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대표가 화해와 협상을 제안했지만, 1일 오전 현재까지 하이브는 관련한 대응 없이 잠잠한 상태. 민 대표의 1차 기자회견 당시 즉각 입장을 내며 반박한 것과는 사뭇 다른 대처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하이브가 "추후 법이 정한 테두리 안에서 후속 절차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힌 만큼 입장 발표를 통한 여론몰이 대신 물밑에서 조용히 법적인 조처에 나서는 전략을 선택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또 한편에서는 지난달 31일 진행된 2차 기자회견에서는 그간 일련의 과정을 거쳐온 민 대표의 감상과 소회가 주를 이루고, 동어반복된 멘트가 주를 이뤘던 탓에 특별히 하이브가 반박하거나 관련해 대응할 사안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계속해서 민희진은 "이 분쟁이 대체 누구를 위한 분쟁인 건지 잘 모르겠고 무엇을 얻기 위한 분쟁인 건지 모르겠다. 누구를 비방하는 일도 지겹지 않냐"며 지적했다. 그는 "저의 확실한 목표는 뉴진스와 제가 계획했었던 바를 성실하고 문제없이 이행하는 거다. 그래서 타협점이 잘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민 대표는 이어 "무엇이 실익인지 생각해 모두가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난 어도어를 위해 이렇게 헌신하고 기여했다. 법원에서도 배임이 아니라고 한 상황에서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느냐'라는 부분이 건설적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감정적인 부분은 내려놓고 모두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하지 않나. 이제는 판을 바꿔야 한다"고 재차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31일 오전 9시 서울 시내 모처에서 어도어 임시주주총회가 열린 가운데, 민희진 대표는 유임됐으나, 민 대표의 측근인 신모 부대표와 김모 이사는 해임됐다. 하이브 측이 추천한 김주영 CHRO(최고인사책임자), 이재상 CSO(최고전략책임자), 이경준 CFO(최고재무책임자)가 새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이로써 어도어 이사진은 민 대표 1인과 하이브 인사 3인 구도로 개편됐다.
배임행위에 대한 법적 판단을 엄격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배임은 실질적으로 회사에 끼친 손해가 입증돼야 하는데, 민 대표가 하이브를 배신할 계획을 세웠지만 실질적 손해에는 이르지 않았다는 해석으로 법조계는 보고 있다.
하이브는 민희진 대표가 어도어를 독립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던 것은 분명하다는 법적 판단에 근거해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 wisdomart@ten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