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1 ‘정도전’의 이성계(왼쪽)와 영화 ‘역린’의 정조

여말선초가 따로 없다. 전 국민을 비탄에 빠지게 한 세월호 침몰 참사는 국가 권력의 허망함을, 언론의 횡포를, 국민의 무기력함을 통감하게 했다. 비참한 현실을 바꿀 방법마저 쉬이 떠오르지 않는다. 온라인상에는 이를 성토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넘쳐난다.

답답한 현실에서 돌파구를 찾는 대중의 심리는 문화의 영역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물론 드라마나 영화가 현실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해결책이 될 리 만무하지만, 그중 몇 작품의 반응이 심상치 않다. 그리고 그런 반응을 얻고 있는 작품들 속에서는 한 가지 공통점도 발견된다. 바로 하나같이 현실에는 없는 ‘이상적인 군주상’을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 ‘정도전’의 이성계, ‘역린’의 정조…포용력·이성적인 판단 능력 겸비한 인물로 그려져

KBS1 ‘정도전’과 영화 ‘역린’이 대표격이다. 지난 1월 첫 전파를 탄 ‘정도전’의 상승세는 무서울 정도다. 일요일 예능의 절대 강자로 군림해왔던 KBS2 ‘개그콘서트’를 앞지르는 것도 모자라 매회 상승세를 거듭, 최근 방송된 38회 방송분은 전국 시청률 19.2%(닐슨 코리아 기준)를 기록하며 20%대 돌파를 앞두고 있다. 체감 반응도 기존의 사극과는 느낌이 다르다.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대하사극이 이 정도 시청률을 기록한 것도 놀랍지만, 온라인상에서는 작품을 패러디한 각종 창작물이 등장하는 등 ‘정도전’은 젊은 시청자들 사이에서 여느 미니시리즈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유동근은 ‘정도전’에서 이성계 역을 맡아 포용력 있는 군주상을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도전’이 이토록 뜨거운 반응을 얻은 이유 중 큰 부분을 차지하는 요소는 ‘현실과의 접점’이다. 방송 초반 ‘정도전’의 집필을 맡은 정현민 작가가 방송작가로 데뷔 전 10여 년간 국회 보좌관으로 일한 경력이 공개돼 눈길을 끌었다. 현실 정치 참여 경험은 작품 속 날 선 대사로 이어졌고, 이에 ‘정도전’은 매회 주옥같은 대사들을 쏟아내며 순항 중이다. 작품이 인기를 끌며 극 중 유동근이 연기한 이성계가 화제의 중심에 섰다. 고려의 재건과 개국의 기로에서 고뇌하는 이성계는 포용력과 성품을 겸비한 인물로 그려져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이성계는 폭정을 일삼았던 우왕(박진우)과 대척점에 서며 이상적인 군주상을 선보여 관심을 끌었다.

‘역린’도 ‘현빈’이라는 톱배우를 정조 역으로 내세우며 흥행몰이에 나서고 있다. 사실 ‘역린’은 실제 역사를 그대로 옮긴 정통 사극이라기보다는 역사에서 모티프를 따온 팩션(Faction, 팩트(Fact)와 픽션(Fiction)의 합성어) 영화다.

실재와 허구와 뒤섞인 ‘역린’ 속에서도 가장 돋보이는 것은 바로 정조. 정조로 분한 현빈은 영화가 시작됨과 동시에 윗옷을 풀어헤친 채 팔굽혀 펴기를 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개봉 전 화제가 됐던 ‘화난 등’도 이때 등장하는 장면. 또 정조는 밤마다 책을 읽느라 존현각에 불이 꺼지지 않는다며 정순왕후(한지민)에게 핀잔을 들을 정도로 학문 탐구에 몰두한 인물로 그려졌다.

현빈은 ‘역린’에서 이성적인 판단력과 무력을 동시에 갖춘 정조 역을 맡았다.

일부는 역사 기록에 근거한 사실이기도 하나 ‘예기(禮記)’ 중 ‘중용(中庸)’의 23장을 줄줄 외는 모습이나 빼어난 활 솜씨까지 겸비한 ‘지덕체(智德體)’를 갖춘 인물로 정조가 그려지고 있다는 건 어느 정도 작품에 현실상이 투영됐다는 사실은 방증한다. ‘역린’은 나라의 안위는 뒷전이고 붕당 정치가 극에 달한 난세를 평정할 인물로 ‘개혁 군주’로 평가받는 정조의 이미지를 극대화함으로써 국가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力說)하고 있는 셈이다.

# 함경도 사투리부터 의외의 허당 기질까지, 작품 속에서만 가능한 ‘왕 비틀기’

‘대중문화’라는 이름으로 작품 속에서 왕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비틀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정도전’의 이성계는 지금의 세를 굳히기까지 도당과 심지어 왕으로부터 ‘변방 촌뜨기’라고 불린다. 여기에는 이성계가 ‘함경도 사투리’를 사용한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 ‘정도전’은 극의 흐름상 무리하게 재미를 더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지만, 위기의 순간에 나직하게 뱉어내는 사투리나 답답한 현실을 잊으려 거나하게 술을 마신 뒤 한 곡조 노래를 뽑는 모습에서는 저절로 웃음이 터져 나온다. 익숙한 역사 인물에 약간의 비틀기를 시도하자 인물의 감성적인 매력이 살아난 것.

‘역린’에서 정재영은 상책 역을 맡아 정조 역의 현빈과 호흡을 맞췄다.

‘역린’은 좀 더 직접적인 방식으로 풍자를 시도한다. 정조는 극 중 상책(정재영)과 묘한 케미를 자아낸다. 마치 ‘만담 콤비’처럼 차진 호흡을 주고받은 두 사람의 이야기는 ‘역린’의 또 다른 관전 포인트이다. 앞서 ‘광해’의 광해(이병헌)-허균(류승룡)의 관계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왕과 신하’는 그간 왕을 다룬 작품들에서 극의 재미를 위해 관행적으로 만들어온 인물 관계이기는 하지만, 이는 후에 ‘왕의 선택’에 대한 설득력을 높이는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어느덧 풍자와 패러디가 사라진 대중문화계에 대중성과 메시지를 결합한 작품들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세월호 침몰 참사 발생 이후 공권력과 국가 수장의 자질에 대한 의구심이 강하게 일고 있는 시점에 ‘역린’ 속 정조와 ‘정도전’의 이성계가 주목받고 있는 건 꽤 의미심장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드라마는 드라마로, 영화는 영화로 봐야 한다지만, 작품에 열광하는 이들의 뜨거운 반응을 꼼꼼히 들여다보면 대중이 보고 싶어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글. 김광국 realjuki@tenasia.co.kr
사진제공. KBS, 롯데엔터테인먼트

[나도 한마디!][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EVENT] 이준, 어제의 이준을 뛰어넘다 6월 구매 고객 이벤트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