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가 연예계 곳곳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객관적이고 예리하게 짚어냅니다. 당신이 놓쳤던 '한 끗'을 기자의 시각으로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비상식에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하면 돼)다. 국정감사의 수준이 창피하다 못해 참담한 수준이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은 지난 2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이하 국감)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김태호 하이브 COO(최고운영책임자)와 질의시간을 가졌다.
민형배 의원은 하이브 내부 임원들이 공유한다는 '업계 동향 리뷰 자료' 중 일부를 공개했는데, 여기에는 '멤버들이 한창 못생길 나이에 우르르 데뷔시켜놔서, 누구도 아이돌의 이목구비가 아닌 데다가', '성형이 너무 심했음', '다른 멤버들은 놀랄 만큼 못생겼음' 등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같은 내용이 하이브 내부 아티스트인지, 타 회사 아이돌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었다.
ADVERTISEMENT
한 마디로 정리하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K팝 아이돌을 대상으로 한 대중의 반응들을 끌어다 한데 모아놓은 문서라는 것이다.
그런데 민 의원은 "모니터를 해서 위클리 음악 산업 리포트라는 이름으로 회사에서 작성한 것 아니냐"며 "회사에서 한 건데 왜 다른 사람들 것이라고 이야기 하냐"고 핵심을 파악하지 못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제가 아주 여러 개를 편집했다. 정보들이 원색적이고 노골적이다. 비방과 외모 평가가 담겨있다"며 "이같은 질 낮은 표현들이 모두 미성년자에 대한 것이고, 그걸 지적하는 것이다. 아이돌에 대한 비인격적인 인식과 태도"라고 했다.
ADVERTISEMENT
나아가, 이같은 모니터링은 엔터사라면 필수적으로 시행된다. 빅4(하이브, JYP, SM, YG)를 포함해 모든 엔터사들은 소속 아티스트는 물론이고, 경쟁사와 타사 아티스트의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김태호 COO가 "저런 모니터링 자료들을 많이 만들고 검토한다"고 떳떳하게 말한 배경이기도 하다.
굳이 문제를 삼는다면 모니터링 내용을 문서화했다는 것인데, 몸집이 커진 하이브는 효율성을 고려해 이같은 방식을 선택한 것으로 파악된다. 여러 엔터사에서 구두로 또는 여타 방식으로 진행되는 모니터링 보고가 문서화됐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건 말이 안된다.
ADVERTISEMENT

국감을 '이벤트성 정치쇼'에 빗대는 말도 있지만, 국민이 보는 앞에서 해명 요지조차 바로 이해하지 못하고 프레임에 맞춰 '답정너'로 몰아세우는 촌극에 보기 부끄러웠다는 반응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 직장 내 괴롭힘 개선을 위해 52억 정산의 뉴진스 외국인 멤버 하니를 증인으로 부르는 국감의 수준이 참담하다는 목소리도 계속되는 상황이다.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 wisdomart@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