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name is 서울전자음악단. 신윤철(기타), 오형석(드럼), 김정욱(베이스)으로 구성된 3인조 밴드다.
지난해 6월에 신석철 대신 오형석이 새 멤버로 합류했다. 신석철이 거의 10년 만에 이은미 밴드에 다시 참여하게 되면서 공연 스케줄이 겹쳐 오디션을 통해 드러머를 뽑게 됐다. 정원영 교수님도 “드럼을 굉장히 잘 치는 친구”라고 추천하셨다.
오형석이 서울전자음악단에 들어오기 전에는 4인조 록밴드 더 문에서 드러머로 활동했고 재즈 장르도 많이 접했다. 그래서 예전에는 연주 음악이나 재즈 음악을 많이 들었는데, 요즘에는 두 형님의 영향으로 옛날 노래를 많이 듣고 있다.
세 명 모두 말이 없는 편이다. 김정욱은 서울전자음악단에 들어오면서 말수가 줄어들었고, 오형석은 원래부터 말이 많은 편이 아니었다. 우리는 술을 마셔야 얘기를 한다. 하하하. 그렇다고 매체 인터뷰나 방송에 출연했을 때 특별히 힘든 건 없다. 사실 고생하는 건 우리가 아니라 우리한테 질문을 던지고 답을 얻어야 하는 상대방이다.
그래서 공연을 할 때 웬만하면 멘트도 잘 안 하는 편이다. 사실 멘트가 길어지다 보면 그만큼 음악을 들을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말은 최대한 짧게!
전주국제영화제 공연은 처음이다. 우리가 그동안 계속 비슷한 레퍼토리로 공연해왔는데 이제는 바꿔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우리나라 옛날 노래들 중에서 좋은 곡을 골라 연주할 생각인데, 방금 인터뷰 오는 길에 차 안에서 들었던 산울림의 ‘아마 늦은 여름이었을거야’도 한 번 해보고 싶다.
신윤철은 오직 영화를 보기 위해 전주국제영화제에 다녀온 적이 있다. 평소에 볼 수 없는 영화를 보려고 1970년대 프랑스 영화를 골랐다. 미술가, 음악가, 시인 등 예술가들이 시위를 하다가 결국 돈 많은 친구에게 의존해서 산다는 심각한 내용이었는데, 같은 예술가로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예술과 돈은 굉장히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사실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거다.
2집 는 1집에 비해 더 신나는 느낌이다. 록음악이라고 하면 관객들이 일단 신나길 바라는 부분이 있어서 일부러 그렇게 쓴 곡들도 있고, 어쨌든 많이 노력했다. 아무래도 템포가 이전보다 빨라지니까 공연장에서의 반응도 좋아진 것 같다.
경기도 광주에서 곡을 쓰고 녹음을 했다. 예전에 신석철이 친구들과 함께 경기도에 집을 얻어 같이 살고 합주를 한 적이 있다. 우리도 그렇게 같이 살면서 앨범 작업을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가정집을 장만했고, 산 속에서 좋은 공기 마시면서 앨범을 만들었다. 회사 문제로 약 4년 동안 2집 앨범을 만들게 됐는데, 짧은 시간 안에 빨리 만들면 좀 더 생기 있는 음악이 나오지만 이렇게 오랫동안 작업을 하다보면 완성도 면에서는 더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는 것 같다. 같은 곡을 수 십 번 녹음하고 그 중에서 잘 된 것만 골라서 쓸 수 있으니까.
그 곳에서 탄생한 곡이 ‘고양이의 고향노래’, ‘종소리’, ‘섬’, ‘나무랄 데 없는 나무’다. (곡 제목들이 모두 자연친화적인데?) 어? 듣고 보니 그렇네. 하하. 공간적인 영향이 진짜 큰 것 같다. 자연을 보고 있으니까 가사도 자연스럽게 그 쪽으로 쓰게 됐다.
그 중 ‘고양이의 고향노래’는 작업실 근처 슈퍼마켓에 묶여있는 새끼 고양이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슈퍼마켓 주인 할머니가 태어난 지 한 달 된 새끼 고양이라며 우리한테 키우라고 주셨다. 그래서 동물병원에 데리고 갔더니 의사 분이 고양이를 묶어놓고 키우면 다른 산고양이들이 와서 공격을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 얘기를 듣다보니 마치 학교에서 왕따 당하는 아이 같기도 하고, 4년 동안 음반도 못 내고 방송 출연도 못하셨던 아버지(신중현)의 모습도 떠올랐다. 아버지 노래를 금지곡으로 선정한 이유도 진짜 뭐, 창법 저속, 가사 퇴폐풍조 조장, 이런 걸 갖다 붙이니까 뮤지션들의 표현의 자유가 사라졌다. 한국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2집 앨범에서 기타 솔로가 많은 이유는 마치 공연을 하는 것처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연주를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근데 우리가 생각해도 좀 길었던 것 같다. (웃음) 공연할 때는 그 길이를 좀 유연하게 조절하는 편인데, 관객들이 짧게 하면 빨리 끝났다고 뭐라 하시고 또 길게 하면 길게 한다고 뭐라 하신다. 어디서 끊을지는 우리 마음이다. (웃음)다음 앨범은 올해 가을, 겨울쯤에 나올 것 같다. 그 전에 신윤철의 솔로 EP 앨범이 먼저 나올 것 같다. 총 5곡이 들어가는데, 신윤철이 노래하진 않고 각 곡마다 다른 객원 보컬을 썼다. 작업은 거의 끝난 상태다.
JIFF 스페이스에서 야외 공연을 할 예정이니 편하게 저녁 드시고 오셔서 술 한 잔 하시면서 공연을 즐기면 좋을 것 같다. 음악이란 그런 거니까. 하하.
글. 이가온
사진. 채기원 ten@
지난해 6월에 신석철 대신 오형석이 새 멤버로 합류했다. 신석철이 거의 10년 만에 이은미 밴드에 다시 참여하게 되면서 공연 스케줄이 겹쳐 오디션을 통해 드러머를 뽑게 됐다. 정원영 교수님도 “드럼을 굉장히 잘 치는 친구”라고 추천하셨다.
오형석이 서울전자음악단에 들어오기 전에는 4인조 록밴드 더 문에서 드러머로 활동했고 재즈 장르도 많이 접했다. 그래서 예전에는 연주 음악이나 재즈 음악을 많이 들었는데, 요즘에는 두 형님의 영향으로 옛날 노래를 많이 듣고 있다.
세 명 모두 말이 없는 편이다. 김정욱은 서울전자음악단에 들어오면서 말수가 줄어들었고, 오형석은 원래부터 말이 많은 편이 아니었다. 우리는 술을 마셔야 얘기를 한다. 하하하. 그렇다고 매체 인터뷰나 방송에 출연했을 때 특별히 힘든 건 없다. 사실 고생하는 건 우리가 아니라 우리한테 질문을 던지고 답을 얻어야 하는 상대방이다.
그래서 공연을 할 때 웬만하면 멘트도 잘 안 하는 편이다. 사실 멘트가 길어지다 보면 그만큼 음악을 들을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말은 최대한 짧게!
전주국제영화제 공연은 처음이다. 우리가 그동안 계속 비슷한 레퍼토리로 공연해왔는데 이제는 바꿔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우리나라 옛날 노래들 중에서 좋은 곡을 골라 연주할 생각인데, 방금 인터뷰 오는 길에 차 안에서 들었던 산울림의 ‘아마 늦은 여름이었을거야’도 한 번 해보고 싶다.
신윤철은 오직 영화를 보기 위해 전주국제영화제에 다녀온 적이 있다. 평소에 볼 수 없는 영화를 보려고 1970년대 프랑스 영화를 골랐다. 미술가, 음악가, 시인 등 예술가들이 시위를 하다가 결국 돈 많은 친구에게 의존해서 산다는 심각한 내용이었는데, 같은 예술가로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예술과 돈은 굉장히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사실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거다.
2집 는 1집에 비해 더 신나는 느낌이다. 록음악이라고 하면 관객들이 일단 신나길 바라는 부분이 있어서 일부러 그렇게 쓴 곡들도 있고, 어쨌든 많이 노력했다. 아무래도 템포가 이전보다 빨라지니까 공연장에서의 반응도 좋아진 것 같다.
경기도 광주에서 곡을 쓰고 녹음을 했다. 예전에 신석철이 친구들과 함께 경기도에 집을 얻어 같이 살고 합주를 한 적이 있다. 우리도 그렇게 같이 살면서 앨범 작업을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가정집을 장만했고, 산 속에서 좋은 공기 마시면서 앨범을 만들었다. 회사 문제로 약 4년 동안 2집 앨범을 만들게 됐는데, 짧은 시간 안에 빨리 만들면 좀 더 생기 있는 음악이 나오지만 이렇게 오랫동안 작업을 하다보면 완성도 면에서는 더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는 것 같다. 같은 곡을 수 십 번 녹음하고 그 중에서 잘 된 것만 골라서 쓸 수 있으니까.
그 곳에서 탄생한 곡이 ‘고양이의 고향노래’, ‘종소리’, ‘섬’, ‘나무랄 데 없는 나무’다. (곡 제목들이 모두 자연친화적인데?) 어? 듣고 보니 그렇네. 하하. 공간적인 영향이 진짜 큰 것 같다. 자연을 보고 있으니까 가사도 자연스럽게 그 쪽으로 쓰게 됐다.
그 중 ‘고양이의 고향노래’는 작업실 근처 슈퍼마켓에 묶여있는 새끼 고양이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슈퍼마켓 주인 할머니가 태어난 지 한 달 된 새끼 고양이라며 우리한테 키우라고 주셨다. 그래서 동물병원에 데리고 갔더니 의사 분이 고양이를 묶어놓고 키우면 다른 산고양이들이 와서 공격을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 얘기를 듣다보니 마치 학교에서 왕따 당하는 아이 같기도 하고, 4년 동안 음반도 못 내고 방송 출연도 못하셨던 아버지(신중현)의 모습도 떠올랐다. 아버지 노래를 금지곡으로 선정한 이유도 진짜 뭐, 창법 저속, 가사 퇴폐풍조 조장, 이런 걸 갖다 붙이니까 뮤지션들의 표현의 자유가 사라졌다. 한국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2집 앨범에서 기타 솔로가 많은 이유는 마치 공연을 하는 것처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연주를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근데 우리가 생각해도 좀 길었던 것 같다. (웃음) 공연할 때는 그 길이를 좀 유연하게 조절하는 편인데, 관객들이 짧게 하면 빨리 끝났다고 뭐라 하시고 또 길게 하면 길게 한다고 뭐라 하신다. 어디서 끊을지는 우리 마음이다. (웃음)다음 앨범은 올해 가을, 겨울쯤에 나올 것 같다. 그 전에 신윤철의 솔로 EP 앨범이 먼저 나올 것 같다. 총 5곡이 들어가는데, 신윤철이 노래하진 않고 각 곡마다 다른 객원 보컬을 썼다. 작업은 거의 끝난 상태다.
JIFF 스페이스에서 야외 공연을 할 예정이니 편하게 저녁 드시고 오셔서 술 한 잔 하시면서 공연을 즐기면 좋을 것 같다. 음악이란 그런 거니까. 하하.
글. 이가온
사진. 채기원 t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