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주목할 만한 예능
'런닝맨'의 11년 레이스
단거리 넘어 마라톤 시작
'런닝맨'의 11년 레이스
단거리 넘어 마라톤 시작

'콘텐츠 범람의 시대'. 어떤 걸 볼지 고민인 독자들에게 정태건 텐아시아 기자가 '예능 가이드'가 돼 드립니다. 예능계 핫이슈는 물론, 관전 포인트, 주요 인물, 비하인드 스토리까지 낱낱히 파헤쳐 프로그램 시청에 재미를 더합니다.
'걷지 말고 뛰어라!' SBS '런닝맨'을 대표하는 이 슬로건은 지난 11년간의 발자취를 그대로 빼다박았다. 앞만 보고 뛰어다니던 '런닝맨'은 어느덧 현존하는 최장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됐다. 박진감 넘치는 단거리 경주 같았던 '런닝맨'의 뜀박질은 어느샌가 마라톤에 더 가까워졌다. 지난 11일 '런닝맨'은 2010년 7월 11일 첫 방송 이후 정확히 11주년을 맞았다. 총 563회가 방송되는 동안 시청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은 '런닝맨'은 여전히 일요일 황금 시간대를 지키고 있다. 한때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이었던 '1박 2일'이 세 편의 시즌으로 탈바꿈하는 동안 이들은 흔한 휴지기 한 번 겪지 않고 시청자들을 만나고 있다. '이름표 떼기'를 비롯한 흥미진진한 게임과 각 멤버별로 배정된 캐릭터, 그들의 케미가 프로그램을 지탱해왔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거둔 성과도 빼놓을 수 없다. '런닝맨'은 중화권 및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태국, 베트남, 마카오 등 해외 특집에선 '런닝맨'이 가는 곳마다 수많은 인파가 몰릴 정도로 높은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름표 뜯기' 게임을 중심으로 파생된 다채로운 레이스가 외국인들도 이해하기 쉽다는 게 주된 원인으로 꼽혔다. 그 덕에 톰 크루즈, 라이언 레이놀즈, 성룡 등 해외 스타들의 1순위 출연 프로그램이 됐고, '런닝맨'은 판권 수출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얻었다. 해외판 역시 현지에서 뜨거운 인기를 끌었다. '런닝맨' 중국판 '달려라 형제' 시리즈는 약 5년간 총 7개 시즌으로 제작될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
ADVERTISEMENT

파격적인 변화도 있었다. '런닝맨' 특유의 몸을 쓰는 게임은 줄이고 이동 동선을 간소화했다. 지난 4일 방송에서는 한 회차를 '노가리 레이스'로 꾸며 토크 위주의 분량으로 채웠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제작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변화를 꾀한 전략이다.
게스트 의존도를 부쩍 줄이고 멤버간 케미에 집중하는 것도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왔다. 최근 방영된 10회차 중 게스트가 출연한 회차는 단 2회에 그친다. 매주 다른 게스트를 초대해 새로운 재미를 꾀했던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양상인데 좋은 반응을 끌어냈다.
ADVERTISEMENT

11년이라는 오랜 시간 레이스를 이어온 '런닝맨'은 많은 변화 속에서도 고유의 이름을 지켜나가고 있다. 방송 초반 흥미진진한 추격전과 치열한 심리전을 선보였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시청자들을 만난다. 그렇기에 "재미 없어졌다"는 비판을 받을 때도 있지만 매번 전력질주할 수는 없다. 페이스 조절 없이는 '웃음'이라는 목적지로 나아갈 수 없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게 강한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