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미실의 시대.” MBC 에서 덕만은 미실의 죽음을 곧 한 시대의 종언으로 선언했다. 그리고 덕만은 미실의 사후에 새로운 시대를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 2010년과 함께 시작하는 KBS 와 SBS 은 바로 그 고민을 과는 또 다르게 확장시킨 것 같은 작품이다. 황실이 아닌 거리의 백성들을 다룬 두 작품은 한국 사극이 지난 10년 동안 담고 있던 이야기를 계승하면서 그것을 새로운 관점과 스타일로 소화한다. 그래서 에서 두 작품을 위한 안내서를 준비했다. 두 작품의 촬영 현장과 관전 포인트, 그리고 비슷한 듯 하지만 상이한 두 작품의 전략을 통해 익숙한 장르 안에서 낯선 이야기와 볼거리를 선사할 두 작품의 재미를 발견할 수 있길 바란다.
“우릴 구할 사람은 우리 밖에 없는 것이다. 하여 우리가 포기하면 우린 죽는다.” 부당한 권력은 그들을 핍박한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권력의 회유는 달콤하고, 그들에 맞서는 삶은 피로하다. 포기하라. 포기하면 모든 것이 편하다. 허나, 포기는 죽음에 이르는 가장 빠른 길이다. 2009년의 사극 MBC 은 그렇게 김유신(엄태웅)의 입을 통해 화두를 던졌다. 이길 수 없는 적이 앞에 있다. 당신은 포기할 것인가, 싸울 것인가.
그리고 그 고민은 황실이 아닌 저자거리에서 계속된다. 새로운 10년을 여는 첫 사극 KBS 와 SBS 은 앞으로의 10년에 대한 어떤 지표가 될 수도 있는 가능성을 담은 사극들이다. 두 작품은 2009년 드라마 전체의 상징과도 같았던 이 가진 고민을 이어가지만, 동시에 새로운 방식으로 그 고민에 접근하고, 또 다른 사극의 방향을 제시할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에서 정치가들이 꿈꾼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열망은 와 에서 세상의 장벽을 뛰어넘고 싶은 욕망으로 꿈틀대는 저자거리 백성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현실에 맨몸으로 맞서는 사람들의 이야기
에서 노비 태하(오지호)는 신분을 복권해 자신이 모시던 소현세자가 품었던 부국강병의 꿈을 이어가려 한다. 의 황정(박용우)은 구한말 조선에서 서양의가 되고픈 백정이다. 거시에서 미시로, 왕의 고민에서 노비와 백정의 고민으로. 태하와 황정에게 미실 같은 절대적인 적은 없다. 대하를 쫓는 노비 사냥꾼 대길(장혁)은 그 자신도 세상의 냉대를 견뎌야 하는 몰락한 양반이고, 황정과 의술과 사랑에서 라이벌이 될 양반 출신 의사 도양(연정훈)은 미실 같은 권력자가 아니다. 왕은 어떤 세상을 만들어갈지에 대해 고민한다. 하지만 노비와 백정은 보이지 않지만 철옹성처럼 단단한 세상의 벽 앞에서 어떻게든 살기 위해 몸부림친다.
“그 시절에는 병을 앓던 여성이 의원의 치료를 받고 살아났다가 남자가 자신의 몸에 손을 댔다는 수치심에 목숨을 끊는 일도 있었다.” 의 이기원 작가가 을 구상하며 떠올린 그 시절의 이야기는 이 인간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단서가 될 것이다. “모든 것이 하이브리드 된 시대였던 구한말”에 백정은, 또는 석란(한혜진)같은 여자는 제도적으로 의술을 배울 수 있는 길을 얻었다. 하지만 백정에게는 의술조차 행하지 않는 사회적 시선은 여전하다. 그 때 백정이 의사가 되고 싶어 한다면 그는 어떻게 세상을 헤쳐 나갈 것인가. 또한 노비 신분에 소현세자의 정치적 비전을 잇겠다는 꿈을 가진 인간이 있다면, 그는 어떻게 세상에 육중한 도(刀)를 날릴 수 있을 것인가? 에서 이미 한 시대를 사는 각자 다른 신분의 세 남녀의 이야기를 보여줬던 곽정환 감독은 를 이렇게 정의한다. “시대의 모순에 저항하고 싸워나가려 하는 조선 상놈들의 맨 몸뚱이 이야기.”
그래서 과 가 몸을 적나라하게 다룬다는 점은 흥미롭다. 화랑들을 중심으로 한 액션이 있었지만, 은 기본적으로 황실 안에서, 몸보다는 머리로 정치 철학에 대해 고민했다. 하지만 저자 거리의 노비와 백정은 끊임없이 몸을 움직이고, 몸짓으로 대화한다. 는 “천쪼가리 하나 걸친 남자들의 육체성”을 부각하고, 은 현대의 의학 드라마 이상으로 디테일한 수술 장면들이 등장한다. 갈라진 몸에서 피가 나오고, 몸에서 적출된 장기가 그대로 보인다. 그것은 드라마의 볼거리이기도 하지만, 언제나 몸으로 부딪치는 궁 밖 사람들의 현실이기도 하다. 에서 황정은 참수 당한 자신의 동료를 직접 해부하며 덜덜 떨어야 한다. 이 지독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대체 무엇을 해야 하는가. 2010년을 말하는 조선시대 그 어디쯤
2008년의 SBS 와 KBS 는 난세에 빠진 백성들을 도와주는 영웅을 그렸다. 2009년의 은 난세를 평화롭게 만들기 위한 통치 철학을 고민했다. 그리고 2010년의 와 은 세상의 보이지 않는 벽을 자각한 난세의 노비와 백정의 몸짓을 보여준다. 곽정환 감독이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을 궁극적으로 그려내고자 한다”고 말하고, 의 홍창욱 감독이 SBS 에서 결코 공정하지 않은 현대의 법 제도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은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2010년의 사극은 더 이상 역사의 기록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현실에 대해 보다 거침없이 말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래서 와 은 한국 사극의 복원이자 새로운 변화의 시작이 될지도 모른다. 와 은 왕과 정치 권력이 아닌 그 시절 민초의 인생역정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국 사극에서 오랫동안 등장하지 않았던 궁 바깥의 이야기를 다시 다룬다. 그러나 두 작품의 스타일은 과거의 SBS 나 SBS 같은 과거의 사극과는 다르다. 와 의 맥은 오히려 영화와 ‘미드’에 닿아있다. 영화 등의 시나리오를 쓴 천성일 작가가 집필한 대본은 특정 인물 중심이었던 기존 사극과는 달리 오히려 여러 인물의 이야기를 조각조각 모아서 하나로 뭉치는 전개를 갖는다. 여기에 곽정환 감독은 어떻게 등장인물의 액션 스타일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에는 현대 메디컬 드라마를 연상시키는 수술 장면과 함께 몇몇 신에서는 ‘영화적’이라고 밖에 말 할 수 없는 독특한 영상들이 등장한다.
구한말이 모든 것이 하이브리드 된 시대이듯, 와 은 사극이 과거의 이야기를 다룬다는 전제 하에 모든 것을 하이브리드 시킬 수 있는 장르로 뻗어나갈지도 모른다. 2000년대의 시작과 함께 이병훈 감독은 MBC 으로 기존의 왕실 중심 사극 대신 한 분야의 전문가를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그들이 성공하기까지의 과정을 마치 ‘미션’처럼 묘사해 사극의 새로운 조류를 형성했다. 은 여기에 정치 현실에 대한 고민을 더하는 동시에 심장이 펄떡펄떡 뛰는 청춘의 이야기를 담아 사극을 보다 깊으면서도 활기찬 장르로 만들었다. 그리고 와 은 기존 사극에서 좀처럼 다루지 않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로 사극 바깥에 있던 스타일을 사극 안으로 끌어들인다. 와 이 내용과 비주얼 양쪽에서 그들의 비전을 관철시킬 수 있다면, 우리는 사극과 현대극의 경계가 무의미해지는 순간을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영웅은 그들이 살던 세상으로 돌아갔다. 여왕은 강대하고 평화로운 신국을 꿈꾸다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여전히 세상에 남겨진 사람들이 세상과 부딪치기 시작했다. 포기하지 않고 전진하는 그들의 꿈은, 그리고 과거의 이야기에서 현대를 관통하려는 사극의 욕망은 실현될 수 있을까.
글. 강명석 two@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우릴 구할 사람은 우리 밖에 없는 것이다. 하여 우리가 포기하면 우린 죽는다.” 부당한 권력은 그들을 핍박한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권력의 회유는 달콤하고, 그들에 맞서는 삶은 피로하다. 포기하라. 포기하면 모든 것이 편하다. 허나, 포기는 죽음에 이르는 가장 빠른 길이다. 2009년의 사극 MBC 은 그렇게 김유신(엄태웅)의 입을 통해 화두를 던졌다. 이길 수 없는 적이 앞에 있다. 당신은 포기할 것인가, 싸울 것인가.
그리고 그 고민은 황실이 아닌 저자거리에서 계속된다. 새로운 10년을 여는 첫 사극 KBS 와 SBS 은 앞으로의 10년에 대한 어떤 지표가 될 수도 있는 가능성을 담은 사극들이다. 두 작품은 2009년 드라마 전체의 상징과도 같았던 이 가진 고민을 이어가지만, 동시에 새로운 방식으로 그 고민에 접근하고, 또 다른 사극의 방향을 제시할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에서 정치가들이 꿈꾼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열망은 와 에서 세상의 장벽을 뛰어넘고 싶은 욕망으로 꿈틀대는 저자거리 백성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현실에 맨몸으로 맞서는 사람들의 이야기
에서 노비 태하(오지호)는 신분을 복권해 자신이 모시던 소현세자가 품었던 부국강병의 꿈을 이어가려 한다. 의 황정(박용우)은 구한말 조선에서 서양의가 되고픈 백정이다. 거시에서 미시로, 왕의 고민에서 노비와 백정의 고민으로. 태하와 황정에게 미실 같은 절대적인 적은 없다. 대하를 쫓는 노비 사냥꾼 대길(장혁)은 그 자신도 세상의 냉대를 견뎌야 하는 몰락한 양반이고, 황정과 의술과 사랑에서 라이벌이 될 양반 출신 의사 도양(연정훈)은 미실 같은 권력자가 아니다. 왕은 어떤 세상을 만들어갈지에 대해 고민한다. 하지만 노비와 백정은 보이지 않지만 철옹성처럼 단단한 세상의 벽 앞에서 어떻게든 살기 위해 몸부림친다.
“그 시절에는 병을 앓던 여성이 의원의 치료를 받고 살아났다가 남자가 자신의 몸에 손을 댔다는 수치심에 목숨을 끊는 일도 있었다.” 의 이기원 작가가 을 구상하며 떠올린 그 시절의 이야기는 이 인간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단서가 될 것이다. “모든 것이 하이브리드 된 시대였던 구한말”에 백정은, 또는 석란(한혜진)같은 여자는 제도적으로 의술을 배울 수 있는 길을 얻었다. 하지만 백정에게는 의술조차 행하지 않는 사회적 시선은 여전하다. 그 때 백정이 의사가 되고 싶어 한다면 그는 어떻게 세상을 헤쳐 나갈 것인가. 또한 노비 신분에 소현세자의 정치적 비전을 잇겠다는 꿈을 가진 인간이 있다면, 그는 어떻게 세상에 육중한 도(刀)를 날릴 수 있을 것인가? 에서 이미 한 시대를 사는 각자 다른 신분의 세 남녀의 이야기를 보여줬던 곽정환 감독은 를 이렇게 정의한다. “시대의 모순에 저항하고 싸워나가려 하는 조선 상놈들의 맨 몸뚱이 이야기.”
그래서 과 가 몸을 적나라하게 다룬다는 점은 흥미롭다. 화랑들을 중심으로 한 액션이 있었지만, 은 기본적으로 황실 안에서, 몸보다는 머리로 정치 철학에 대해 고민했다. 하지만 저자 거리의 노비와 백정은 끊임없이 몸을 움직이고, 몸짓으로 대화한다. 는 “천쪼가리 하나 걸친 남자들의 육체성”을 부각하고, 은 현대의 의학 드라마 이상으로 디테일한 수술 장면들이 등장한다. 갈라진 몸에서 피가 나오고, 몸에서 적출된 장기가 그대로 보인다. 그것은 드라마의 볼거리이기도 하지만, 언제나 몸으로 부딪치는 궁 밖 사람들의 현실이기도 하다. 에서 황정은 참수 당한 자신의 동료를 직접 해부하며 덜덜 떨어야 한다. 이 지독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대체 무엇을 해야 하는가. 2010년을 말하는 조선시대 그 어디쯤
2008년의 SBS 와 KBS 는 난세에 빠진 백성들을 도와주는 영웅을 그렸다. 2009년의 은 난세를 평화롭게 만들기 위한 통치 철학을 고민했다. 그리고 2010년의 와 은 세상의 보이지 않는 벽을 자각한 난세의 노비와 백정의 몸짓을 보여준다. 곽정환 감독이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을 궁극적으로 그려내고자 한다”고 말하고, 의 홍창욱 감독이 SBS 에서 결코 공정하지 않은 현대의 법 제도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은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2010년의 사극은 더 이상 역사의 기록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현실에 대해 보다 거침없이 말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래서 와 은 한국 사극의 복원이자 새로운 변화의 시작이 될지도 모른다. 와 은 왕과 정치 권력이 아닌 그 시절 민초의 인생역정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국 사극에서 오랫동안 등장하지 않았던 궁 바깥의 이야기를 다시 다룬다. 그러나 두 작품의 스타일은 과거의 SBS 나 SBS 같은 과거의 사극과는 다르다. 와 의 맥은 오히려 영화와 ‘미드’에 닿아있다. 영화 등의 시나리오를 쓴 천성일 작가가 집필한 대본은 특정 인물 중심이었던 기존 사극과는 달리 오히려 여러 인물의 이야기를 조각조각 모아서 하나로 뭉치는 전개를 갖는다. 여기에 곽정환 감독은 어떻게 등장인물의 액션 스타일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에는 현대 메디컬 드라마를 연상시키는 수술 장면과 함께 몇몇 신에서는 ‘영화적’이라고 밖에 말 할 수 없는 독특한 영상들이 등장한다.
구한말이 모든 것이 하이브리드 된 시대이듯, 와 은 사극이 과거의 이야기를 다룬다는 전제 하에 모든 것을 하이브리드 시킬 수 있는 장르로 뻗어나갈지도 모른다. 2000년대의 시작과 함께 이병훈 감독은 MBC 으로 기존의 왕실 중심 사극 대신 한 분야의 전문가를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그들이 성공하기까지의 과정을 마치 ‘미션’처럼 묘사해 사극의 새로운 조류를 형성했다. 은 여기에 정치 현실에 대한 고민을 더하는 동시에 심장이 펄떡펄떡 뛰는 청춘의 이야기를 담아 사극을 보다 깊으면서도 활기찬 장르로 만들었다. 그리고 와 은 기존 사극에서 좀처럼 다루지 않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로 사극 바깥에 있던 스타일을 사극 안으로 끌어들인다. 와 이 내용과 비주얼 양쪽에서 그들의 비전을 관철시킬 수 있다면, 우리는 사극과 현대극의 경계가 무의미해지는 순간을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영웅은 그들이 살던 세상으로 돌아갔다. 여왕은 강대하고 평화로운 신국을 꿈꾸다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여전히 세상에 남겨진 사람들이 세상과 부딪치기 시작했다. 포기하지 않고 전진하는 그들의 꿈은, 그리고 과거의 이야기에서 현대를 관통하려는 사극의 욕망은 실현될 수 있을까.
글. 강명석 two@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