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창민 감독 / 사진제공=NEW


추창민 감독이 영화 '행복의 나라'를 선보이는 소감을 밝혔다.

8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행복의 나라'의 추창민 감독을 만났다.'행복의 나라'는 1979년 10월 26일 상관의 명령에 의해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조정석, 이선균, 유재명이 주연을 맡았다.

이선균은 상관의 지시로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재판 받는 정보부장 수행비서관 박태주 역을 맡았다. 조정석은 박태주를 살리기 위해 재판에 뛰어들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혼신의 힘을 다하는 변호사 정인후로 분했다. 유재명은 부정 재판을 주도하며 위험한 야욕을 위해 군사반란을 일으키는 거대 권력의 중심인 합수부장 전상두 역을 맡았다.

추 감독은 "영화를 만들 땐 열심히 만들고, 흥행보다 좋은 영화를 잘 만들고 싶다는 데 집중한다. 개봉하면 관객 수밖에 안 보인다. '망하면 안 되는데' 모든 신경이 집중된다. 관객이 어떻게 볼까 고민된다"며 개봉을 앞둔 떨리는 마음을 드러냈다.이번 영화는 10.26 사건을 모티브로 창작한 작품. 현대사를 다룬 작품은 여럿 있었다. 추 감독은 많이 다뤄졌던 소재지만 이번 작품을 선보이는 이유에 대해 "요즘 세대들은 그 시대를 겪지 못했고 저는 그 시대를 겪은 사람인데도 속속들이 알진 못 한다. 최근에는 '서울의 봄'이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영화는 12.12 사건, 10.26 사건이나 박정희, 전두환, 김재규 같은 특정인물을 직접적으로 다루진 않는다. 그 시대를 표현하려 했다. 전두환이라는 사람을 전상두라는 배역으로 치환했지만, 그 시대의 야만성, 권력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상두 역을 맡은 유재명에게는 "꼭 전두환처럼 말하거나 할 필요없다"고 요청했다고. 추 감독은 "권력은 예민하고 세련되고 감춰져있는 욕망의 꿈틀거림이라고 생각했고, 그렇게 재명 씨와 얘길 나눴다. 시대의 상징성으로 표현했다. 그 인물로 자체로 표현하면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 메타포가 들어있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인후 캐릭터에 대해서는 "누군가는 외쳤을 거고 일갈했을 거고 핍박도 받았을 거다. 그러한 존재를 정인후로 대변했다. 극 중 변호인단도 지금의 인권변호사들의 전신이라고 볼 수 있다. 세상이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세상을 향해 소리치는 사람들을 상징한다"고 전했다.

박태주 캐릭터에 대해서는 "시대의 희생이라는 메타포"라고 했다. 이어 "야만적 시대에 항상 희생되는 사람이 있다. 예전에도 마찬가지고 언제나 시대에는 권력자 뒤에 희생되는 사람있다고 생각한다. 그게 박태주라는 인물이 아니었나 싶다. 그 시대를 상징하는 인물로 치환해놓고 영화를 보면 어떨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연출을 맡게 된 이유에 대해 추 감독은 "사건의 이면은 그동안 잘 몰랐다. 대본을 받고 찾아보니 흥미로운 인물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 인물을 세상 밖으로 끄집어냈을 때 가치를 가졌으면 했다. 시대의 상징성에 대입해서 보면 어떨까"라고 말했다.

지난해 개봉한 '서울의 봄'에서도 비슷한 시기의 현대사를 다뤘다. 추 감독은 "'서울의 봄'을 재밌게 봤다. 속시원했다. 개인에 대한 일갈이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정민표 캐릭터와 비교해 유재명표 캐릭터가 다른 점에 대해서는 "권력자, 독재자가 훨씬 날카롭게 표현된다. 앞뒤가 다르다"며 "황정민은 초반에 욕망을 드러내놓고 달리기 시작한다면, 유재명은 욕망을 감춰두고 프라빗한 장소에서만 드러낸다. 그 차이가 크지 않았나 생각한다. '서울의 봄'은 전두환을 좀 더 가깝게 묘사했다면, 저희는 시대가 가진 모습들을 표현하려고 했고, 유재명이 잘 표현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행복의 나라'는 오는 14일 개봉한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