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복무 사각지대' 대중예술 그리고 BTS②》
기울어진 운동장 병역특례 제도
산업기능요원 4000명 최다
박·석사 전문연구요원 2500명, 해운 수산업 승선 근무도 1000명
1973년 제도 시행 뒤 835명 예술요원 편입 됐지만
대중예술인은 '전무'
'국위선양' K팝' 산업 육성 측면에서 바라봐야
기울어진 운동장 병역특례 제도
산업기능요원 4000명 최다
박·석사 전문연구요원 2500명, 해운 수산업 승선 근무도 1000명
1973년 제도 시행 뒤 835명 예술요원 편입 됐지만
대중예술인은 '전무'
'국위선양' K팝' 산업 육성 측면에서 바라봐야

10일 국방부 등에 따르면 운영되고 있는 대체복무제도는 8종류다. 생산,제조업 등 중소기업에서 근무를 하는 산업기능요원이 4000명으로 가장 많다. 이공계 석·박사 과정 진학을 통해 국방의 의무를 지는 전문연구요원이 2500명으로 뒤를 잇고 있다. 원양 어선 등 해운,수산업체에서 근무하는 인원도 1000여명에 달하고, 공중보건의나 공익법무관, 공중방역수의사 등도 합치면 1800여명에 달한다. 여기에 매해 선발인원 수가 바뀌는 예술·체육 요원까지 더하면 9000여명이 대체 복무를 통해 국방의 의무를 해결한다.

ADVERTISEMENT

국위선양과 문화발전이라는 예술요원 편입의 추상적인 잣대는 예술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지 못한다. 적어도 병역에 있어서는 말이다. 대중예술인과 설치 미술 등 현대 미술계는 지난 50년간 대체 복무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다. 올림픽 3등이내 아시안게임 1등 등 순위가 있는 체육계나 국제 콩쿠르 2위이내 입상 또는 국내 콩쿠르 1위 라는 음악 무용처럼 영화, 가요 등 대중문화계도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상들이 있지만, 이들의 재능은 존중받지 못했다.
현역 입대 기피와 병역 면탈 이라는 명분으로 둘러 쌓여진 채 꾸려진 전선은 대중문화인들이 목소리를 내기에는 광범위 했다. 현역병과의 공정성 프레임은 고급예술계와 불공정한 상황에 놓인 대중예술인을 핍박하기 좋은 명분을 제공했다. 이남경 한국매니지먼트연합 국장은 "미디어에 쉽게 노출되는 엔터 산업 종사자들은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다. 이들의 활약이 국민들의 자부심을 넘어 대한민국이란 브랜드를 어필할 수 있는 '실질적 국위선양'"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방탄소년단의 군입대 시기와 맞물려 사실상 최초로 대중예술인의 병역 특례 편입 여부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특정 그룹의 병역 특혜로 치부하기엔 엔터산업이 한국 경제에 기여하는 정도와 사회적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다. 앞으로 어린 남자 배우가 오스카라도 석권하면 또 사회적 논쟁을 이어가는 것은 소모적이다. "한국의 문화 자원을 빼았기지 말아야 한다"는 명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다만 문화가 어느 분야인지는 제도가 만들어진 뒤 50년이 지난 시점에서 다시 생각해 볼 때다.
김순신/윤준호 텐아시아 기자 soonsin2@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