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자기 이야기만 하면 안 된다. 유명세를 써 먹는 건 좋지만, 자기 유명세로 남의 이야기를 해야지 않나. 진짜 돈 못 받았던 애들, 그런 애들을 데리고 와야 한다. 노동법에 (이 일을) 갖고 오고 싶으면 10퍼센트가 계약직 프리랜서 무시 받은 걸 이야기해야지, 우리 팀이 어쩌고 했다. 우리 팀 맡아 주는 사람이 이렇게 됐다만 이야기하지 않나"라고 일침했다.
ADVERTISEMENT
캡은 52억을 벌고 외국인인 하니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연예계 무시와 괴롭힘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내 주위에는 취약 계층들이 많다. 엔터 쪽에 소속된 사람들은 엄청 많을 것이다. 그런 데에 포커싱 해줘야지, 자기들 팀이 무시당하고 괴롭힘당했고 그러면 어떻게 하냐. 나간 거까지는 괜찮았지만 말을 못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뜬 연예인들은 개꿀 맞다. 안 뜬 애들이 문제인 거다. 안 보이는 애들이 문제"라며 "내 목소리를 듣게 하고 싶으면 회색 지대의 사람들에게 공감을 공감대를 형성시켜줘야 하는데 하니는 그러지 못했다. 답답했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하니는 지난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 국정감사에 출석해 '아이돌 따돌림' 직장 내 괴롭힘 문제와 관련한 피해를 언급하면서 어도어 김 대표를 향해 "김 대표가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충분히 하실 것들이 더 있었고 애초에 저희를 지켜주셨다 하셨는데 액션조차 의지가 없으셨다"며 "앞으로 최선 더 해주셨으면 좋겠다. 지금 말하면 이 문제도 그냥 넘어갈 거라는 걸 잘 알고 있어서 미래를 논하기 전에 이 문제를 빨리 해결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한 바 있다.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 wisdomart@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