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텐아시아DB
사진=텐아시아DB
건물주, 자산가가 됐다는 스타들은 얼핏 큰 돈을 손쉽게 버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양세형, 황영진, 장성규 등 스타들도 알뜰살뜰 모으고 절약한 덕에 건물주, 자산가가 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양세형은 지난해 7월 서울 마포구 서교동 홍익대학교 인근 건물을 109억 원에 매입했다. 1993년 준공된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의 이 건물을 증축 및 내외관 리모델링해 가치를 높였다.

양세형이 109억 원대 건물주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은 '돈을 모으는 습관' 덕분이다. 최근 진행된 KBS 새 예능 '하이엔드 소금쟁이' 제작발표회에서 양세형은 "비슷한 수입을 받고 있는 연예인보다도 돈을 많이 모은 건 사실"이라며 "돈을 더 소중하게 생각했다. 돈이 스스로 일하게 하는 방법을 깨달았다. 적금이라든지 채권, 국내 주식 해외 주식이라든지 다 해서 돈을 모았다"고 밝혔다. 또한 "어렸을 때부터 수익보다 지출을 어떻게 해야 하냐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정확히 내가 월평균 얼마씩 나가고 있고 이런 걸 항상 체크를 하면서 지출을 줄였다"고 절약 정신을 강조했다.

양세형은 "지출로 인해 나가는 돈은 어디서 얼마만큼 나가고 있는지 정확히 알고 있고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는 건 쓸데없는 돈 1만 원도 쓰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TV 인터넷 약정이 끝나면 내가 먼저 전화한다. 약정이 끝나고 재계약을 하면 뭘 더 주냐고 물어본다. 휴대폰 요금 같은 경우에도 1년에 한 번씩 전화해서 더 할인 받을 수 있는 거 없냐고 물어본다. 소비를 현명하게 줄이는 거다"며 현명한 소비자의 면모를 보였다.
사진=텐아시아DB
사진=텐아시아DB
'현금 부자'라는 개그맨 황영진은 "20년 넘게 열심히 절약해서 은행 이자로 연 몇천만 원씩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10억 원 이상의 현금을 소유, 은행 이자로 수천만원을 받고 있다고 한다.

황영진이 '현금 부자'가 될 수 있었던 건 아내마저 '궁상'이라고 할 정도의 절약하는 습관을 가졌기 때문이다. 아내 김다솜 씨는 "주워 오는 건 다반사고 분리수거장 뒤질 때도 있다. 본인 몸을 혹사시킬 정도로 돈을 아끼는데 모든 게 궁상인 것 같다"고 걱정했다.
사진=SBS '동상이몽2' 캡처
사진=SBS '동상이몽2' 캡처
황영진은 변기 물도 볼일을 여러 번 본 후에야 내렸고, 자녀들이 남긴 반찬을 모아 볶음밥으로 만들어 먹는가 하면 물티슈도 재탕했다. 짠돌이가 된 이유에 대해 황영진은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혼자 살게 됐다. 어머니도 지방에서 일하고 형은 기숙사 생활을 했다. (나를) 봐줄 사람이 없었다"며 "어느 순간 아빠가 되니 불안하더라. 가난을 절대 물려주지 말자고 결심했다. 가난하게 태어난 건 잘못이 아니지만, 가난하게 죽는 건 내 잘못이란 생각으로 살아왔다. 나는 좀 힘들어도 우리 가족은 풍요롭고 행복하게 살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그의 말처럼 황영진은 가족들을 위해서는 아낌 없이 소비했다. 대형마트에서 아이들이 원하는 물건은 고민 없이 사고, 아내에게 깜짝 선물로 1억 원을 건네기도 했다.
사진=텐아시아DB
사진=텐아시아DB
2019년 프리랜서로 전향한 장성규는 3년 만에 서울 강동구에 아파트를 마련했다. 또한 2021년 8월 서울 청담동의 건물을 65억 원에 매입해 건물주가 됐다. 해당 건물은 지하 2층~지상 4층 규모. 현재 시세는 100억 원 이상을 호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년 만에 30억 원 이상이 오른 것이다.

장성규가 건물주가 될 수 있었던 비결 중 하나는 어린 시절부터 들여온 저축 습관 덕분이라고. 한 방송에서 장성규는 "초등학교 때부터 아파트 전단지 등의 일을 해서 초등학교 고학년 때 모은 돈이 1000만 원 이상이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전원주는 연예계 대표 '짠순이'로 꼽힌다. 58만 원으로 시작한 주식을 30억 원까지 불린 투자의 귀재이기도 하다.

전원주가 자산가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는 똑 소리 나는 재테크와 더불어 아끼는 습관이다. 전원주는 "물을 지나치게 아껴서 수도사업소에서 계량기가 고장난 줄 알고 연락 왔다"며 전기세가 2000원대로 나온 적도 있다고 한다.

남들은 보기엔 궁상 같지만 이들은 근검절약하는 생활 습관 덕에 재력가가 될 수 있었다. 꾸준히 저축하고 아껴 쓰고 똑똑하게 재테크하는 모습은 바람직한 소비 생활의 본보기가 된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