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가지는 걸 싫어하는 성격이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개그맨이 되기 위해서는 그런 성격을 상쇄할 수 있을 만한 장점을 키워야 했을 것 같다.
황현희 : 그래서 대안이 필요했다. 몇 년 전에는 몸 개그가 대세였다. MBC 도 그랬고 에서도 바보 캐릭터나 내복 입고 시내에 나가서 사진 찍고 하는 코너들이 인기였다. 깔끔하게 정장 입고 나와서 개그 하는 주병진 선배 같은 분이 없었다. 그래서 남들이 하지 않는 그런 캐릭터가 내 무기가 된 것 같다. 사실 내가 무대에서 무표정하게 정색하는 것도 처음에는 그냥 ‘쫄아서’였다. (웃음) 그런데 사람들 반응이 ‘자기는 안 웃으면서 남들 웃긴다’고 하니까 그걸 캐릭터로 밀게 된 거다. 개그는 막연해서는 안 된다.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나에게 이런 무기가 있다는 걸 알아야 코너에서 캐릭터로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똑똑할 거라고 오해 하시는데, 난 별로 똑똑하지 않다”
지금 거의 유일하게 시사 개그를 계속 하는 개그맨이고, 그래서 항상 대표격으로 언급되는데 그런 이미지에 대한 부담은 없나.
황현희 : 얼마 전부터 진짜 KBS 에 출연하는데 대본이 디테일하게 나오는 시사 프로그램이면서도 내 애드리브를 많이 요구하시더라. (웃음) 나는 전문가가 아니니까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좀 부족할 수밖에 없는데. 사실 난 대본도 외우느라 머리가 터질 것 같다. 하지만 이분들은 내가 대본도 되게 빨리 외울 거라고 기대하시는 것 같다. NG라도 내면 다들 “왜 이래? 아마추어같이”하는 표정으로 보시고. (웃음) 일반인 분들도 내가 되게 똑똑할 거라고 생각하시는데 그런 게 좀 부담이 된다. 난 별로 똑똑하지 않다. 하지만 일단 시사적인 아이템을 개그의 소재로 삼으려면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관심과 흥미가 있어야 할 것 같다.
황현희 : 사실 정치는 재미있는 분야다. 엘리트 중의 엘리트들이 대중의 인기를 위해 노력하는 거니까. 세상에 정치만한 쇼가 없고, 그래서 개그 소재로도 최고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정치를 건드리는 건 워낙 어려운데다 대중들도 별로 관심이 없다. 이 사람이 누구인지, 요즘 행보가 어떤지 술자리에서 꺼내 봐도 반응이 없다. 그런데 개그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통하는 거라 관심 없는 사람들을 상대로 정치를 얘기하는 건 어렵다.
그래서 정치보다는 독도 문제나 멜라민 파동처럼 사안 중심의 아이템들이 먹히는 것 같긴 하다.
황현희 : 멜라민이나 물가 상승처럼 ‘내가 피해를 입는다’고 생각하면 바로 관심을 가지기 때문이다. 대신 오히려 요새는 20대보다 ‘2.0세대’라고 불리는 10대가 더 정치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요즘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일제고사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하는 걸 보면 참 대단하다. 나는 80년에 태어나서 칼라 TV를 보며 자란 세대인데 우리부터 88년생 정도까지는 오히려 정치에 거의 문외한인 것 같다. 투표 참여율도 떨어지고. 사실 우리는 인터넷이 엄청나게 발달했을 때 자란 세대도 아니고, 눈에 띄게 억압을 받으며 자란 것도 아니다 보니 386 세대에 비해서도 더 정치에 관심이 없어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만약 정치인이 되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어떨 것 같나.
황현희 : 개그맨에게 할 질문이 아닌 것 같은데. (웃음) 일단 나는 개그맨이니까 재밌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 정치하는 분들은 워낙 엘리트의 삶만 경험한 분이 많아서 그런지 서민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다. 말도 안 되는 정책 펴지 말고, 좋은 일 조금 했다고 퍼뜨리지 말았으면 좋겠다. 조용히 좋은 일 할 거면 끝까지 조용히 하던가. 아무튼 개그에서 하는 것처럼 ‘공감대 정치’를 하고 싶다. 아, 이거 괜찮은데? (웃음)“버라이어티에 안착하는 데는 7,8년 정도 걸리지 않을까”
바로 공약으로 쓸 수도 있겠다. (웃음) 그런데 만약, 개그맨 공채 시험에 떨어졌다면 지금쯤 뭘 하고 있을까.
황현희 : 공무원 시험을 계속 봤을 것 같다. 사실 공무원 시험을 몇 번 보기도 했지만 결국 접은 건, 내가 구청에서 공익근무를 하며 지켜본 공무원 분들의 생활이 너무 지루해보였기 때문이다. 역마살이 좀 있는 성격이라 돌아다니는 걸 좋아하는데 매일 정해진 시간에 책상 앞에 앉아서 일하는 걸 도저히 못 견딜 것 같아서. 하지만 다른 일을 찾지 못했다면 아무래도 시험을 계속 봤겠지.
요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나올 때는 ‘수습 MC’라고 불리고, 라디오에 출연할 때도 에서와 스타일이 상당히 다르다. 공개 코미디를 하던 개그맨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인데 어떻게 적응하고 있나.
황현희 : 무턱대고 나가서 하기보다는 프로그램 성격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나는 같은 리얼 버라이어티나 KBS 처럼 여러 명 한꺼번에 나오는 프로그램에는 약하다. 대신 KBS 나 KBS 처럼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 건 잘 맞는 편이다. 그리고 MC들의 성향도 유재석, 강호동, 박명수 선배가 다 다르니까 그런 걸 읽어야 하고, 라디오도 DJ에 따라 스타일이 다르다. 그런 걸 파악해서 프로그램에 잘 맞춰야 하는데, 아직은 부족하다. 공개 코미디에서 어느 정도 위치에 오르는데 5년이 걸렸으니까 버라이어티에서는 좀 더 오래 걸릴 것 같다. 한 7,8년 정도? 미래를 굉장히 길게 보는 것 같다.
황현희 : 오래 내다봐야지. 난 개그를 오래오래 하고 싶다. 그리고 지금 하는 프로그램들을 다 잘 해내서, PD와 직접 아이디어 회의를 할 정도의 위치까지 가고 싶다. 요즘에는 거의 외주 제작 시스템이니까 개그맨들 아이디어가 들어가는 프로그램도 점점 늘어날 것 같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떤 개그맨이 되고 싶나. 혹은 어떻게 커리어를 쌓아가고 싶은가.
황현희 : 개그맨은 일단 웃겨야 하고, 사람들이 좋아해야 한다. 그런데 나는 망가지고 싶지 않다. 망가지는 게 익숙하지 않으니까. 대신 안 망가져도 웃기는 개그를 계속 만들고 싶다. 그래서 주병진 선배 같은 신사적인 개그맨의 이미지를 쌓아가며 멋있게 늙고 싶다.
황회장처럼? (웃음)
황현희 : 황회장은 안 멋있다. 초등학생 같잖나. (웃음)
그럼 당신이 개그맨으로 계속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큰 즐거움은 무엇인가.
황현희 : 사실 개그라는 건 굉장히 원초적이다. 세 살배기 어린애도 “까꿍 까꿍” 해 주면 웃는 것처럼, 세상에서 제일 쉬운 게 웃기나 안 웃기나 평가하는 거다. 그래서 개그맨은 가장 뜨기 쉬운 직업이지만 철저하게 자기 능력만으로 올라가는 일이기도 하다. 정말 ‘저스트 실력’, 그게 개그의 최대 매력이다.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사진. 이원우 (four@10asia.co.kr)
편집. 장경진 (three@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황현희 : 그래서 대안이 필요했다. 몇 년 전에는 몸 개그가 대세였다. MBC 도 그랬고 에서도 바보 캐릭터나 내복 입고 시내에 나가서 사진 찍고 하는 코너들이 인기였다. 깔끔하게 정장 입고 나와서 개그 하는 주병진 선배 같은 분이 없었다. 그래서 남들이 하지 않는 그런 캐릭터가 내 무기가 된 것 같다. 사실 내가 무대에서 무표정하게 정색하는 것도 처음에는 그냥 ‘쫄아서’였다. (웃음) 그런데 사람들 반응이 ‘자기는 안 웃으면서 남들 웃긴다’고 하니까 그걸 캐릭터로 밀게 된 거다. 개그는 막연해서는 안 된다.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나에게 이런 무기가 있다는 걸 알아야 코너에서 캐릭터로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똑똑할 거라고 오해 하시는데, 난 별로 똑똑하지 않다”
지금 거의 유일하게 시사 개그를 계속 하는 개그맨이고, 그래서 항상 대표격으로 언급되는데 그런 이미지에 대한 부담은 없나.
황현희 : 얼마 전부터 진짜 KBS 에 출연하는데 대본이 디테일하게 나오는 시사 프로그램이면서도 내 애드리브를 많이 요구하시더라. (웃음) 나는 전문가가 아니니까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좀 부족할 수밖에 없는데. 사실 난 대본도 외우느라 머리가 터질 것 같다. 하지만 이분들은 내가 대본도 되게 빨리 외울 거라고 기대하시는 것 같다. NG라도 내면 다들 “왜 이래? 아마추어같이”하는 표정으로 보시고. (웃음) 일반인 분들도 내가 되게 똑똑할 거라고 생각하시는데 그런 게 좀 부담이 된다. 난 별로 똑똑하지 않다. 하지만 일단 시사적인 아이템을 개그의 소재로 삼으려면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관심과 흥미가 있어야 할 것 같다.
황현희 : 사실 정치는 재미있는 분야다. 엘리트 중의 엘리트들이 대중의 인기를 위해 노력하는 거니까. 세상에 정치만한 쇼가 없고, 그래서 개그 소재로도 최고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정치를 건드리는 건 워낙 어려운데다 대중들도 별로 관심이 없다. 이 사람이 누구인지, 요즘 행보가 어떤지 술자리에서 꺼내 봐도 반응이 없다. 그런데 개그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통하는 거라 관심 없는 사람들을 상대로 정치를 얘기하는 건 어렵다.
그래서 정치보다는 독도 문제나 멜라민 파동처럼 사안 중심의 아이템들이 먹히는 것 같긴 하다.
황현희 : 멜라민이나 물가 상승처럼 ‘내가 피해를 입는다’고 생각하면 바로 관심을 가지기 때문이다. 대신 오히려 요새는 20대보다 ‘2.0세대’라고 불리는 10대가 더 정치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요즘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일제고사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하는 걸 보면 참 대단하다. 나는 80년에 태어나서 칼라 TV를 보며 자란 세대인데 우리부터 88년생 정도까지는 오히려 정치에 거의 문외한인 것 같다. 투표 참여율도 떨어지고. 사실 우리는 인터넷이 엄청나게 발달했을 때 자란 세대도 아니고, 눈에 띄게 억압을 받으며 자란 것도 아니다 보니 386 세대에 비해서도 더 정치에 관심이 없어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만약 정치인이 되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어떨 것 같나.
황현희 : 개그맨에게 할 질문이 아닌 것 같은데. (웃음) 일단 나는 개그맨이니까 재밌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 정치하는 분들은 워낙 엘리트의 삶만 경험한 분이 많아서 그런지 서민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다. 말도 안 되는 정책 펴지 말고, 좋은 일 조금 했다고 퍼뜨리지 말았으면 좋겠다. 조용히 좋은 일 할 거면 끝까지 조용히 하던가. 아무튼 개그에서 하는 것처럼 ‘공감대 정치’를 하고 싶다. 아, 이거 괜찮은데? (웃음)“버라이어티에 안착하는 데는 7,8년 정도 걸리지 않을까”
바로 공약으로 쓸 수도 있겠다. (웃음) 그런데 만약, 개그맨 공채 시험에 떨어졌다면 지금쯤 뭘 하고 있을까.
황현희 : 공무원 시험을 계속 봤을 것 같다. 사실 공무원 시험을 몇 번 보기도 했지만 결국 접은 건, 내가 구청에서 공익근무를 하며 지켜본 공무원 분들의 생활이 너무 지루해보였기 때문이다. 역마살이 좀 있는 성격이라 돌아다니는 걸 좋아하는데 매일 정해진 시간에 책상 앞에 앉아서 일하는 걸 도저히 못 견딜 것 같아서. 하지만 다른 일을 찾지 못했다면 아무래도 시험을 계속 봤겠지.
요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나올 때는 ‘수습 MC’라고 불리고, 라디오에 출연할 때도 에서와 스타일이 상당히 다르다. 공개 코미디를 하던 개그맨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인데 어떻게 적응하고 있나.
황현희 : 무턱대고 나가서 하기보다는 프로그램 성격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나는 같은 리얼 버라이어티나 KBS 처럼 여러 명 한꺼번에 나오는 프로그램에는 약하다. 대신 KBS 나 KBS 처럼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 건 잘 맞는 편이다. 그리고 MC들의 성향도 유재석, 강호동, 박명수 선배가 다 다르니까 그런 걸 읽어야 하고, 라디오도 DJ에 따라 스타일이 다르다. 그런 걸 파악해서 프로그램에 잘 맞춰야 하는데, 아직은 부족하다. 공개 코미디에서 어느 정도 위치에 오르는데 5년이 걸렸으니까 버라이어티에서는 좀 더 오래 걸릴 것 같다. 한 7,8년 정도? 미래를 굉장히 길게 보는 것 같다.
황현희 : 오래 내다봐야지. 난 개그를 오래오래 하고 싶다. 그리고 지금 하는 프로그램들을 다 잘 해내서, PD와 직접 아이디어 회의를 할 정도의 위치까지 가고 싶다. 요즘에는 거의 외주 제작 시스템이니까 개그맨들 아이디어가 들어가는 프로그램도 점점 늘어날 것 같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떤 개그맨이 되고 싶나. 혹은 어떻게 커리어를 쌓아가고 싶은가.
황현희 : 개그맨은 일단 웃겨야 하고, 사람들이 좋아해야 한다. 그런데 나는 망가지고 싶지 않다. 망가지는 게 익숙하지 않으니까. 대신 안 망가져도 웃기는 개그를 계속 만들고 싶다. 그래서 주병진 선배 같은 신사적인 개그맨의 이미지를 쌓아가며 멋있게 늙고 싶다.
황회장처럼? (웃음)
황현희 : 황회장은 안 멋있다. 초등학생 같잖나. (웃음)
그럼 당신이 개그맨으로 계속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큰 즐거움은 무엇인가.
황현희 : 사실 개그라는 건 굉장히 원초적이다. 세 살배기 어린애도 “까꿍 까꿍” 해 주면 웃는 것처럼, 세상에서 제일 쉬운 게 웃기나 안 웃기나 평가하는 거다. 그래서 개그맨은 가장 뜨기 쉬운 직업이지만 철저하게 자기 능력만으로 올라가는 일이기도 하다. 정말 ‘저스트 실력’, 그게 개그의 최대 매력이다.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사진. 이원우 (four@10asia.co.kr)
편집. 장경진 (three@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