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의 아픔은 피해자의 상처 앞에서 작아져야 할까. 가해자의 고통은 피해자의 회복을 위해 가산되어야 할까. 다소 바보 같고 일견 도발적인 질문이지만 최근 일본 TV를 보면 자꾸 이 우문에 빠지게 된다. 후지TV에서 방영중인 목요 드라마 가 꺼내 든 화두다. 친구에게 여동생을 살해당한 남자와 오빠를 살인자로 둔 여자의 이야기. 화해 불가능의 관계에서 시작하는 이 드라마는 인생의 모순과 질곡을 들춰낸다. 그리고 그 질퍽한 반죽 속에서 미래를 꺼내든다. 서로를 미워하던 감정이 한바탕 큰 소용돌이 속에서 묘한 접점을 찾아간다. 아파도, 슬퍼도, 괴로워도 삶을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는 지독한 고통 속에서 찾아낸다. 낯선 희망으로 독려하는 미래가 아니다.

인간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드라마

는 이야기의 줄기만 볼 때 사회파 드라마다. 하나의 사건이 벌어지고 가해자의 가족들과 피해자의 가족들이 등장하며, 매스 미디어의 폭력적인 보도 속 가해자가 피해자로 몰린다. 2009년 아카데미 영화제 외국어영화부문 일본 대표작이었던 가 제시한 것과 같은 소재다.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하나의 사건은 이제 가해자 없는 피해자를 낳는다. 혹은 불특정 다수가 가해자가 된다. 최근 5년간 일본 내에서 사회 문제가 되기도 했던 이 문제는 드라마와 영화, 소설 속에서 이미 수차례 그려졌다. 하지만 는 미디어의 폭력성을 고발하지 않는다. 사회의 부조리를 논하려 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드라마는 옴진리교 사건의 가해자 가족들을 따라갔던 영화 에서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그랬던 것처럼 인물들에 한 발짝 더 다가선다. 정말 가해자 가족의 심정이 어떨지, 그리고 피해자 가족의 아픔이 어떤 건지를 하얀 도화지에 그리려 한다.

는 2010년 로 화제를 일으켰던 작가 사카모토 유지의 작품이다. 두 작품 모두 사회성이 짙은 사건에서 시작하지만 이후 전개는 등장인물들의 감정에 충실하다. 에서 학대 아동을 유괴해 엄마가 됐던 여자의 심리를 농밀하게 그려냈던 사카모토 유지는 에서 가해자의 속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동시에 피해자는 용서를 어떻게 하는 것인가에 매달린다. 피해자, 가해자에 대한 사회의 매뉴얼을 버리고 인간의 마음을 들여다본다. 그리고 동시에 사랑 이야기도 살며시 끼워 넣는다. 피해자의 오빠와 가해자의 여동생이 그렸다 바로 지워낸 사랑은 근래 일본 드라마에서 본 그 어떤 멜로보다 슬프고 아름답다. 배우들의 명연도 일품이다. 에이타, 오타케 시노부의 열연은 흠 잡을 데가 없고, 미츠시마 히카리의 존재감은 최근 일본 여배우들 사이에서도 보지 못했던 것이다.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일본 드라마 속에서 는 돋보인다. 단연 올해의 일본 드라마다.

글. 정재혁 자유기고가
편집. 이지혜 sev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