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북촌방향>│어느 겨울의 실험
│어느 겨울의 실험" />
지방 대학교수로 살아가는 전직 영화감독 성준(유준상)은 친한 형이자 영화평론가인 영호(김상중)를 만나기 위해 서울 북촌에 도착한다. 두 사람은 영호가 각별히 아끼는 후배 보람(송선미), 성준의 데뷔작에 출연했던 배우 중원(김의성)과 만나 밥을 먹고 북촌의 술집 ‘소설’을 찾는다. 이곳의 주인 예전(김보경)은 성준의 옛 애인 경진(김보경)과 쌍둥이처럼 닮았다. 삼일 간의(혹은 세 차례 변주, 반복되는) 방문 속에서 성준과 예전은 눈길을 함께 걷고, 갑작스러운 키스를 나누고, 벅찬 하룻밤을 함께 한다.
영화 <북촌방향>│어느 겨울의 실험
│어느 겨울의 실험" />
끝도 시작도 없이 아득한 시간의 미로여
영화 <북촌방향>│어느 겨울의 실험
│어느 겨울의 실험" />
진심인지는 몰라도 “서울을 얌전하고 조용하게 깨끗하게 통과해 가겠다”는 것이 애당초 성준의 각오였다. 그냥 영호 형만 만나고 “어떤 새끼도 안 만나”고 가려고 했다. 하지만 인간의 의지라는 건 우연이라는 운석들의 낙하 속에 단박에 어지럽혀진다. “20분 동안 영화와 관련된 사람들을 4명이나 마주쳤다”는 보람의 우연에 경쟁이라도 하듯 성준도 길에서 우연히 (별로 반갑지 않은) 여배우를 만나고, (성공한 후 재수 없어진) 동료 감독을 만나고, (이름도 기억 안 나는) 뮤지션을 만나고, (묘한 기운을 가진) 팬을 만난다. 게다가 이미 얌전하지도 조용하지도 않은 성준의 북촌방향에 결정적 암석이 등장한다. 옛 애인과 똑같이 생긴 여자, 예전이다. 그리고 예전과의 충돌을 거친 후 그는 더 이상 예전 같지 않다.

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지만 정작 홍상수는 좀처럼 방향이 없는 감독이다. 제주와 통영, 북촌과 부안이라는 행보에서 어떤 인과도 찾을 수 없다. 성장이나 발전 같은 평가 속에 재단할 수도 없다. 하지만 그는 매번 여기가 아닌 다른 곳으로 움직인다. 홍상수에게 목적지를 묻는 건 무의미하다, 그저 그 움직임의 좌표를 쫓아가는 편이 훨씬 즐거운 관람 방법일 것이다. 컬러로 촬영되었지만 최종적으로 흑백으로 선택된 의 화면은 물리적 광량과 상관없는 심정적 라이트를 수시로 켜고 끄면서 영화의 ‘밤과 낮’ 그 시간적 경계를 지워낸다. 밤길을 걷다 키스를 나누는 남녀의 모습은 마치 낮처럼 환하게 빛나고, 대낮에 홀로 북촌 길을 걷던 남자가 팬(고현정)의 카메라 렌즈 앞에 멈춰 서는 순간, 밤길 속에 등대를 만난 듯 섬광이 지나간다. 홍상수의 영화들은 증명하고 싶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집요한 시도가 아니다. 그보다는 인간이라는 종족을(혹은 최소한 자신만이라도) 편견 없이 바라보기 위한 난방향의 무모한 도전에 가깝다. 매 작품이 완결이라 볼 수 없는 것도 그 때문이요. 모든 작품이 가치를 가지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시간을 흔들고 인물을 겹친 은 그 중 가장 따뜻하게 기록된 어느 겨울의 실험이다.

글. 백은하 기자 one@
편집. 이지혜 sev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