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임휘준 인턴기자]
2015학년도 2학기 학기말 성적이 속속 발표되면서 학점계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각종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학점계산기는 편리해 보이지만 언뜻 보면 복잡한 구성에 사용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단순하게 성적을 입력하기 전 자신의 학교 성적 제도와 맞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먼저 과목을 입력하기 전 학교 성적 제도와 맞게 설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4.5 만점’인지, ‘4.3 만점’인지, ‘4.5 만점(A-점수 포함)’인지 선택한다. 학교 성적 제도에 따라 부여되는 학점의 급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하게 선택해야 한다.
이후 과목명을 입력하고 점수를 매긴 후 해당 과목에 대한 학점(시수)를 입력한다. 전공의 경우는 따로 체크할 수 있어 전공학점 만 따로 이수학점과 평점을 계산할 수 있다.
학점계산기로 계산한 학점이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는 못한다. 정확한 성적은 각 학교 성적증명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임휘준 인턴기자 sosukehello@
사진. 네이버 학점계산기 홈페이지 캡처
2015학년도 2학기 학기말 성적이 속속 발표되면서 학점계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각종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학점계산기는 편리해 보이지만 언뜻 보면 복잡한 구성에 사용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단순하게 성적을 입력하기 전 자신의 학교 성적 제도와 맞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먼저 과목을 입력하기 전 학교 성적 제도와 맞게 설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4.5 만점’인지, ‘4.3 만점’인지, ‘4.5 만점(A-점수 포함)’인지 선택한다. 학교 성적 제도에 따라 부여되는 학점의 급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하게 선택해야 한다.
이후 과목명을 입력하고 점수를 매긴 후 해당 과목에 대한 학점(시수)를 입력한다. 전공의 경우는 따로 체크할 수 있어 전공학점 만 따로 이수학점과 평점을 계산할 수 있다.
학점계산기로 계산한 학점이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는 못한다. 정확한 성적은 각 학교 성적증명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임휘준 인턴기자 sosukehello@
사진. 네이버 학점계산기 홈페이지 캡처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