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적 영상 제작에 '골머리'
판 치는 가짜뉴스…유명인, 이미지 훼손 피해
개인 미디어 시대의 '부작용' 사례
판 치는 가짜뉴스…유명인, 이미지 훼손 피해
개인 미디어 시대의 '부작용' 사례

해당 영상에는 "위급한 상황에서 백종원의 심장이 갑자기 멈췄고, 소유진은 너무 걱정돼 눈물을 터뜨렸다"면서 "이서진과 정유미는 소유진을 격려하며 의사를 믿으라고 말했다"라고 설명하기도.
ADVERTISEMENT
두 영상 모두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헛소문. 즉 가짜뉴스였다. 가짜뉴스가 나오는 이유는 개인 미디어 시대로의 도래에 있다. 개인이 영상을 만들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사회다. 영상 제작에 유명인을 거론해, 이슈몰이하겠다는 전략. 개인 미디어 시대의 부작용이다.

악의적인 영상 제작자에게 벌을 주기도 쉬운 일이 아니다. 배우 서이숙은 1년간 자신을 괴롭히던 '사망설'과 싸워온 인물이다. 지속해서 서이숙에게 '사망'이라는 단어를 붙여, 입장을 곤란하게 만들었다.
ADVERTISEMENT
서이숙은 즉각 고소 조치했다. 다만 C 씨의 나이가 어린 점과 부모의 사과 등으로 취하 결정을 했다. 유명인이 일반인과 마찰이 생겼을 때 이미지 손상은 물론, 득이 될 것이 없다는 방증이다.
자극적인 단어로 개인에 대한 명예가 훼손되고 있다. 개인 미디어 시대의 폐단이다. '사망'이 주는 단어의 무게는 무겁다. 자신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보고 기쁠 사람은 없다. 주장에는 근거가 필요한 것. 때아닌 사망설은 불쾌감에 내뿜을 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