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건을 두고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편성채널은 뉴스특보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전국민을 울분케한 이번 재난과 관련, 언론의 보도 행태는 신뢰를 주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종합편성채널 MBN의 홍가혜 거짓 인터뷰, 안산 단원고 학생들의 사망 보험금을 계산한 MBC, 생존 학생에게 친구의 사망 소식을 알린 JTBC, 뉴스특보 중 기자의 웃음이 공개돼 논란이 된 SBS 등, 과연 오늘의 언론에 재난 보도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이 갖춰져있는지 의문이 생길 정도다.
따라서 텐아시아에서는 KBS MBC SBS(알파벳순)등 3대 지상파의 저녁 뉴스와 이번 세월호 보도로 시청률이 상승한 종합편성채널 JTBC의 저녁 뉴스 보도를 비교해 같은 재난을 두고 보도 형태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기로 했다.1) 원인 분석 방식, 2) 방지 대책 및 예방에 대한 보도, 3) 사상자에 대한 가십성 기사 여부, 4) 생존자에 대한 무리한 인터뷰 유무, 5) 자극적 영상 사용 여부, 6) 사상자, 가족 및 사고 관련자에 대한 인권 존중 등 총 6가지의 기준을 세워, 사고 발생 당일인 16일부터 사흘 동안(일부 예외 적용)의 방송사 저녁 메인 뉴스를 다시보기해 중점적으로 비교했다.
저녁시간 방송되는 메인뉴스는 속보로 이뤄진 뉴스특보보다 분석적이면서 종합적이어야 한다. 무엇보다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원인분석과 방지대책(1), 예방에 대한 보도(2)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 부분을 기준 중에서도 최우선으로 뒀다.
또 여타의 보도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수많은 인명피해를 낸 재난보도에 있어서는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국내 언론은 감정적이고 선정적이라는 지적이 많은 만큼, 사상자에 대해 가십성으로 다루는지, 인권을 존중하는지(3,6), 생존자에 대해 무리한 인터뷰를 하거나 자극적으로 영상을 사용하는지(4,5)총 4가지 기준을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세 번째 기준으로 삼은 사상자에 대한 가십성 보도의 4사 비교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사상자에 대한 가십성 기사 여부
네 방송사 모두 사건 발생 초기 경쟁적으로 피해자와 그들의 가족들이 사고 당시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를 보도했다. 이처럼 피해자의 사연을 부각시키는 가십성 보도는 네 방송사에 모두 존재했다. 그 자체를 문제삼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클리닉의 이병철 교수는 “이 같은 보도는 국민들 정서를 피해자 가족들에 이입시키고 그들을 돕고자 하는 마음을 불러일으키게 만든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재난사고는 영웅을 만들어내게 되어 있는데, 이들을 비난하거나 공격하는 것보다는 도움이 된다. 그렇게 언급되는 것 자체가 트라우마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보도 방식이다. 가십성 보도가 피해자의 아픔을 위로하는 것에서 벗어나 언론 스스로가 더 감정적이 되는 것은 적합한 방식의 보도라 말하기 힘들다. 인간적 흥미를 끌기 위한 상업적 보도경향이라는 지적도 피할 수 없다.네 방송사는 같은 문자 메시지를 보도함에 있어 그 방식이 모두 달랐는데, 무엇이 적절한 방식인지는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확연히 느껴진다. 먼저 JTBC는 사고 순간 아들과 아버지가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를 통해 사고 당시 정황을 되짚었다. 화면에서 확대해 강조한 것은 감정적인 대목이 아니라, ‘컨테이너가 막 떨어지고’, ‘방이 45도 기울어졌다’ 등 사고 발생 당시 정황을 알 수 있는 부분. 비록 가십의 성격을 띈 보도임에도, 정보를 전달하고자 애쓴 흔적이 보인다.
KBS는 단원고 학생들의 단체 대화방에서 오고간 이야기를 그대로 전하는 데 초점을 뒀다. 휴대폰 속 화면을 그대로 캡처해 메시지를 보낸 시각과 메시지의 내용을 확대시키는 방식을 사용했다. 손녀에게 받은 ‘ㄹ’자 미완의 메시지에 관해서도 실종자 가족이 실제로 보여준 휴대폰 속 화면을 내보냈다. 지나친 감정이입 대신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방식이었다. 기자는 마지막 멘트로 “시간이 흐를수록 불안감은 커지지만 반드시 친구들을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끈은 놓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마무리했다.
SBS는 실종자 가족에게 전달된 메시지를 바탕으로 실종자 가족의 감정을 전달하는데 중점을 뒀다. 배가 기울고 있다는 문자메시지를 끝으로 연락이 오지 않는 아들의 가족과 ‘ㄹ’자 미완의 메시지를 보낸 손녀의 할머니 인터뷰를 함께 담았다. 이와 함께 체육관에서 울고 있는 실종자 가족들의 모습을 사이사이에 넣어 가족들의 간절함을 강조했다. 기자도 마지막으로 “가족들은 실종자들이 남긴 메시지들이 마지막이 아니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고 전했다.MBC가 가장 감정적인 보도 형태를 보여줬다. 사고 첫 날인 16일 앵커가 ‘어쩌면 생의 마지막일지도 모르는 순간’이라고 전제했다. 기자 역시 리포팅 도중 ‘생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순간’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사건 발생 초기임에도 민감한 부분과 관련, 듣는 이의 감정을 자극하는 추측성 멘트가 아쉽다. MBC가 문자 메시지 내용 중 확대하여 강조한 대목 역시도 아들과 엄마가 ‘사랑한다’고 말하는 지극히 감정적인 부분이다.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① 원인 분석 방식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② 방지 대책 및 예방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③ 사상자에 대한 가십성 기사 여부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④ 생존자에 대한 무리한 인터뷰 유무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⑤ 자극적 영상 사용 여부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⑥ 사상자, 가족 및 사고 관련자에 대한 인권 존중
글. 배선영 sypova@tenasia.co.kr, 박수정 soverus@tenasia.co.kr
편집. 최예진 인턴기자 2ofus@tenasia.co.kr
[나도 한마디!][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EVENT] 와우, 비투비의 봄날 5월 구매 고객 이벤트
전국민을 울분케한 이번 재난과 관련, 언론의 보도 행태는 신뢰를 주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종합편성채널 MBN의 홍가혜 거짓 인터뷰, 안산 단원고 학생들의 사망 보험금을 계산한 MBC, 생존 학생에게 친구의 사망 소식을 알린 JTBC, 뉴스특보 중 기자의 웃음이 공개돼 논란이 된 SBS 등, 과연 오늘의 언론에 재난 보도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이 갖춰져있는지 의문이 생길 정도다.
따라서 텐아시아에서는 KBS MBC SBS(알파벳순)등 3대 지상파의 저녁 뉴스와 이번 세월호 보도로 시청률이 상승한 종합편성채널 JTBC의 저녁 뉴스 보도를 비교해 같은 재난을 두고 보도 형태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기로 했다.1) 원인 분석 방식, 2) 방지 대책 및 예방에 대한 보도, 3) 사상자에 대한 가십성 기사 여부, 4) 생존자에 대한 무리한 인터뷰 유무, 5) 자극적 영상 사용 여부, 6) 사상자, 가족 및 사고 관련자에 대한 인권 존중 등 총 6가지의 기준을 세워, 사고 발생 당일인 16일부터 사흘 동안(일부 예외 적용)의 방송사 저녁 메인 뉴스를 다시보기해 중점적으로 비교했다.
저녁시간 방송되는 메인뉴스는 속보로 이뤄진 뉴스특보보다 분석적이면서 종합적이어야 한다. 무엇보다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원인분석과 방지대책(1), 예방에 대한 보도(2)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 부분을 기준 중에서도 최우선으로 뒀다.
또 여타의 보도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수많은 인명피해를 낸 재난보도에 있어서는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국내 언론은 감정적이고 선정적이라는 지적이 많은 만큼, 사상자에 대해 가십성으로 다루는지, 인권을 존중하는지(3,6), 생존자에 대해 무리한 인터뷰를 하거나 자극적으로 영상을 사용하는지(4,5)총 4가지 기준을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세 번째 기준으로 삼은 사상자에 대한 가십성 보도의 4사 비교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사상자에 대한 가십성 기사 여부
네 방송사 모두 사건 발생 초기 경쟁적으로 피해자와 그들의 가족들이 사고 당시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를 보도했다. 이처럼 피해자의 사연을 부각시키는 가십성 보도는 네 방송사에 모두 존재했다. 그 자체를 문제삼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클리닉의 이병철 교수는 “이 같은 보도는 국민들 정서를 피해자 가족들에 이입시키고 그들을 돕고자 하는 마음을 불러일으키게 만든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재난사고는 영웅을 만들어내게 되어 있는데, 이들을 비난하거나 공격하는 것보다는 도움이 된다. 그렇게 언급되는 것 자체가 트라우마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보도 방식이다. 가십성 보도가 피해자의 아픔을 위로하는 것에서 벗어나 언론 스스로가 더 감정적이 되는 것은 적합한 방식의 보도라 말하기 힘들다. 인간적 흥미를 끌기 위한 상업적 보도경향이라는 지적도 피할 수 없다.네 방송사는 같은 문자 메시지를 보도함에 있어 그 방식이 모두 달랐는데, 무엇이 적절한 방식인지는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확연히 느껴진다. 먼저 JTBC는 사고 순간 아들과 아버지가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를 통해 사고 당시 정황을 되짚었다. 화면에서 확대해 강조한 것은 감정적인 대목이 아니라, ‘컨테이너가 막 떨어지고’, ‘방이 45도 기울어졌다’ 등 사고 발생 당시 정황을 알 수 있는 부분. 비록 가십의 성격을 띈 보도임에도, 정보를 전달하고자 애쓴 흔적이 보인다.
KBS는 단원고 학생들의 단체 대화방에서 오고간 이야기를 그대로 전하는 데 초점을 뒀다. 휴대폰 속 화면을 그대로 캡처해 메시지를 보낸 시각과 메시지의 내용을 확대시키는 방식을 사용했다. 손녀에게 받은 ‘ㄹ’자 미완의 메시지에 관해서도 실종자 가족이 실제로 보여준 휴대폰 속 화면을 내보냈다. 지나친 감정이입 대신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방식이었다. 기자는 마지막 멘트로 “시간이 흐를수록 불안감은 커지지만 반드시 친구들을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끈은 놓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마무리했다.
SBS는 실종자 가족에게 전달된 메시지를 바탕으로 실종자 가족의 감정을 전달하는데 중점을 뒀다. 배가 기울고 있다는 문자메시지를 끝으로 연락이 오지 않는 아들의 가족과 ‘ㄹ’자 미완의 메시지를 보낸 손녀의 할머니 인터뷰를 함께 담았다. 이와 함께 체육관에서 울고 있는 실종자 가족들의 모습을 사이사이에 넣어 가족들의 간절함을 강조했다. 기자도 마지막으로 “가족들은 실종자들이 남긴 메시지들이 마지막이 아니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고 전했다.MBC가 가장 감정적인 보도 형태를 보여줬다. 사고 첫 날인 16일 앵커가 ‘어쩌면 생의 마지막일지도 모르는 순간’이라고 전제했다. 기자 역시 리포팅 도중 ‘생의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순간’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사건 발생 초기임에도 민감한 부분과 관련, 듣는 이의 감정을 자극하는 추측성 멘트가 아쉽다. MBC가 문자 메시지 내용 중 확대하여 강조한 대목 역시도 아들과 엄마가 ‘사랑한다’고 말하는 지극히 감정적인 부분이다.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① 원인 분석 방식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② 방지 대책 및 예방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③ 사상자에 대한 가십성 기사 여부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④ 생존자에 대한 무리한 인터뷰 유무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⑤ 자극적 영상 사용 여부
세월호 침몰 다룬 KBS MBC SBS JTBC 저녁뉴스 비교 ⑥ 사상자, 가족 및 사고 관련자에 대한 인권 존중
글. 배선영 sypova@tenasia.co.kr, 박수정 soverus@tenasia.co.kr
편집. 최예진 인턴기자 2ofus@tenasia.co.kr
[나도 한마디!][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EVENT] 와우, 비투비의 봄날 5월 구매 고객 이벤트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