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et 에는 작곡 가능한 출연자들이 많다. 크리스는 동방신기의 ‘Rumor’를 만든 프로 뮤지션이고, 심사위원 이승철은 최영태의 곡을 사고 싶다고 했으며, 서로사는 자작곡으로 심사위원들을 감동시켰다. 지난 시즌 출연자들 대부분이 가창력과 연주가 부각된 것과 다른 양상이다. 가 애초에 실력과 진정성을 강조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이어서 일 수도 있다. 올 시즌 유독 안 보이는 춤 잘 추고 비주얼 좋은 사람들은 SM-YG-JYP 엔터테인먼트 (이하 SM-YG-JYP)가 심사에 나선 SBS 에 출연해서일 수도 있다. 하지만 에 출연하지 않아도 작곡은 개인에게 득이 된다. 김태원은 토크쇼에서 ‘사랑할 수록’ 한 곡으로 인생의 암흑기를 벗어났다고 말했고, 용감한 형제는 저작권료로 100억을 벌었다고 밝혔다. 언론에서는 잊을 만하면 1년에 몇 십억을 버는 작곡가들의 저작권료 순위를 발표한다. 아이돌이 될 수 없다면, 아니 아이돌이라도 작곡을 해라. 비스트의 용준형이 말하지 않던가. 작사만 해도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저작권료가 들어온다고.

앨범이 100만장씩 팔리던 시절에도 인기 작곡가는 큰 돈을 벌었다. 하지만 앨범 판매가 제대로 집계될 수 없는 상황에서 정확한 판매량은 제작사만 알고 있었고, 작곡가의 정확한 수입도 드러나지 않았다. 디지털 음원 사이트를 중심으로 앨범 대신 음원이 팔리는 요즘은 작곡가의 수입이 보다 정확하게 정산된다. 음원 사이트와 노래방 등에서 발생한 수익은 저작권 협회를 통해 집계되고, 작곡가에게 정산된다. 게다가 용감한 형제는 악보를 읽을 줄 몰랐고, 처음에는 코드가 뭔지도 몰랐지만 부단한 노력 끝에 히트곡을 만들었다. 인터넷에는 맥북이나 아이패드에 깔 수 있는 앱 ‘개러지 밴드’로 음악을 만드는 법이 올라온다. 수입은 전보다 투명해졌고, 덕분에 미디어는 작곡가가 버는 돈에 대해 쉴 새 없이 거론하며, 좋은 음악을 만든다는 보장은 없지만 일단 작곡을 하기는 쉬워졌다. 인기 아이돌이 되기는 어렵고, 이적이나 정재형 같은 싱어 송 라이터로 성공하기는 더욱 어려운 시대에 (성공한) 전문 작곡가가 되는 것은 새로운 금광처럼 보인다.

달라진 상업 작곡가의 세계

작곡가가 주목받는 현상은 음악산업의 요구를 반영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른바 ‘3강’인 SM, YG, JYP는 유영진, 테디, 박진영이라는 수석 프로듀서 중심으로 음악을 만든다. 그들은 트렌드를 읽고, 가수의 콘셉트에 어울리는 음악을 기획하고, 함께 작업하는 사람들의 역할을 조율한다. 프로듀서인 그들의 일이 작곡가의 역할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지금 누군가에게 곡을 주는 것은 프로듀싱의 개념도 포함된다. 작곡가 이민수는 가인의 ‘돌이킬 수 없는’을 윤상과 함께 만든 뒤 가인의 첫 방송 무대에서 MR로 깔리는 사운드의 볼륨을 보통의 경우보다 두 단계 높였다. 탱고를 사용했다는 점이 시청자의 귀에 더 잘 들리게 하기 위해서였다. 회사는 작곡가가 회사의 기획을 이해한 상태에서 곡을 만들기 원하고, 작곡가는 그만큼 과거보다 더 많은 것을 고려하며 일해야 한다. 스윗튠이 만든 인피니트의 ‘내꺼하자’는 과거의 아이돌처럼 군무를 딱딱 맞추는 팀의 노래답게 과거 남자 아이돌그룹의 노래처럼 보컬-랩-댄스 브레이크 등으로 정확히 나눠진 구성을 보여준다. ‘3강’처럼 자본과 시스템을 대규모로 뒷받침해줄 수 없는 회사라면, 오히려 작곡가가 해야할 일과 중요성은 과거보다 더욱 커졌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방시혁을 시작으로 용감한 형제, 이 트라이브 등 작곡가들이 창업에 나서는 것은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음악의 모든 제작 과정에 참여하는 전문 작곡가들이 산업의 흐름을 읽어내고, 그에 따른 가수를 기획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과거에는 박진영처럼 특별한 경우에만 이 모든 것을 했다면, 2011년에는 산업이 모든 작곡가들에게 그런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작곡가가 곡을 만드는 사람이라는 정의는 변함없지만, 그들의 역할과 위상은 과거와 다르다. 싱어 송 라이터는 예술가의 자세로 자신의 음악을 만들어 스타가 된다. 반면 상업적인 목적으로 다른 가수들에게 곡을 주는 이런 작곡가들은 패션 디자이너와 같은 자세로 음악을 만들어 셀러브리티가 될 수 있다. 그들은 패션 디자이너처럼 트렌드에 맞추거나, 트렌드를 창조하는 작품을 만들어내며 유명인이 되고, 자신의 브랜드로 가수를 제작할 수도 있다. 최근 작곡가들이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미디어와 접촉하며 스스로를 알리려는 이유다.

프로듀서-기획자-제작자, 작곡가의 새로운 정의

대중음악이 말 그대로 산업화 되고, 산업은 작곡가에게 과거와 다른 개념의 일을 하도록 요구했다. 걸그룹의 전성기였던 지난 몇 년이 작곡가의 개념이 바뀌어 가던 과도기였다면, 지금은 싱어 송 라이터와는 다른 작곡가의 정의가 만들어지는 시기다. 스윗튠, 신사동 호랭이, 또는 YG에서 빅뱅의 ‘Tonight’이나 승리의 앨범에 최근의 팝 트렌드를 입힌 최필강 등은 싱어 송 라이터와는 다른 ‘작곡가’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당연시되기 시작한 시대의 시작을 알린다. 그들은 트렌드를 읽고, 회사의 기획을 이해하고, 여러 뮤지션과의 협업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곡을 만드는 것은 싱어 송 라이터 위주의 활동을 하는 뮤지션들과 같지만, 추구하는 목표와 작업 방식은 전혀 다르다. 방시혁은 지난 5일 ‘작곡가’가 아닌 ‘프로듀서’를 교육하는 ‘프로듀서 사관학교’를 열겠다고 발표했다. 프로듀서 사관학교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듀서를 키워내고, 경우에 따라 교육을 받은 프로듀서와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제 음악산업은 변화한 산업의 지형에 따라 그에 맞는 인력을 스스로 키워내는데 이르렀다. 우리는 지금 작곡가이기는 하지만 과거의 작곡가는 아닌, 또는 작곡가이자 프로듀서이며 기획자이자 제작자이기도 한 새로운 ‘직업의 탄생’을 보고 있다.

글. 강명석 기자 two@
편집. 이지혜 seven@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