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가 매주 화요일 연예계 곳곳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객관적이고 예리하게 짚어냅니다. 당신이 놓쳤던 '한 끗'을 기자의 시각으로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2020년 6월 26일, 21년 동안 지속됐던 KBS 2TV '개그콘서트'가 1050부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한때 KBS 간판 프로그램이었고, 개그맨 스타들의 등용문이었던 '개그콘서트'의 종말. 개그의 트렌드는 급변했고, 그 흐름에 발맞추기에 공영방송 KBS가 가진 한계는 컸다. 규제가 엄격했던 탓에 기시감이 느껴지는 뻔하디뻔한 '개그콘서트'에 대중은 더이상 웃지 않았다.

채널을 바꾼 'SNL'은 개그 프로그램으로서 명맥을 이으며 역할을 제대로 했다. 대선을 앞두고 여야권 후보들의 특징과 정치 행보 등을 풍자하고, 대표 호스트인 신동엽을 필두로 19금 소재를 다뤘다. 특히, 시즌3에 들어서는 '주기자가 간다', 'MZ오피스' 등의 코너가 대박을 터트리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를 통해 주현영, 김아영, 엄지윤, 김원훈 등이 인지도를 얻으며 대중의 눈도장을 찍었다.그런데 최근 시즌3 종료 후 휴지기를 맞은 'SNL' 제작진과 출연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SNL'을 둘러싼 불편한 시선과 지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 가장 큰 질타를 받은 것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를 패러디한 '더 칼로리' 쇼츠였다.
이 패러디가 보기 불편하다는 일부 시각은 납득이 된다. '더 글로리'의 고데기 신은 2006년 청주의 한 중학교에서 발생한 실제 학교 폭력 사건을 모티브로 한 장면으로, 분명 피해자가 있고 이와 함께 마음 아파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누군가의 아픔을 개그의 소재로 사용해 웃음으로 소비하는 것은 여지없는 문제다. 'SNL'은 잘못을 통감하고 다시는 이러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제대로 된 기획을 내야 한다.
이를 두고 MZ세대는 사회 초년생은 예의 없고 적응력이 부족하다고 일반화해 조롱했다며 불편한 시선을 나타냈다. 또, 여성들의 기 싸움 장면이 여성 비하적이란 의견도 나왔다.
'SNL'은 특정 세대나 특정 성별을 선택적으로 겨냥해 조롱하지 않는다. MZ세대와 기성세대, 남성과 여성 등의 특징을 살려 웃음 포인트를 조준할 뿐이다. 오히려 세대, 성별 간의 특징을 극적으로 대비시키며 서로를 이해할 담론의 기회를 제공하지 않았나 싶다.
비판과 비난은 엄연히 다르다. 비판은 발전으로 이어지지만 비난이 지속되면 위축된다. '개그 콘서트' 폐지의 배경에는 위축된 개그맨들이 있었다. 위축된 개그에 웃을 사람은 없다. 게다가 공영방송 KBS의 '개그 콘서트'와 19세 이상 관람가 쿠팡플레이 'SNL'은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다르다.
개콘이 왜 망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한다. 'SNL'에 '개그콘서트'와 같은 엄중한 잣대를 들이대서는 안 된다.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 wisdomart@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