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인용 보도시, '텐아시아' 출처 표기를 지켜주시길 바랍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오은영이 '금쪽같은 내새끼'가 교권 추락의 원인으로 지적된 데에 안타까운 심정을 표했다. 그는 "'금쪽'이는 환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희망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이라며 출연 부모들과 아이들에게 화살이 돌아가지 않기를 바랐다.텐아시아는 2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오은영 아카데미에 찾아가 오은영 박사를 어렵게 만날 수 있었다. 오 박사는 최근 초등 교사 사망·폭행 사건 등으로 인해 불거진 교권 추락에 가슴 아파하며 책임론에 대한 오해는 바로잡고자 했다.
"선생님과 학부모는 대립의 대상이 아닙니다.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 같이 의논하고 협동하는 관계죠. 저 역시 이걸 늘 강조해왔고요. 최근에 일어난 안타까운 사건에 저 역시 마음이 아픕니다. 그만큼 어깨가 무겁다는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오은영 박사는 '금쪽같은 내새끼'가 몇 차례의 상담이나 교육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 아동을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환상'을 만들어내는 프로그램으로 지적받은 것에 유감을 표했다. 그는 "'금쪽'이는 인간 개조 프로그램이 아니다. '이랬던 아이가 이렇게 변했다'가 아니라 육아의 길을 잃은 부모가 문제를 공개하고, 문제의 원인과 이유에 대해 같이 의논하고, 앞으로의 육아 방향에 관해 이야기하는 프로그램이다. 부모가 노력이라는 문을 여는 첫발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노력이라는 과정을 통해 아이가 이전에 비해 조금씩 변하는 게 있다면 그건 환상이 아니라 희망을 주는 것"이라며 "부모에게 희망이 없다면 슬플 것 같다. 선생님도 마찬가지다. 애들이 배움을 통해 나아진 모습으로 가는 걸 원한다. 태어날 때부터 가능성 없는 아이라고 생각한다면 너무 슬프지 않겠나"라며 안타까워했다.
오은영 박사 역시 아동 솔루션은 단기간의 상담과 교육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쪽'이에서도 나는 약물치료가 필요하면 전문의를 만나라고 하고, 이미 만나고 있다면 꾸준히 만나라고 한다. 입원 치료가 필요하면 입원하라고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단시간에 좋아지지 않으니 지치지 말라고, 지쳐도 힘을 내라고 말한다. 한두 번으로 좋아진다고 말한 적도 없고,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는다. 그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금쪽'이는 치료가 아닌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방송만 보고 '개조가 안 됐네', '솔루션이 실패했네'라고 하시지만, 이 프로그램은 실패와 성공으로 나누지 않아요. 다양한 면들이 있다는 걸 같이 알아보자는 취지라는 걸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무엇보다 오은영 박사는 이번 문제로 인해 '금쪽이'들에게 화살이 돌아가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 그는 "금쪽이는 흔히 생각하는 '금이야 옥이야'의 뜻이 아니다.어느 순간 '금쪽이'가 버르장머리 없이 오냐오냐 큰아이들의 대명사처럼 쓰이더라. '금쪽이'라는 단어는 조건이나 경제, 지위, 인종, 성별 등과 관계없이 누구나 귀하다는 의미다. 귀한 사람이기에 잘 의논하면서 키워보자는 의미로 붙인 거다. 많은 부모가 용기를 가지고 나오는 만큼, 실명이 거론되는 것을 피하고 아이를 보호하는 의미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쪽이'라고 하면 너무나 심각한 아이들이라고 생각하더라. 아이들을 향한 우려스러운 반응들도 많았다. 아이들을 잘 키우고자 진정성을 가지고 출연한 부모들에 대한 노력이 부정당하는 것 같아 마음 아팠다. 앞으로도 우리는 아이들을 잘 키우기 위해 의논해야 하는데, 용기를 낼 분들이 줄어들까 봐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오은영 박사는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아이를) 이해해보자' 라는 말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그는 "아이를 알아보고, 부모 자신을 알아차려 보고, 아이의 어려움을 알아가보자는 뜻이다. 그것을 무작정 다 받아주고 들어주라는 걸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있더라"며 "이해해보자는 건 알아보자는 거다. 문제의 이유를 다각적으로 알아보고, 이런 과정을 통해 부모 역시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알아차리고, 이런 방향이 있다는 걸 알아가자는 의미다. 우쭈쭈 다 들어주고, 다 허용하라는 것이 절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인터뷰②로 이어집니다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 youyou@tenasia.co.kr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오은영이 '금쪽같은 내새끼'가 교권 추락의 원인으로 지적된 데에 안타까운 심정을 표했다. 그는 "'금쪽'이는 환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희망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의 프로그램"이라며 출연 부모들과 아이들에게 화살이 돌아가지 않기를 바랐다.텐아시아는 2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오은영 아카데미에 찾아가 오은영 박사를 어렵게 만날 수 있었다. 오 박사는 최근 초등 교사 사망·폭행 사건 등으로 인해 불거진 교권 추락에 가슴 아파하며 책임론에 대한 오해는 바로잡고자 했다.
"선생님과 학부모는 대립의 대상이 아닙니다.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 같이 의논하고 협동하는 관계죠. 저 역시 이걸 늘 강조해왔고요. 최근에 일어난 안타까운 사건에 저 역시 마음이 아픕니다. 그만큼 어깨가 무겁다는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오은영 박사는 '금쪽같은 내새끼'가 몇 차례의 상담이나 교육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 아동을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환상'을 만들어내는 프로그램으로 지적받은 것에 유감을 표했다. 그는 "'금쪽'이는 인간 개조 프로그램이 아니다. '이랬던 아이가 이렇게 변했다'가 아니라 육아의 길을 잃은 부모가 문제를 공개하고, 문제의 원인과 이유에 대해 같이 의논하고, 앞으로의 육아 방향에 관해 이야기하는 프로그램이다. 부모가 노력이라는 문을 여는 첫발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노력이라는 과정을 통해 아이가 이전에 비해 조금씩 변하는 게 있다면 그건 환상이 아니라 희망을 주는 것"이라며 "부모에게 희망이 없다면 슬플 것 같다. 선생님도 마찬가지다. 애들이 배움을 통해 나아진 모습으로 가는 걸 원한다. 태어날 때부터 가능성 없는 아이라고 생각한다면 너무 슬프지 않겠나"라며 안타까워했다.
오은영 박사 역시 아동 솔루션은 단기간의 상담과 교육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쪽'이에서도 나는 약물치료가 필요하면 전문의를 만나라고 하고, 이미 만나고 있다면 꾸준히 만나라고 한다. 입원 치료가 필요하면 입원하라고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단시간에 좋아지지 않으니 지치지 말라고, 지쳐도 힘을 내라고 말한다. 한두 번으로 좋아진다고 말한 적도 없고,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는다. 그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금쪽'이는 치료가 아닌 방향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방송만 보고 '개조가 안 됐네', '솔루션이 실패했네'라고 하시지만, 이 프로그램은 실패와 성공으로 나누지 않아요. 다양한 면들이 있다는 걸 같이 알아보자는 취지라는 걸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무엇보다 오은영 박사는 이번 문제로 인해 '금쪽이'들에게 화살이 돌아가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 그는 "금쪽이는 흔히 생각하는 '금이야 옥이야'의 뜻이 아니다.어느 순간 '금쪽이'가 버르장머리 없이 오냐오냐 큰아이들의 대명사처럼 쓰이더라. '금쪽이'라는 단어는 조건이나 경제, 지위, 인종, 성별 등과 관계없이 누구나 귀하다는 의미다. 귀한 사람이기에 잘 의논하면서 키워보자는 의미로 붙인 거다. 많은 부모가 용기를 가지고 나오는 만큼, 실명이 거론되는 것을 피하고 아이를 보호하는 의미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쪽이'라고 하면 너무나 심각한 아이들이라고 생각하더라. 아이들을 향한 우려스러운 반응들도 많았다. 아이들을 잘 키우고자 진정성을 가지고 출연한 부모들에 대한 노력이 부정당하는 것 같아 마음 아팠다. 앞으로도 우리는 아이들을 잘 키우기 위해 의논해야 하는데, 용기를 낼 분들이 줄어들까 봐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오은영 박사는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아이를) 이해해보자' 라는 말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그는 "아이를 알아보고, 부모 자신을 알아차려 보고, 아이의 어려움을 알아가보자는 뜻이다. 그것을 무작정 다 받아주고 들어주라는 걸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있더라"며 "이해해보자는 건 알아보자는 거다. 문제의 이유를 다각적으로 알아보고, 이런 과정을 통해 부모 역시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알아차리고, 이런 방향이 있다는 걸 알아가자는 의미다. 우쭈쭈 다 들어주고, 다 허용하라는 것이 절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인터뷰②로 이어집니다
태유나 텐아시아 기자 youyou@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