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위기론’이라는 말처럼 자주 호출되는 수사가 또 있을까. 외국 영화가 국내 극장가를 점령할 때마다 ‘한국 영화 위기론’이 제기된다. 그러다가 한국 영화 한 두 편이 흥행하면, 언제 그랬냐는 듯 너도나도 ‘한국영화의 힘!’ ‘한국영화 쌍끌이 흥행’을 외친다. 그리고 다시 또 외화가 치고 나오면 위기를 얘기한다. 데자뷔 수준이다. 단기 기억상실증이 따로 없다. 대안 없이 수치만 나열하는 기사들이 반복되다보니, 이젠 관객들도 속지 않는다. “앓는 소리 그만하라”는 목소리가 튀어나올만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한 번 ‘한국영화 위기론’을 꺼내든 이유는, 올해 상반기 한국영화가 단순히 할리우드 영화에 추월당해서가 아니다.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와 ‘엣지 오브 투모로우’ 앞에 한국영화들이 기를 뭇 펴서도 아니다. 한국영화의 전반적인 질적 저하가 극명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올 상반기 영화들을 보면 작가적 영화도 아니고 그렇다고 재기발랄한 기획이 돋보이는 영화도 아닌 정체성 불명의 영화들이 쏟아져 나왔다. 현빈 주연의 ‘역린’은 드라마와 영화 사이에서 배회했고, ‘우는 남자’는 ‘아저씨’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인간중독’도 김대우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가 성장했음을 증명해 보이진 못했으며, ‘황제를 위하여’가 품은 폭력이나 선정성은 기존 조폭 영화에서 크게 빗겨가지 못했다. 이들 영화들이 관객과 소통하지 못했던 이유는 명확하다. 영화 자체 만듦새의 문제였다.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 스타캐스팅

한국 영화가 이렇듯 관객들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는 데는 대기업 위주로 재편된 영화 시장에 문제가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견해다. 대기업이 영화 산업에 들어오면서부터 영화는 더 이상 영화만의 것이 아니게 됐다. 영화는 상품으로, 대기업 이익 창출의 통로로 팔려나갔다. 수익이 제1목표인 대기업들은 공무원 마인드가 강하다. 모험을 하기보다는, 기존 성공했던 것들을 답습해서 변형하는 것이 이들의 특기다. 대기업이 큰 힘을 발휘하면서 시나리오 개발과 영화 편집권이 투자배급사의 말 한마디 휘둘린다는 것은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런 환경에서는 감독의 작품세계에 천착하는 예술영화들이 설 자리가 없다. 제 2의 봉준호, 제2의 박찬욱, 제2의 이창동이 탄생할 수 있는 토대 자체가 사리지고 있는 셈이다.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언론도 책임을 피해갈 수는 없다. 기사 쓰기용 기사가 넘친다. 핵심을 짚기보다는 숫자에 휘둘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정확한 데이터 분석에 게으르기 때문이다. ‘트랜스포머4’의 폭격 앞에 위기를 얘기하다가, ‘신의 한 수’의 흥행에 말을 반대로 바꾸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한국영화에 다소 편파적인 면도 부정할 수 없는 일이다.최근 이십세기폭스가 배급하는 ‘혹성탈출’의 변칙개봉을 두고 난리가 났다. 폭스의 결정은 마땅히 비판 받아야 할 문제다. 아무리 “전 세계 개봉일에 맞추다 보니 급하게 개봉일을 변경했다”고 말해도, 변명일 뿐이다. 이미 많은 영화들이 ‘혹성탈출’의 개봉일까지 고려해서 개봉 일을 잡았다는 사실을 폭스가 몰랐을 리 없다. 몰랐다고 하면, 순진한 게 아니라 바보인 거다. 이십세기폭스의 역사가 몇 년인데. 다만 아쉬운 것은 ‘대기업 VS 중소기업’의 문제를 ‘한국영화 VS 외화’의 문제로 몰고 가며 논점을 흐르고 한국영화 위기를 부추기는 일부 언론의 태도다. ‘한국영화계 대혼란’ ‘한국영계 넋 놓고 당하나’ 이런 기사 타이틀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한국영화의 위기는 ‘트랜스포머4’ 때문도, ‘엣지 오브 투모로우’ 때문도, ‘혹성탈출’ 때문도 아니다. 가장 큰 적은 내부에 있다.

한국영화 위기론?① 언제나 위기 아니었나! 보러가기
한국영화 위기론?② 그래도, 끝까지 간다! 보러가기

글. 정시우 siwoorain@tenasia.co.kr
사진. 영화 스틸

[나도 한마디!][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