 4천7백56억원으로 6.3% 증가 - 하지만 환율 하락으로 영업이익은 6백83억원으로 2.4% 감소 * 한화(000880) - 매출은 4천7백96억원으로 25.0% 감소...방산부문 매출이 늘었지만 철강과 석유류제품 등 무역부문이 부진했기 때 - 이에 따라 영업이익도 1백65억원으로 16.7% 감소 * 유한양행 - 매출이 8백24억원으로 7.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백12억원으로 소폭(1%) 증가 - 내년 출시 예정인 신약(레바넥스)의 임상연구비와 신제품 마케팅비용이 늘었기 때문 - 2분기에는 매출이 18% 늘어나는 등 실적이 개선될 것 * 엔씨소프트(036570) - 매출은 6백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영업이익은 2백13억원으로 33% 감소 - '리니지2'의 국내 매출이 부진했기 때문 * 디에이피(066900) - 1분기에 매출 1백3억원,영업손실 19억원을 기록...전년동기에 비해 매출은 23.9%나 줄었고 영업이익은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 - 경상손실과 순손실도 각각 18억원,10억원 - 계절적 요인에 따른 매출 감소요인도 있었지만 환율하락과 고정비 증가 등이 경영실적 악화의 주 요인 * 엠파스(066270) - 지난 1분기 24억7백만원의 영업손실...전분기대비 적자폭이 감소했지만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늘어난 수준 - 매출액은 72억1천만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14% 증가...경상손실과 당기순손실 규모도 56억6천만원 - 1분기가 계절적 비수기인데다 소액 광고주 이탈로 키워드 광고 매출이 줄어들어 전체 매출이 감소 * 화일약품(061250) - 1분기에 매출 1백24억원,영업이익 12억원을 기록...전년 동기에 비해 매출은 7.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3% 감소 - 순이익은 9억8천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9% 증가 - 전통적으로 1분기에는 매출이 취약한 사업구조를 갖고 있어 실적이 기대만큼 좋지 않아 ** 본 한경브리핑 서비스는 거래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정보의 오류 및 내용에 대해 당사는 어떠한 책임도 없으며, 단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