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엽 감독./사진제공=티빙
이상엽 감독./사진제공=티빙
28일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유미의 세포들 시즌2’의 이상엽 감독, 송재경, 김경란 작가와 화상 인터뷰로 만났다. 이날 작품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세포들과 함께 먹고 사랑하고 성장하는 평범한 김유미(김고은 분)의 이야기를 그린 '유미의 세포들' 시즌2에서는 꿈과 사랑의 경계에 선 유미의 이야기를 그렸다.

‘유미의 세포들’이 시즌 1보다 큰 인기로 시즌 2를 마무리한다. 해당 작품은 티빙 오리지널 드라마 유료가입기여자수 1위를 기록,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호평받았다.

김경란 작가 “ 일단 너무 좋다. 이렇게 많은 호응을 해주시니까. 시즌1보다는 2가 더 와닿는 느낌이 있더라. 그래서 좋았는데, 해외에서는 사실 애니메이션을 만들면서도 좋아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긴 했다. 호평이 있으니까 좋다.

이상엽 감독 “일단 이야기가 좋은 것 같다. 개인의 이야기지만 보편적인 것 같다. 특별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수도있는 이야기. 나이, 세대, 국적을 떠나 충분히 누구나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과정들인데, 새로운 방식으로 담아낼 수 있어서 사랑받지 않았나 생각하다.”
이상엽 감독, 송재경, 김경란 작가./사진제공=티빙
이상엽 감독, 송재경, 김경란 작가./사진제공=티빙
1년 만에 시즌2로 돌아온 '유미의 세포들’은 지난 시즌 안보현과의 연애와 이별로 성장한 김고은이 박진영과 두근거리는 '썸'을 시작하며 설렘을 안겼다. 시즌 1,2를 통틀어 감독, 작가진이 뽑은 베스트 명장면을 들어봤다.

김경란 작가 “시즌1에서 구웅이랑 유미가 바다로 놀러갔다가 서로 사소한 말다툼이 있었다. 오해가 생겼다가 화해한 순간이 짜릿하고 좋았다. 이후 격정 사랑신이 나온다.(웃음) 시즌2는 카페에서 헤어지는 장면이 배우들의 눈빛도 너무 좋았고 분위기도 너무 좋았다.”

송재경 작가 “시즌 1은 개구리를 잊을 수 없다. 그리고 엔딩 장면이 좋았다. 시즌 2는 12회 아파트에서 청혼과 함께한 키스신이 기억에 남는다. 오롯이 세포들도 없이 연기로 간 장면인데 그 장면이 감동적이었다. 개인적으로는 시즌2 7부를 좋아한다. 유미가 작가가 되고 커플링을 하고, 그러다 다은이가 나타나는 등 스토리적 변곡점이 많아서 재미있었다.”

이상엽 감독 “저는 너무 많다. 시즌 1에서는 유미가 꿈에 들어가서 게시판 남기는 장면이 화려한 건 아니지만 여운이 많이 남았다. 합성하는 장면도 처음이라 어렵게 작업했는데 잘 나왔다. 하고자하는 얘기가 잘 전달된 것 같아서 좋았다. 시즌 2도 너무 많은데 지금 생각나는 장면은 바비와 유미의 공항 신이다. 찍을 때 마음이 좀 이상했다. 멜로드라마에서 공항 신이 한번쯤은 나오는데 예전에 못 느껴봤던 감정이 잘 담겼던 것 같다.”
송재경, 김경란 작가./사진제공=티빙
송재경, 김경란 작가./사진제공=티빙
‘유미의 세포들’은 실사와 애니메이션이 함께 등장한다. 이는 국내 첫 시도라는 점에서 작품에 의미를 더한다. 이밖에도 해당 작품에는 한국 드라마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포인트가 다양하게 담겼다.

송재경 작가 “가장 의미가 있었던 건 제가 생각하기에 드라마가 품어지는 장르의 범위를 넓혔다고 생각한다. 처음 만들때 어떻게 나올 지 뚜렷이 예상한 사람 아무도 없었던 것 같다. 애니도 드라마의 범주에 넣을 수 있고, 둘이 같이 공생할 수도 있고, 그것들이 가능하다는 것. 그것들을 잘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김경란 작가 “저도 드라마가 새로운 장르를 열었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없었던 애니라는 장르와 함께 사람의 생각을 디테일하고 섬세하게 보여주는 것에 대해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거에 의의를 두고싶다. 이밖에 에피소드 형식으로 되어있는 드라마라는 점 등 자체로도 새로운 방식이 많았던 것 같다.”

이상엽 감독 “이게 될까 싶었다. 안 해본거라 리스크가 컸는데 만들어보니까 재미있었다.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 다양한 방식을 쓸 수 있는데, 애니메이션이란 형식으로 전달했을 때 이것도 충분히 재미있게 소통될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잘 되면 다양한 크리에이터들한테 다양한 드라마 방식의 자극을 줄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런 자극으로 다양한 장르 형식의 드라마가 많이 쏟아졌으면 좋겠다.”

서예진 텐아시아 기자 yejin@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