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 연일 한국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은 23일까지 전국 175만 관객(영화진흥위원회 집계 기준)을 모았다. 와 , 등을 제작한 명필름과 애니메이션 제작사 오돌또기가 공동 제작한 이 영화는 그간 한국 애니메이션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허술한 시나리오, 개성 없는 캐릭터, 유머의 부재 등에서 벗어난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순제작비 30억원으로 제작된 은 이미 국내 개봉 성적만으로도 손익분기점을 넘어섰을 뿐만 아니라 다음달 2000여 개 스크린을 통해 중국에서 개봉할 예정이어서 침체된 한국 애니메이션 업계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의 흥행은 현재 꿈틀거리고 있는 한국 애니메이션 업계의 단면이라는 점에서 이목을 끈다. 이 영화의 흥행은 앞으로 개봉하거나 제작될 극장용 애니메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징적인 것은 순수 국산 프로젝트인 과 달리 최근 제작 진행 중인 애니메이션 영화의 대부분이 해외 시장을 겨냥한 합작 프로젝트라는 것이다. 한국과 할리우드의 합작 프로젝트 , 롯데엔터테인먼트가 참여하는 과 그리고 3D 전문업체 레드로버가 제작하는 4D애니메이션 등이 눈에 띈다. 올 겨울 개봉하는 에 이어 내년에는 과 이 내년에 개봉할 예정이며 은 2013년 개봉이 목표다.
100억 원대 이상의 합작 프로젝트가 장편 애니메이션의 주를 이루는 것은 어린이 관객을 타깃으로 하는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국내 흥행만으로 제작비를 회수하기가 매우어렵기 때문이다. 과 은 한국과 미국 합작이며 200억 원대가 투입될 에는 한국과 미국, 캐나다의 제작진이 참여한다. 에는 중국 자본이 포함돼 있다. 글로벌 합작 형태가 장편 애니메이션의 주를 이루는 것에 대해 CJ E&M의 한 관계자는 “국내 흥행만을 생각한다면 순제작비가 30억 원 미만이어야 하는데 50억 원 이상을 투자하기에는 위험요소가 너무 크다”고 설명했다. , , , 은 모두 해외 개봉이 확정됐거나 추진 중이다. 글로벌 합작 프로젝트가 대세인 한국 애니메이션 업계의 미래에 이 네 편의 흥행 결과가 큰 영향을 미칠 것은 자명한 일이다.
네 작품 외에도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국내의 한 유명 제작사는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기성 애니메이션 감독과 작가를 기용해 장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다. 명필름과 오돌또기는 개별적으로 의 뒤를 이을 애니메이션을 기획 중이다. 정부도 의 흥행에 자극받아 국산 애니메이션 지원정책을 검토 중이다. 18일 을 관람한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 영화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라고 김의석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에게 주문했다. 김의석 위원장은 와 전화통화에서 “정병국 장관의 요지는 한국 애니메이션의 성공이 1회성으로 끝나지 않게 하기 위한 지원 정책을 세우라는 것이었다”며 “관련 지원 정책은 현재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며 조만간 확정이 됐을 때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신화창조 프로젝트’를 통해 에 투자 지원한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또 다른 애니메이션 지원투자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디지털콘텐츠 제작과 기획, 배급, 전시, 상영 등의 복합기능을 갖춘 송도애니메이션파크가 내년 10월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일시적이고 단면적인 현상에 불과할 수 있지만 침체에 빠져 있던 한국 애니메이션이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해 보인다.
글. 고경석 기자 kave@
의 흥행은 현재 꿈틀거리고 있는 한국 애니메이션 업계의 단면이라는 점에서 이목을 끈다. 이 영화의 흥행은 앞으로 개봉하거나 제작될 극장용 애니메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징적인 것은 순수 국산 프로젝트인 과 달리 최근 제작 진행 중인 애니메이션 영화의 대부분이 해외 시장을 겨냥한 합작 프로젝트라는 것이다. 한국과 할리우드의 합작 프로젝트 , 롯데엔터테인먼트가 참여하는 과 그리고 3D 전문업체 레드로버가 제작하는 4D애니메이션 등이 눈에 띈다. 올 겨울 개봉하는 에 이어 내년에는 과 이 내년에 개봉할 예정이며 은 2013년 개봉이 목표다.
100억 원대 이상의 합작 프로젝트가 장편 애니메이션의 주를 이루는 것은 어린이 관객을 타깃으로 하는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국내 흥행만으로 제작비를 회수하기가 매우어렵기 때문이다. 과 은 한국과 미국 합작이며 200억 원대가 투입될 에는 한국과 미국, 캐나다의 제작진이 참여한다. 에는 중국 자본이 포함돼 있다. 글로벌 합작 형태가 장편 애니메이션의 주를 이루는 것에 대해 CJ E&M의 한 관계자는 “국내 흥행만을 생각한다면 순제작비가 30억 원 미만이어야 하는데 50억 원 이상을 투자하기에는 위험요소가 너무 크다”고 설명했다. , , , 은 모두 해외 개봉이 확정됐거나 추진 중이다. 글로벌 합작 프로젝트가 대세인 한국 애니메이션 업계의 미래에 이 네 편의 흥행 결과가 큰 영향을 미칠 것은 자명한 일이다.
네 작품 외에도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국내의 한 유명 제작사는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기성 애니메이션 감독과 작가를 기용해 장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다. 명필름과 오돌또기는 개별적으로 의 뒤를 이을 애니메이션을 기획 중이다. 정부도 의 흥행에 자극받아 국산 애니메이션 지원정책을 검토 중이다. 18일 을 관람한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 영화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라고 김의석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에게 주문했다. 김의석 위원장은 와 전화통화에서 “정병국 장관의 요지는 한국 애니메이션의 성공이 1회성으로 끝나지 않게 하기 위한 지원 정책을 세우라는 것이었다”며 “관련 지원 정책은 현재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며 조만간 확정이 됐을 때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신화창조 프로젝트’를 통해 에 투자 지원한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또 다른 애니메이션 지원투자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디지털콘텐츠 제작과 기획, 배급, 전시, 상영 등의 복합기능을 갖춘 송도애니메이션파크가 내년 10월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일시적이고 단면적인 현상에 불과할 수 있지만 침체에 빠져 있던 한국 애니메이션이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해 보인다.
글. 고경석 기자 kave@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