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쩐지 현빈의 웃는 얼굴이 잘 떠오르지 않았다. 영화 에서 그가 출구 없는 가난과 괴로움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과대망상증에 걸려 정신병원에 들어갈 수밖에 없었던 남자를 연기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2004년 MBC 로부터 시작해 KBS , , MBC 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기억하는 그의 모습 대부분은 무언가에 짓눌려 있거나 어딘가에 막혀 있었다. 심지어 로맨틱 코미디 에서조차 가슴 한켠에 깊은 아픔을 지니고 있는 남자를 보여주었던 현빈은 그래서 불과 스물여덟이라는 나이에도 보기 드물게 무게감 있는 배우로 손꼽히게 되었고, 그와 대화를 나눈 시간 역시 그 묘한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하지만 예상과 다르게, 실제의 현빈은 자주 웃었다.
작년 이맘 때 촬영 현장에서 만났는데 벌써 1년이 지났다.
현빈: 요즘 너무 정신없다. 난 원래 이렇게 바쁘게 일하는 사람이 아닌데 좋은 작품을 선택하고, 또 그 다음 작품을 만나다보니 1,2년 동안 계속 풀로 달리고 있다.
“는 한마디로 밤에 술 먹고 싶어지는 기분” 사실 는 이전에 촬영을 마친 작품이다. 작년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으로 발표된 이후 1년이 지나서 다시 보니 어떤가.
현빈: 답답한 건 똑같았다. (웃음) 대신 부산 영화제 때는 집중해서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는데 이번에는 못 봤던 부분들을 더 보게 돼서 새롭긴 했다.
답답하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현빈: 영화 자체가 푹 가라앉아 있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데, 괜히 밤에 술 먹고 싶어지는 기분? (웃음)
그런데 그 가라앉은 이야기를 선택한 게 본인이다. (웃음) 일단 故 이청준의 원작 소설인 의 주인공은 30대 중후반의 남자고, 그가 처해 있는 상황 또한 굉장히 고통스럽다.
현빈: 원작보다 영화 시나리오를 먼저 봤는데, 사실 시나리오 자체도 지금 완성된 영화에 비해 주인공의 나이대가 높고 상황도 좀 달랐다. 그런데 어두운 이야기지만 웃으면서 읽었다. 웃겨서가 아니라 실소를 머금고 본 건데 그렇다면 그게 도대체 무엇 때문일까, 그 묘한 매력 때문에 감독님께 꼭 하고 싶다고 말씀드렸다. 의 만수는 미치기 전에도 눈빛이 무기력하다. 끝이 보이지 않게 고통스럽고 가난한 삶이고, 심지어 드라마틱한 사연의 소유자도 아니다. 대중성이 강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 작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도 명확하지 않았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고통의 한가운데로 뛰어든 이유가 뭔가.
현빈: 기존의 다른 작품들과 시나리오의 느낌이 달랐다. 사실 내가 만수를 잘할지 못할지는 예측할 수 없었다. 굉장히 무책임한 얘기이긴 한데 ‘저 잘할 수 있어요. 시켜주세요’가 아니었다. 잘할 자신이 없다고 감독님께 솔직히 말씀드렸고, 대신 열심히는 하겠다고 했다. 연기적인 면과 인간적인 면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 생각이 틀리진 않았던 것 같다.
배웠다는 건 이를테면 어떤 건가.
현빈: 그런 게 있다. 어느 순간 한번쯤 나를 돌이켜봐야 하는 시점, 그게 이 작품을 통해 제 때 맞춰서 온 거다. 를 찍으며 스스로에게 ‘나는 행복한가’라는 질문을 던져봤다. 행복, 나 자신, 내 직업 같은 것들에 대해. 물론 결론은 나지 않았다. (웃음) 파도 파도 끝이 없으니까. 하지만 그 2, 3개월의 시간이 나에게는 크게 작용했다. 그래서 보는 분들이 내 연기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릴지는 모르지만 그걸 떠나 개인적으로는 더 많은 걸 얻은 시간들이었다.
“어떻게 보면 사람들은 모두 미쳐 있다” 그동안 의 강국이나 의 태웅처럼 보통 사람이라면 미쳐버릴 법한 상황에서도 거의 강박적으로 이성을 통해 감정을 억누르는 캐릭터들을 주로 연기했다. 그런데 이번 작품에서는 아예 미친 사람을 연기했다. 맨 정신으로 ‘정신 줄을 놓아 버린’ 연기를 하는 경험은 어땠나.
현빈: 괴로웠다. 감독님께도 말씀드렸지만 촬영하는 내내 너무 힘들고 괴로웠다. 그런데 신기한 게, 그 고통과 괴로움 안에서 점점 재미를 찾아가게 됐다는 거다. 사실 그동안 연기했던 캐릭터들은 내 안에 있는 어떤 면을 끌어내거나 좀 더 과장해서 만들어낸 경우가 많았지만 만수라는 캐릭터는 실제의 나와 접점이 단 하나도 없었다. 상황이나 성격 등 모든 면에서. 그래서 눈빛과 동작 하나, 손가락을 까딱 움직이는 타이밍까지 감독님과 상의하며 만들어갔다. 힘든 시간을 버티게 해준 건 오히려 그런 작업이었다.
만수가 전기충격 치료를 받는 장면 같은 경우는 보는 사람에게도 그 고통이 고스란히 전달됐다. 소리를 내지 못하는 채로 목에 핏대가 서고 얼굴이 점점 벌개지는 순간이 인상적이었다.
현빈: 정신병과 관련된 영화와 책을 보고, 실제로 병이 있는 환자를 만나고 감독님으로부터 들은 정보까지 종합해 여러 가지 상상을 한 뒤 침대 위에 묶여있을 때는 온 몸에 전해지는 그 고통을 어떻게 표현할까 생각했다. 얼굴이 점점 빨개지는 건 진짜로 숨을 참아서인데, 도중에 한 번 마우스피스를 뱉어낸 것도 숨이 멈춰서 그렇다.
그렇게 공부를 해본 결과, 소위 말하는 ‘정상인’과 정신병자를 나누는 기준은 뭐라고 생각하나.
현빈: 그냥 좀 더 심한 것과 덜한 것의 차이인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사람들은 모두 미쳐 있다. 무엇에 얼마나 미쳐있느냐의 차이고, 그걸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나눠지는 거다. 그렇다면 본인이 남보다 좀 ‘많이 간다’ 싶은 면은 없나. (웃음)
현빈: 그 정도까지 가는 건 특별히 없는 것 같다. (웃음)
일중독이란 말을 들을 법도 한데.
현빈: 아니다. 요즘이 특별한 케이스다. 나는 신인 때도 믿을 구석 하나 없으면서 한 작품 끝나면 6개월씩 쉬었다. (웃음)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정리. 장경진 (three@10asia.co.kr)
사진. 채기원 (ten@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작년 이맘 때 촬영 현장에서 만났는데 벌써 1년이 지났다.
현빈: 요즘 너무 정신없다. 난 원래 이렇게 바쁘게 일하는 사람이 아닌데 좋은 작품을 선택하고, 또 그 다음 작품을 만나다보니 1,2년 동안 계속 풀로 달리고 있다.
“는 한마디로 밤에 술 먹고 싶어지는 기분” 사실 는 이전에 촬영을 마친 작품이다. 작년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으로 발표된 이후 1년이 지나서 다시 보니 어떤가.
현빈: 답답한 건 똑같았다. (웃음) 대신 부산 영화제 때는 집중해서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는데 이번에는 못 봤던 부분들을 더 보게 돼서 새롭긴 했다.
답답하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현빈: 영화 자체가 푹 가라앉아 있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데, 괜히 밤에 술 먹고 싶어지는 기분? (웃음)
그런데 그 가라앉은 이야기를 선택한 게 본인이다. (웃음) 일단 故 이청준의 원작 소설인 의 주인공은 30대 중후반의 남자고, 그가 처해 있는 상황 또한 굉장히 고통스럽다.
현빈: 원작보다 영화 시나리오를 먼저 봤는데, 사실 시나리오 자체도 지금 완성된 영화에 비해 주인공의 나이대가 높고 상황도 좀 달랐다. 그런데 어두운 이야기지만 웃으면서 읽었다. 웃겨서가 아니라 실소를 머금고 본 건데 그렇다면 그게 도대체 무엇 때문일까, 그 묘한 매력 때문에 감독님께 꼭 하고 싶다고 말씀드렸다. 의 만수는 미치기 전에도 눈빛이 무기력하다. 끝이 보이지 않게 고통스럽고 가난한 삶이고, 심지어 드라마틱한 사연의 소유자도 아니다. 대중성이 강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 작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도 명확하지 않았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고통의 한가운데로 뛰어든 이유가 뭔가.
현빈: 기존의 다른 작품들과 시나리오의 느낌이 달랐다. 사실 내가 만수를 잘할지 못할지는 예측할 수 없었다. 굉장히 무책임한 얘기이긴 한데 ‘저 잘할 수 있어요. 시켜주세요’가 아니었다. 잘할 자신이 없다고 감독님께 솔직히 말씀드렸고, 대신 열심히는 하겠다고 했다. 연기적인 면과 인간적인 면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 생각이 틀리진 않았던 것 같다.
배웠다는 건 이를테면 어떤 건가.
현빈: 그런 게 있다. 어느 순간 한번쯤 나를 돌이켜봐야 하는 시점, 그게 이 작품을 통해 제 때 맞춰서 온 거다. 를 찍으며 스스로에게 ‘나는 행복한가’라는 질문을 던져봤다. 행복, 나 자신, 내 직업 같은 것들에 대해. 물론 결론은 나지 않았다. (웃음) 파도 파도 끝이 없으니까. 하지만 그 2, 3개월의 시간이 나에게는 크게 작용했다. 그래서 보는 분들이 내 연기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릴지는 모르지만 그걸 떠나 개인적으로는 더 많은 걸 얻은 시간들이었다.
“어떻게 보면 사람들은 모두 미쳐 있다” 그동안 의 강국이나 의 태웅처럼 보통 사람이라면 미쳐버릴 법한 상황에서도 거의 강박적으로 이성을 통해 감정을 억누르는 캐릭터들을 주로 연기했다. 그런데 이번 작품에서는 아예 미친 사람을 연기했다. 맨 정신으로 ‘정신 줄을 놓아 버린’ 연기를 하는 경험은 어땠나.
현빈: 괴로웠다. 감독님께도 말씀드렸지만 촬영하는 내내 너무 힘들고 괴로웠다. 그런데 신기한 게, 그 고통과 괴로움 안에서 점점 재미를 찾아가게 됐다는 거다. 사실 그동안 연기했던 캐릭터들은 내 안에 있는 어떤 면을 끌어내거나 좀 더 과장해서 만들어낸 경우가 많았지만 만수라는 캐릭터는 실제의 나와 접점이 단 하나도 없었다. 상황이나 성격 등 모든 면에서. 그래서 눈빛과 동작 하나, 손가락을 까딱 움직이는 타이밍까지 감독님과 상의하며 만들어갔다. 힘든 시간을 버티게 해준 건 오히려 그런 작업이었다.
만수가 전기충격 치료를 받는 장면 같은 경우는 보는 사람에게도 그 고통이 고스란히 전달됐다. 소리를 내지 못하는 채로 목에 핏대가 서고 얼굴이 점점 벌개지는 순간이 인상적이었다.
현빈: 정신병과 관련된 영화와 책을 보고, 실제로 병이 있는 환자를 만나고 감독님으로부터 들은 정보까지 종합해 여러 가지 상상을 한 뒤 침대 위에 묶여있을 때는 온 몸에 전해지는 그 고통을 어떻게 표현할까 생각했다. 얼굴이 점점 빨개지는 건 진짜로 숨을 참아서인데, 도중에 한 번 마우스피스를 뱉어낸 것도 숨이 멈춰서 그렇다.
그렇게 공부를 해본 결과, 소위 말하는 ‘정상인’과 정신병자를 나누는 기준은 뭐라고 생각하나.
현빈: 그냥 좀 더 심한 것과 덜한 것의 차이인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사람들은 모두 미쳐 있다. 무엇에 얼마나 미쳐있느냐의 차이고, 그걸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나눠지는 거다. 그렇다면 본인이 남보다 좀 ‘많이 간다’ 싶은 면은 없나. (웃음)
현빈: 그 정도까지 가는 건 특별히 없는 것 같다. (웃음)
일중독이란 말을 들을 법도 한데.
현빈: 아니다. 요즘이 특별한 케이스다. 나는 신인 때도 믿을 구석 하나 없으면서 한 작품 끝나면 6개월씩 쉬었다. (웃음)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정리. 장경진 (three@10asia.co.kr)
사진. 채기원 (ten@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