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먼트 전문 미디어 텐아시아가 ‘영평(영화평론가협회)이 추천하는 이 작품’이라는 코너를 통해 영화를 소개합니다. 현재 상영 중인 영화나 곧 개봉할 영화를 영화평론가의 날카로운 시선을 담아 선보입니다. [편집자주]
앤 여왕(올리비아 콜맨)이 영국에 재위한 기간은 1702~1714년이다. 그녀의 일생은 한마디로 불행의 연속이었다. 언니와 아버지 사이가 극도로 나빠졌고, 황실의 상황마저 꼬이고 꼬여 뜻하지 않게 군주가 됐다. 그녀의 남편은 물론 자식들마저 다 죽고 말았는데 여전히 왕이었던 이유로 끝없는 정쟁에 휩싸인다. 갖은 불행을 겪으면서 이제는 삶의 의미까지 희미해졌지만 정치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만 하는 위치에 놓여있었던 것이다. 말버러 공(존 처칠)으로 대변되는 휘그당과 야당인 토리당의 찰리(니콜라스 콜트) 사이에서 과연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까.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왕이지만 그런 권력마저 허망하게 여겨지는 이유다. 어찌 보면 앤이 그깟 하잘 것 없는 토끼들에 집착하는 게 당연해 보였다.
앤 여왕을 다뤘다고 해서 이 영화를 딱히 시대극으로 분류할 필요는 없다. 영화가 바라보는 곳은 앤 여왕, 사라 그리고 아비게일 사이에 벌어지는 섬세한 관계 설정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에 등장하는 남성들은 결국 세 여인의 관계에 기대어 아슬아슬하게 줄타기를 하는 신세에 불과하다. 부인의 힘을 이용해 승승장구하는 말보로 경이나 아비게일에게 기대어 권력을 노리는 찰리와 마샴(조 알윈)도 결국 비열한 인간들일 뿐이다. 그에 비해 세 여인은 적어도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존재들이다. 영화를 통해 영국 왕조사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유추해내려는 노력이 부질없는 이유다. ‘더 페이버릿’을 역사에 기반을 둔 허구, 즉 팩션(faction)으로 분류해 마땅하다.
어떤 저항이나 어떤 연대도 개인의 이기심을 꺾지 못한다. 한번 잡은 권력을 놓지 않으려는 사라, 그 권력을 차지하려 갖은 꾀를 짜내는 아비게일, 그러나 그들 위에는 “어디 감히 여왕의 몸에 손을 대는가, 내 허락 없이는 입을 벙긋하지 말라”고 호통 치는 앤이 있다.어둡고 복잡한 왕궁을 미친 사람처럼 돌아다니는 여왕, 지병과 외로움 때문에 누군가를 꼭 옆에 두어야 하는 처량한 신세, 그러면서도 신하들 앞에선 위엄을 보여야 하는 이중적인 삶, 그렇다고 해서 여왕의 자존심과 권위까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 군을 물리친 왕, 양쪽 이야기를 골고루 들어 정당정치가 뿌리내리게 만든 왕, 스코틀랜드를 병합한 왕, 그녀는 결코 한낱 시녀에 흔들리는 허약한 군주가 아니다. 권력의 속성을 이렇게 잘 표현한 영화를 근자에 만나본 적이 없다.
앞서 거론했듯이 영화의 마지막은 작품의 성패를 가를 정도로 대단히 중요하다. 뛰어난 감독의 기교 덕분에 영화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확실하게 읽어낼 수 있었다. 아니 마지막 장면을 우선 머리에 그려두고 나서 그 앞의 이야기를 차례로 전개시켜 나갔다고 하는 게 옳을지 모르겠다. 망설임 없이 추천한다.
박태식(영화평론가)
영화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포스터/사진제공=이십세기폭스코리아
어디에서 영화를 끝내야 할까. 아마 모든 영화감독이 그런 고민을 갖고 있을 것이다.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끝까지 자세하게 설명할까, 여운을 어느 정도 남긴 채 끝을 낼까, 그도 저도 아니면 아예 엔딩 크레딧에 간단한 후기를 섞어 넣을까. 딱히 정답은 없지만 영화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영화관을 찾아올 관객의 성향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 영화의 시작도 중요하지만 마무리도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The Favorite)를 보면서 연출의 구조적인 면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다.앤 여왕(올리비아 콜맨)이 영국에 재위한 기간은 1702~1714년이다. 그녀의 일생은 한마디로 불행의 연속이었다. 언니와 아버지 사이가 극도로 나빠졌고, 황실의 상황마저 꼬이고 꼬여 뜻하지 않게 군주가 됐다. 그녀의 남편은 물론 자식들마저 다 죽고 말았는데 여전히 왕이었던 이유로 끝없는 정쟁에 휩싸인다. 갖은 불행을 겪으면서 이제는 삶의 의미까지 희미해졌지만 정치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만 하는 위치에 놓여있었던 것이다. 말버러 공(존 처칠)으로 대변되는 휘그당과 야당인 토리당의 찰리(니콜라스 콜트) 사이에서 과연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까.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왕이지만 그런 권력마저 허망하게 여겨지는 이유다. 어찌 보면 앤이 그깟 하잘 것 없는 토끼들에 집착하는 게 당연해 보였다.
영화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의 엠마 스톤과 레이첼 와이즈. /사진제공=이십세기폭스코리아
‘더 페이버릿’이 재미있는 이유는 바로 앤의 신뢰를 독차지하려는 두 명의 여인, 말보로 경의 부인인 사라(레이첼 와이즈)와 일개 하녀에서 귀족으로 급상승한 아비게일(엠마 스톤)이 벌이는 목숨을 건 싸움에 있다. 앤 여왕의 눈에 들기만 하면 부귀영화는 물론 나라를 좌지우지하는 막강한 힘까지 거머쥘 수 있어서다. 정작 문제는 여왕의 신임을 얻더라도 나라를 이끌만한 능력을 가졌는가에 있다. 영화를 단순히 정적 간의 질투에서 빚어지는 암투극으로 볼 수 없는 까닭이다. 특히 줄거리를 이쪽저쪽으로 옮겨가며 관객의 흥미를 돋구어내는 감독의 연출력이 일품이었다. ‘킬링디어’(2017)와 ‘더 랍스터’(2015)에서 란티모스 감독이 보여줬던 연출 솜씨가 그대로 녹아있는 느낌이었다.앤 여왕을 다뤘다고 해서 이 영화를 딱히 시대극으로 분류할 필요는 없다. 영화가 바라보는 곳은 앤 여왕, 사라 그리고 아비게일 사이에 벌어지는 섬세한 관계 설정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에 등장하는 남성들은 결국 세 여인의 관계에 기대어 아슬아슬하게 줄타기를 하는 신세에 불과하다. 부인의 힘을 이용해 승승장구하는 말보로 경이나 아비게일에게 기대어 권력을 노리는 찰리와 마샴(조 알윈)도 결국 비열한 인간들일 뿐이다. 그에 비해 세 여인은 적어도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존재들이다. 영화를 통해 영국 왕조사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유추해내려는 노력이 부질없는 이유다. ‘더 페이버릿’을 역사에 기반을 둔 허구, 즉 팩션(faction)으로 분류해 마땅하다.
영화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스틸. /사진제공=이십세기폭스코리아
영화에 드러나는 권력의 속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우리는 종종 권력을 소유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의 갈등에 대해 민감하다. 그래서 눌린 자의 입장을 대변해 불평등 구조를 바꾸는 게 옳다는 주장을 한다. 하지만 그런 주장이 언제나 맞는 것은 아니다. 갑과 을이라는 구조만으로 세상이 돌아가지 않는 까닭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논리가 그 위에 놓여있을까. 권력의 진정한 속성은 무엇일까.어떤 저항이나 어떤 연대도 개인의 이기심을 꺾지 못한다. 한번 잡은 권력을 놓지 않으려는 사라, 그 권력을 차지하려 갖은 꾀를 짜내는 아비게일, 그러나 그들 위에는 “어디 감히 여왕의 몸에 손을 대는가, 내 허락 없이는 입을 벙긋하지 말라”고 호통 치는 앤이 있다.어둡고 복잡한 왕궁을 미친 사람처럼 돌아다니는 여왕, 지병과 외로움 때문에 누군가를 꼭 옆에 두어야 하는 처량한 신세, 그러면서도 신하들 앞에선 위엄을 보여야 하는 이중적인 삶, 그렇다고 해서 여왕의 자존심과 권위까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 군을 물리친 왕, 양쪽 이야기를 골고루 들어 정당정치가 뿌리내리게 만든 왕, 스코틀랜드를 병합한 왕, 그녀는 결코 한낱 시녀에 흔들리는 허약한 군주가 아니다. 권력의 속성을 이렇게 잘 표현한 영화를 근자에 만나본 적이 없다.
영화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에서 앤 여왕 역의 올리비아 콜맨. /사진제공=이십세기폭스코리아
앤 여왕 역을 맡은 올리비아 콜맨이 불붙은 연기 덕분에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탄 탓에, 7차례나 도전했던 ‘더 와이프’의 글렌 크로스는 고배를 마시고 말았다. 앤 여왕 당시 왕궁의 모습을 근사하게 표현했고 귀족들의 유치한 놀이며 부끄럼 모르는 권력싸움이며 그들의 위선적인 태도까지 풍자해, 흔히 고상한 품성을 가졌으리라고 여겨지는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들의 민낯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영국 황실에 대한 선입견이 싹 달아나는 경험을 했다. 이 역시 감독의 편집의도라 하겠다.앞서 거론했듯이 영화의 마지막은 작품의 성패를 가를 정도로 대단히 중요하다. 뛰어난 감독의 기교 덕분에 영화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확실하게 읽어낼 수 있었다. 아니 마지막 장면을 우선 머리에 그려두고 나서 그 앞의 이야기를 차례로 전개시켜 나갔다고 하는 게 옳을지 모르겠다. 망설임 없이 추천한다.
박태식(영화평론가)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