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노규민 기자]
17일 오전 서울 관수동 서울극장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한국영화 100주년 기념사업 경과보고 기자회견이 열렸다. 배우 안성기, 장미희와 이장호 감독, 오석근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유인택 동양예술극장 대표가 참석했다.올해 10월 27일은 한국영화 탄생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한국 최초의 영화로 꼽히는 ‘의리적(義理的) 구토(仇討)’가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처음 상영됐다. 신파극단 신극좌를 이끈 김도산이 각본·감독·주연을 맡은 작품으로, 당시 단성사 사장이던 박승필이 제작비를 댔다. 영화계는 이 작품이 상영된 날을 한국영화 기점으로 보고 ‘영화의 날’로 제정해 해마다 기념한다.
한국영화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한국영화의 과거와 현재를 조망하고 미래를 밝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결성됐다.
위원장을 맡은 장미희는 “한국영화 100년을 맞이해서 지난 99년을 되돌아보려고 한다.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며 “1919년 3월 1일 자주 독립을 외치면서 억압과 폭압에 항거한 3.1운동이 일어난 그해 한국 영화가 태동했다. 한국인 최초 자본으로 시작한 ‘의리적 구토’를 시작으로 춘사 나운규 선생의 ‘아리랑’을 거쳐 한국 영화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이어 “‘영화는 삶의 비평이다’라는 명제는 그때 시작됐다. 저항과 자유에 대한 탐구가 한국영화의 심장이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장미희는 “한국영화 100년 중 44년 동안 작은 발걸음을 함께했다. 한국영화를 위해 애쓴 위대한 스승과 자기 삶을 헌신한 영화인을 기리며, 미래의 장으로 나아가려 한다”고 말했다.
이장호 공동위원장은 “영화계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점, 선배 영화인들과 젊은 영화인들 사이에 단절을 빨리 메꿔야 한다. 또한 재벌 기업들에게서 독점되고 있는 제작, 배급, 투자에서 나오는 문제들의 많은 부분들이 100년을 기념하는 해에 시정될 수 있었으면 한다”거 말했다.이 위원장은 “선후배의 단절은 제작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한창 활동할 때는 영화 감독들이 가까이 밀착해 제작했는데, 대기업들이 투자하고 제작비가 많아지면서 젊은 기획자들이 앞장서서 영화를 리드하게 됐다. 그러면서 나이 많은 세대들이 소외당하기 시작했다. 또 필름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는 등 많은 시스템이 바뀌면서 나이 많은 사람들이 활동하기가 더 힘들어졌다. 배우들도 달라지기 시작했다. 관객들도 판이하게 달라졌다. 저절로 세대 차이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철저히 돈의 논리에 따라 제작되다 보니 다양성이 없는, 작가 성향이 철저하게 배제된 그런 영화들이 계속 나왔다. 빠르고 폭력적인, 예전 할리우드 영화에서 익숙한 모습으로 한국영화가 바뀌기 시작했다. 미래의 한국영화가 감당할 수 있을 지 걱정된다”며 “언젠가 관객들 눈에 식상해지면 독립영화 말고는 대안이 없다고 생각한다. 눈물 겹게 영화를 만들고 있는 독립 영화인들에게 희망을 걸 수밖에 없는 상태”라고 주장했다.
이어 “나를 비롯해 많은 배우들이 홍보에 참여한다. 올해 펼치는 여러 행사에 많은 배우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위원회는 올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영화 감독 100명이 한국영화 100년을 기념하는 100초짜리 영화 100편을 제작한다. 100년 기념행사를 하기 100일 전부터 매일 한 편씩 유튜브 등을 통해 상영할 예정이다.한국영화 100년 동안의 주요 사건과 인물 등을 담은 다큐멘터리 제작과, 단행본, 인명사전도 출판된다. 100년 기념 우표도 발행된다.
10월 중에는 세계 각국 한국영화학자 등이 참석하는 국제학술세미나도 열린다.
해외에도 한국영화 100년을 알린다. 추진위는 국내 영화제뿐만 아니라 해외 영화제와 연계해 특별상영회를 여는 한편 세계 각 지역 재외공관에서 한국영화 100년을 기념하는 특별상영회를 열 계획이다.
한국영화 역사에서 중요한 필름 영화를 발굴해 디지털로 복원하는 작업도 추진한다.
노규민 기자 pressgm@tenasia.co.kr
유인택 동양예술극장 대표(왼쪽부터), 배우 안성기, 장미희, 이장호 감독, 오석근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극장에서 열린 한국영화 100주년 기념사업 경과보고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사진=텐아시아
한국영화가 탄생한 지 100년이 됐다. 국민배우 안성기, 장미희를 비롯해 수많은 영화인들이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의기투합했다.17일 오전 서울 관수동 서울극장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한국영화 100주년 기념사업 경과보고 기자회견이 열렸다. 배우 안성기, 장미희와 이장호 감독, 오석근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유인택 동양예술극장 대표가 참석했다.올해 10월 27일은 한국영화 탄생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한국 최초의 영화로 꼽히는 ‘의리적(義理的) 구토(仇討)’가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처음 상영됐다. 신파극단 신극좌를 이끈 김도산이 각본·감독·주연을 맡은 작품으로, 당시 단성사 사장이던 박승필이 제작비를 댔다. 영화계는 이 작품이 상영된 날을 한국영화 기점으로 보고 ‘영화의 날’로 제정해 해마다 기념한다.
한국영화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한국영화의 과거와 현재를 조망하고 미래를 밝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결성됐다.
위원장을 맡은 장미희는 “한국영화 100년을 맞이해서 지난 99년을 되돌아보려고 한다.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며 “1919년 3월 1일 자주 독립을 외치면서 억압과 폭압에 항거한 3.1운동이 일어난 그해 한국 영화가 태동했다. 한국인 최초 자본으로 시작한 ‘의리적 구토’를 시작으로 춘사 나운규 선생의 ‘아리랑’을 거쳐 한국 영화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이어 “‘영화는 삶의 비평이다’라는 명제는 그때 시작됐다. 저항과 자유에 대한 탐구가 한국영화의 심장이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장미희는 “한국영화 100년 중 44년 동안 작은 발걸음을 함께했다. 한국영화를 위해 애쓴 위대한 스승과 자기 삶을 헌신한 영화인을 기리며, 미래의 장으로 나아가려 한다”고 말했다.
이장호 공동위원장은 “영화계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점, 선배 영화인들과 젊은 영화인들 사이에 단절을 빨리 메꿔야 한다. 또한 재벌 기업들에게서 독점되고 있는 제작, 배급, 투자에서 나오는 문제들의 많은 부분들이 100년을 기념하는 해에 시정될 수 있었으면 한다”거 말했다.이 위원장은 “선후배의 단절은 제작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한창 활동할 때는 영화 감독들이 가까이 밀착해 제작했는데, 대기업들이 투자하고 제작비가 많아지면서 젊은 기획자들이 앞장서서 영화를 리드하게 됐다. 그러면서 나이 많은 세대들이 소외당하기 시작했다. 또 필름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뀌는 등 많은 시스템이 바뀌면서 나이 많은 사람들이 활동하기가 더 힘들어졌다. 배우들도 달라지기 시작했다. 관객들도 판이하게 달라졌다. 저절로 세대 차이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철저히 돈의 논리에 따라 제작되다 보니 다양성이 없는, 작가 성향이 철저하게 배제된 그런 영화들이 계속 나왔다. 빠르고 폭력적인, 예전 할리우드 영화에서 익숙한 모습으로 한국영화가 바뀌기 시작했다. 미래의 한국영화가 감당할 수 있을 지 걱정된다”며 “언젠가 관객들 눈에 식상해지면 독립영화 말고는 대안이 없다고 생각한다. 눈물 겹게 영화를 만들고 있는 독립 영화인들에게 희망을 걸 수밖에 없는 상태”라고 주장했다.
한국영화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의 배우 안성기(왼쪽부터), 장미희, 이장호 감독./ 사진=텐아시아
홍보위원장을 맡은 안성기는 “오는 10월 26일부터 27일까지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한국영화 100주년 기념 페스티벌’을 연다.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가져주시길 바란다”며 “그동안 관객들이 주신 사랑에 보답하려고 한다. 많은 배우들과 국민들이 함께할 수 있는 자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이어 “나를 비롯해 많은 배우들이 홍보에 참여한다. 올해 펼치는 여러 행사에 많은 배우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위원회는 올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영화 감독 100명이 한국영화 100년을 기념하는 100초짜리 영화 100편을 제작한다. 100년 기념행사를 하기 100일 전부터 매일 한 편씩 유튜브 등을 통해 상영할 예정이다.한국영화 100년 동안의 주요 사건과 인물 등을 담은 다큐멘터리 제작과, 단행본, 인명사전도 출판된다. 100년 기념 우표도 발행된다.
10월 중에는 세계 각국 한국영화학자 등이 참석하는 국제학술세미나도 열린다.
해외에도 한국영화 100년을 알린다. 추진위는 국내 영화제뿐만 아니라 해외 영화제와 연계해 특별상영회를 여는 한편 세계 각 지역 재외공관에서 한국영화 100년을 기념하는 특별상영회를 열 계획이다.
한국영화 역사에서 중요한 필름 영화를 발굴해 디지털로 복원하는 작업도 추진한다.
노규민 기자 pressgm@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