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조현주 기자]
‘밀정’은 실제 사건과 인물을 모티브로 한다. 1923년 조선 총독부를 비롯한 일제의 거점 시설을 파괴할 거사를 계획한 의열단원이 체포된다. 여기에는 일제 고등 경찰인 경부로 일하고 있던 황옥도 있었다. 그가 의열단의 리더인 김시현과 함께 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그의 정체에 대한 미스터리는 아직도 의문으로 남아 있다.‘밀정’은 이 의문을 극화(劇化)했다. 조선인 출신 일본인 경찰 이정출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부장 히가시(쓰루미 신고)로부터 적의 밀정이 되어 의열단의 전모를 캐라는 임무를 부여받고 의열단의 리더 김우진에게 접근한다. 두 사람은 자신들의 작전에 서로를 이용하기 위해 정체와 의도를 알면서도 속내를 감춘 채 가까워진다. 그 와중에 의열단은 일제의 주요 시설을 파괴할 폭탄을 경성으로 들여오기 위해 그리고 일본 경찰은 그들을 잡기 위해 모두 상해에 모인다.
영화는 항일 또는 친일이라는 극단의 선택을 강요당했던 시대에 2등 국민으로 살아가야만 했던 우리 선조들의 아픔을, 비극을 그린다. 누가 적이고 동지인지 알 수 없는 모호함 속에서 서로를 의심하고 교란한다. 이정출의 정체성은 더욱 모호하다. 총상을 입고 궁지에 몰린 엣 동지 김장옥(박희순)을 어떻게든 살려내려고 하지만 “넌 이 나라가 독립이 될 거 같냐. 어차피 기울어진 배야”라고 말할 때는 차갑기 그지없다. 회색분자의 이정출은 친일과 항일이라는 거대한 신념이 아닌 그때그때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한다. 자신의 목숨줄을 쥐고 있는 히가시 앞에서는 친일을 하지만 과거 그는 항일을 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때문에 김지운 감독과 송강호는 “‘밀정’에서 밀정이 중요하지 않다”고 여러 번 강조했다. 송강호는 “밀정을 찾기 보다는 혼란스러운 그 시대를 살아가던 인물들에 초점을 맞추는데 연기 포인트를 뒀다”고도 말했다. 그러나 이 지점은 ‘밀정’의 약점이기도 하다. 2시간 20분이라는 긴 러닝타임을 인간의 심리에만 좇기에는 영화의 짜임새가 촘촘하지 않다. 개연성을 따지고 들자면 바로 그 허술함이 바로 드러난다. 서로를 경계하고 의심하고, 내부의 적을 파헤치며 꽤나 높은 텐션(tension)을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영화적 재미를 줄 수 있는 강력한 ‘한방’ 역시 부재하다.
다만 ‘장화, 홍련’(2003) ‘달콤한 인생’(2005)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 등 스타일리시한 영화를 선보여 왔던 김지운 감독은 이번 작품에서도 경성과 상해를 배경으로 관객들의 시선을 현혹할 미장센을 펼친다. 독립군 학살이 벌어지는 장면에서 루이 암스트롱의 재즈곡 ‘왠 유아 스마일링(When you’re smiling)’을 넣는 과감한 시도 역시 돋보인다.
송강호는 미세한 얼굴 떨림으로 독립투사와 친일파의 경계를 오가며 극에 개연성을 불어넣는다. 이정출을 경계하기 위한 일본 경찰 하시모토 역을 맡은 엄태구는 자신이 왜 충무로의 기대주인지 몸소 증명한다. 송강호에 전혀 밀리지 않는 카리스마로 몰입도를 더했다. 박희순은 영화를 열고 이병헌은 닫는다. 특별출연이지만 웬만한 주연배우 못지않은 존재감이다.
차갑지만 뜨겁다. ‘밀정’은 이 아이러니를 꽤나 장시간에 걸쳐 구현한다. 친일도 항일도 아닌 회색분자의 시선을 따라가는 것도 흥미롭다. 누구나 밀정이 될 수 있었고, 그걸 선택할 수 있었던 시대. 그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아가던 독립투사들을 위한 헌사이자 시대적 고뇌를 담아낸 시도는 박수칠만하다. 7일 개봉.
조현주 기자 jhjdhe@tenasia.co.kr
‘밀정’ 스틸컷 / 사진=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의 이야기를 들으면 필연적으로 가슴이 뜨거워지음을 느낀다. 목숨을 걸고 주권을 되찾으려 했던 선조들의 모습은 그 자체만으로도 뭉클함을 안긴다. 영화 ‘밀정’(감독 김지운, 제작 영화사 그림·워너브러더스 코리아)은 1920년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다. 애초 서구의 스파이 영화에서 영감을 받아 ‘콜드 누와르’를 만들려고 했던 김지운 감독은 “촬영 도중 영화가 뜨거워졌다”고 고백했다. 영화는 한때 독립운동을 했지만 현재 일본 경찰로 친일을 선택한 이정출(송강호)이 의열단의 리더 김우진(공유)을 만나면서 겪게 되는 심리를 좇는다.‘밀정’은 실제 사건과 인물을 모티브로 한다. 1923년 조선 총독부를 비롯한 일제의 거점 시설을 파괴할 거사를 계획한 의열단원이 체포된다. 여기에는 일제 고등 경찰인 경부로 일하고 있던 황옥도 있었다. 그가 의열단의 리더인 김시현과 함께 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그의 정체에 대한 미스터리는 아직도 의문으로 남아 있다.‘밀정’은 이 의문을 극화(劇化)했다. 조선인 출신 일본인 경찰 이정출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부장 히가시(쓰루미 신고)로부터 적의 밀정이 되어 의열단의 전모를 캐라는 임무를 부여받고 의열단의 리더 김우진에게 접근한다. 두 사람은 자신들의 작전에 서로를 이용하기 위해 정체와 의도를 알면서도 속내를 감춘 채 가까워진다. 그 와중에 의열단은 일제의 주요 시설을 파괴할 폭탄을 경성으로 들여오기 위해 그리고 일본 경찰은 그들을 잡기 위해 모두 상해에 모인다.
영화는 항일 또는 친일이라는 극단의 선택을 강요당했던 시대에 2등 국민으로 살아가야만 했던 우리 선조들의 아픔을, 비극을 그린다. 누가 적이고 동지인지 알 수 없는 모호함 속에서 서로를 의심하고 교란한다. 이정출의 정체성은 더욱 모호하다. 총상을 입고 궁지에 몰린 엣 동지 김장옥(박희순)을 어떻게든 살려내려고 하지만 “넌 이 나라가 독립이 될 거 같냐. 어차피 기울어진 배야”라고 말할 때는 차갑기 그지없다. 회색분자의 이정출은 친일과 항일이라는 거대한 신념이 아닌 그때그때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한다. 자신의 목숨줄을 쥐고 있는 히가시 앞에서는 친일을 하지만 과거 그는 항일을 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때문에 김지운 감독과 송강호는 “‘밀정’에서 밀정이 중요하지 않다”고 여러 번 강조했다. 송강호는 “밀정을 찾기 보다는 혼란스러운 그 시대를 살아가던 인물들에 초점을 맞추는데 연기 포인트를 뒀다”고도 말했다. 그러나 이 지점은 ‘밀정’의 약점이기도 하다. 2시간 20분이라는 긴 러닝타임을 인간의 심리에만 좇기에는 영화의 짜임새가 촘촘하지 않다. 개연성을 따지고 들자면 바로 그 허술함이 바로 드러난다. 서로를 경계하고 의심하고, 내부의 적을 파헤치며 꽤나 높은 텐션(tension)을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영화적 재미를 줄 수 있는 강력한 ‘한방’ 역시 부재하다.
다만 ‘장화, 홍련’(2003) ‘달콤한 인생’(2005)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 등 스타일리시한 영화를 선보여 왔던 김지운 감독은 이번 작품에서도 경성과 상해를 배경으로 관객들의 시선을 현혹할 미장센을 펼친다. 독립군 학살이 벌어지는 장면에서 루이 암스트롱의 재즈곡 ‘왠 유아 스마일링(When you’re smiling)’을 넣는 과감한 시도 역시 돋보인다.
송강호는 미세한 얼굴 떨림으로 독립투사와 친일파의 경계를 오가며 극에 개연성을 불어넣는다. 이정출을 경계하기 위한 일본 경찰 하시모토 역을 맡은 엄태구는 자신이 왜 충무로의 기대주인지 몸소 증명한다. 송강호에 전혀 밀리지 않는 카리스마로 몰입도를 더했다. 박희순은 영화를 열고 이병헌은 닫는다. 특별출연이지만 웬만한 주연배우 못지않은 존재감이다.
차갑지만 뜨겁다. ‘밀정’은 이 아이러니를 꽤나 장시간에 걸쳐 구현한다. 친일도 항일도 아닌 회색분자의 시선을 따라가는 것도 흥미롭다. 누구나 밀정이 될 수 있었고, 그걸 선택할 수 있었던 시대. 그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아가던 독립투사들을 위한 헌사이자 시대적 고뇌를 담아낸 시도는 박수칠만하다. 7일 개봉.
조현주 기자 jhjdhe@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