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경의 인서트》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일본·한국 이어 중국 상륙
개봉 5일 만 1000만 관객 돌파, 박스 오피스 4억 위안↑
한국·중국·일본에서만 인기 있는 이유는?
'더 퍼스트 슬램덩크', 일본·한국 이어 중국 상륙
개봉 5일 만 1000만 관객 돌파, 박스 오피스 4억 위안↑
한국·중국·일본에서만 인기 있는 이유는?
《강민경의 인서트》
영화 속 중요 포인트를 확대하는 인서트 장면처럼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가 영화계 이슈를 집중 조명합니다. 입체적 시각으로 화젯거리의 앞과 뒤를 세밀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일본 만화 원작인 농구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일본, 한국에 이어 중국에서 개봉했다. 개봉 첫날부터 50만 명의 관객을 불러 모았고, 개봉 5일 만에 누적 관객 수 4억 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한국, 중국, 일본에서만 '대박'이 난 이유는 무엇일까.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전국 제패를 꿈꾸는 북산고 농구부 5인방의 꿈과 열정, 멈추지 않는 도전을 그린 영화다. 지난해 12월 3일 일본 개봉을 시작으로 올해 1월 4일 한국, 1월 12일 홍콩, 4월 14일 베트남, 4월 20일 중국 등에서 개봉해 관객과 만났다.
중국 개봉 첫날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소위 말하는 대박이 터졌다. 마오옌 프로페셔널 에디션 데이터에 따르면 2000만 위안(한화 약 39억 원)을 넘어섰고, 50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이는 최근 3년간 중국 영화 시장에서 '아바타: 물의 길'을 제친 기록이다.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에 이어 2위에 이름을 올렸다. 개봉 5일 만에 누적 관객 수 1000만 명을 넘어섰고, 박스오피스는 4억 위안(한화 약 771억 원)을 돌파했다. 중국 내에서 '더 퍼스트 슬램덩크' 주 관람자는 1980년대생 남성 관객들이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원작인 '슬램덩크'는 일본에서 1990년 주간 소년 점프 42호로 연재를 시작해 1996년 27호로 연재 종료됐다. 중국에서는 1995년에 애니메이션으로 각색돼 소개됐고, 1996년 '전국 대회에서 만나요'라는 문구로 종영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관객에게는 어린 시절의 추억을 소환하게 했다.
중국 관객도 '더 퍼스트 슬램덩크'를 기다렸다. 원작자 이노우에 다케히코 역시 SNS를 통해 중국에서 개봉하게 된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더 퍼스트 슬램덩크' 공식 웨이보(중국 SNS)에는 불법 촬영을 자제해달라는 호소문이 게재됐다. 수년간 중국 내에서 불법 촬영 및 복제가 만연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 역시 피해 갈 수 없었다. 불법 촬영 이슈에도 불구하고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인기는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북미에서 미개봉한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아시아 영화 시장에서 힘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에서 팬덤을 형성한 것. 그중 한국, 중국, 일본에서만 '중꺾마(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열풍이 불고 있다. 공통점인 어린 시절 추억 소환을 제외하고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유독 한국, 중국, 일본 시장에서만 대박이 난 이유는 무엇일까. 일본은 과거부터 애니메이션 강국이라 불렸고, '슬램덩크'로 마니아층을 만들어냈다. 일본과 문화가 비슷한 동아시아권으로 묶인 한국, 중국 역시 영향을 받았다. 특히나 중국은 실제로 농구의 본고장인 NBA(미국 프로 농구)에 왕즈즈, 야오밍, 이젠롄 등을 진출시켰다. 한국과 일본의 인기 스포츠인 야구와 축구에 비해 선수가 해외 진출해 성공을 거둔 건 농구가 유일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영화계 한 관계자는 "'슬램덩크'라는 IP 특성상 90년대에 만화책을 소비했던 동아시아 팬덤이 극장판을 관람할 의지가 생기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미의 경우 '슬램덩크'라는 만화책이 흥행했던 당시 아시아 문화권이 친숙하지 않은 소비층에게 다가가지 못했고, 만화책 이후 영화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다보니 요즘 젊은 관객들에게도 친숙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결국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한·중·일 관객들에게 '슬램덩크가 20여 년 만에 돌아왔다'라고 환영받는 것과 달리 난생처음 보는 신규 애니메이션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북미에 개봉했던 극장판 '귀멸의 칼날', '주술회전'이 유의미한 스코어를 이룬 것을 보면 흥행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극장판으로 IP가 확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 kkk39@tenasia.co.kr
영화 속 중요 포인트를 확대하는 인서트 장면처럼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가 영화계 이슈를 집중 조명합니다. 입체적 시각으로 화젯거리의 앞과 뒤를 세밀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일본 만화 원작인 농구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일본, 한국에 이어 중국에서 개봉했다. 개봉 첫날부터 50만 명의 관객을 불러 모았고, 개봉 5일 만에 누적 관객 수 4억 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한국, 중국, 일본에서만 '대박'이 난 이유는 무엇일까.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전국 제패를 꿈꾸는 북산고 농구부 5인방의 꿈과 열정, 멈추지 않는 도전을 그린 영화다. 지난해 12월 3일 일본 개봉을 시작으로 올해 1월 4일 한국, 1월 12일 홍콩, 4월 14일 베트남, 4월 20일 중국 등에서 개봉해 관객과 만났다.
중국 개봉 첫날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소위 말하는 대박이 터졌다. 마오옌 프로페셔널 에디션 데이터에 따르면 2000만 위안(한화 약 39억 원)을 넘어섰고, 50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이는 최근 3년간 중국 영화 시장에서 '아바타: 물의 길'을 제친 기록이다.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에 이어 2위에 이름을 올렸다. 개봉 5일 만에 누적 관객 수 1000만 명을 넘어섰고, 박스오피스는 4억 위안(한화 약 771억 원)을 돌파했다. 중국 내에서 '더 퍼스트 슬램덩크' 주 관람자는 1980년대생 남성 관객들이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원작인 '슬램덩크'는 일본에서 1990년 주간 소년 점프 42호로 연재를 시작해 1996년 27호로 연재 종료됐다. 중국에서는 1995년에 애니메이션으로 각색돼 소개됐고, 1996년 '전국 대회에서 만나요'라는 문구로 종영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관객에게는 어린 시절의 추억을 소환하게 했다.
중국 관객도 '더 퍼스트 슬램덩크'를 기다렸다. 원작자 이노우에 다케히코 역시 SNS를 통해 중국에서 개봉하게 된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더 퍼스트 슬램덩크' 공식 웨이보(중국 SNS)에는 불법 촬영을 자제해달라는 호소문이 게재됐다. 수년간 중국 내에서 불법 촬영 및 복제가 만연했다. '더 퍼스트 슬램덩크' 역시 피해 갈 수 없었다. 불법 촬영 이슈에도 불구하고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인기는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북미에서 미개봉한 '더 퍼스트 슬램덩크'는 아시아 영화 시장에서 힘을 발휘하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에서 팬덤을 형성한 것. 그중 한국, 중국, 일본에서만 '중꺾마(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열풍이 불고 있다. 공통점인 어린 시절 추억 소환을 제외하고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유독 한국, 중국, 일본 시장에서만 대박이 난 이유는 무엇일까. 일본은 과거부터 애니메이션 강국이라 불렸고, '슬램덩크'로 마니아층을 만들어냈다. 일본과 문화가 비슷한 동아시아권으로 묶인 한국, 중국 역시 영향을 받았다. 특히나 중국은 실제로 농구의 본고장인 NBA(미국 프로 농구)에 왕즈즈, 야오밍, 이젠롄 등을 진출시켰다. 한국과 일본의 인기 스포츠인 야구와 축구에 비해 선수가 해외 진출해 성공을 거둔 건 농구가 유일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영화계 한 관계자는 "'슬램덩크'라는 IP 특성상 90년대에 만화책을 소비했던 동아시아 팬덤이 극장판을 관람할 의지가 생기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미의 경우 '슬램덩크'라는 만화책이 흥행했던 당시 아시아 문화권이 친숙하지 않은 소비층에게 다가가지 못했고, 만화책 이후 영화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다보니 요즘 젊은 관객들에게도 친숙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결국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한·중·일 관객들에게 '슬램덩크가 20여 년 만에 돌아왔다'라고 환영받는 것과 달리 난생처음 보는 신규 애니메이션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북미에 개봉했던 극장판 '귀멸의 칼날', '주술회전'이 유의미한 스코어를 이룬 것을 보면 흥행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극장판으로 IP가 확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 kkk39@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