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회 SBS 수-목 밤 9시 55분
어제의 는 채윤(장혁)이 사라진 시체를 찾으며 박포(신승환)에게 상황을 정리하여 설명했듯, 굽이 굽이 꼬인 이야기의 주름을 조금씩 펼친 회였다. 이 드라마를 보는 재미는 방진을 푸는 재미와 닮았고, 방진의 숫자를 움직이는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기준과 방식이 달라진다는 점이 즐거움을 더한다. 속 조선에는 왕(세종)도 있고, 사대부(밀본)도 있고, 백성(채윤)도 있지만, 이 사극의 주인공은 이들 중 그 누구 혼자가 아니다. 모두가 주체가 되어, ‘모든 행, 열, 대각선상의 숫자의 합이 모두 같게’ 방진을 완성하듯 조선을 제대로 세우고자 각자의 정의를 갖고 분주하게 움직인다. 세종은 ‘그 일’을 통해, 밀본은 이를 저지하는 것을 통해, 채윤은 이를 수사하는 것을 통해서. 이 때문에 하고 싶은 이야기도 해야 할 이야기도 많은 는 다소 산만하거나 불친절한 전개를 보이기도 했다. 이야기를 해석하는 묘미가 이 드라마의 정수라 하더라도, 앞으로의 더 많은 이야기를 위해 겹쳐진 주름을 펼 시간도 필요했다.

동시에 이 욕심 많은 드라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세종(한석규)과 채윤에 이어 ‘밀본’을 세종의 대척점에 세워 무대의 중앙으로 불러내며 우리에게 질문을 던졌다. 젊은 시절, 자신이 세우고자 하는 조선에 정기준이 꼭 필요하다며 필사적으로 그를 구하고자 했던 세종은 이제 “빌어 먹을, 개 엿 같은”을 토해내며 이를 가는 왕이 되었다. 아버지 태종이 발견했던 암벽의 밀본지서 앞에 선 세종. 그의 조선이 아버지의 질문에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찾아졌듯, 아버지가 발견한 ‘밀본’을 통해 그는 다시 이 질문에 답해야 한다. “어떤 조선을 세우고자 하는가.” 그리고 우리는 이 드라마를 보며 이 질문에 답해야 한다. “누구의 조선을 지지할 것인가.” 머리가 깨지도록 고뇌하는 왕, 세종은 매력적이지만 그가 계획하는 조선과 이를 저지하고자 하는 밀본이 그리는 조선 중 어느 쪽이 더 우리, 백성이 주인 되게 하는 세상에 가까운지 아직은 알 수 없다. 세종과 밀본, 그리고 채윤의 방진은 각기 다를 수도 또 궁극엔 같을 수도 있다. 이를 지켜보는 것이 여전히 흥미진진하다.

글. 김희주 기자 fifte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