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샌, 공영방송에서 해야 하는 드라마라는 게 뭔가. 사람들에게 어떤 얘길 해야 할까. 그런 걸 생각하고 있어요.” 황인뢰 감독으로부터 그런 말을 듣게 될 줄은 몰랐다. 1977년 공채 7기로 MBC에 입사한 뒤 , 등으로 대표되는 90년대를 지나 영화판에 뛰어들어 를 연출하고 를 거쳐 으로 화려하게 돌아오더니 우여곡절 끝에 를 내놓는 서른 세 해 동안 오로지 자신의 세계를 그리는 데 몰두했던 대표적인 작가주의 감독이 ‘공영방송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다니. 하지만 현역 최고참 연출가 중 한 사람인 그는 지금 한국 방송이, 특히 그의 고향인 MBC가 안팎으로 겪고 있는 상황에 대해 몹시 안타까워했다. 그리고 이는 어쩌면 그가 지나온 한국 드라마 사에서 가장 큰 공로자인 동시에 수혜자였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입사하고 얼마 안 돼서 ENG 카메라라는 게 현장에 도입됐어요. 그 전까지는 드라마가 거의 스튜디오 메이킹 위주였는데 중계차가 없어도 야외 촬영이 가능해지자 거기에 익숙하지 않은 선배 감독들이 일을 많이 맡겼죠. 그 때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었고, 으로 내 작품을 연출하게 됐을 땐 나에게 어떤 스타일이 맞는지를 찾고 싶어 온갖 장르적인 접근을 다 해봤어요. 멜로, 액션 어드벤처, 심지어 어린이 드라마로 웨스턴 장르까지 해 봤으니 그 때가 내 전성기라고 할 수 있죠. (웃음) 80년대 중후반에 ‘미니시리즈’라는 포맷이 도입됐고 단막극을 통한 TV 영화 연출도 가능했어요. 이나 같은 시리즈물도 계속 만들어졌고. 그 때가 한국 드라마의 가장 빛나던 시기가 아니었나 싶어요.”
그러나 그 오랜 시간 동안 현장에서 수많은 변화와 격동의 시간을 직접 겪어낸 연출가답게 황인뢰 감독은 과거의 영화에 매달려 현재의 가능성을 흘려보내지 않는다. “방송사들의 과당 경쟁으로 인한 70분 편성만 옛날처럼 60분으로 줄여도 여러 가지가 나아질 거예요. 과거에는 순수 방영분만 48분 정도였는데 그게 점점 늘어나다가 70분에 가까워지니까 한 회에 기승전결을 거치고도 얘기가 끝이 나질 않아요.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지루하고, 광고 수주도 어려운데 시간이 긴 만큼 제작비는 많이 들고, 그렇게 찍어도 해외 판매되면 다 편집해서 방송하죠. 지금 이 시스템은 아무한테도 도움이 안 되는 거예요.”연륜이 쌓여도 고민은 결코 줄지 않지만 어린 시절부터 자신을 연출의 길로 들어서게 한 드라마를 회상하는 황인뢰 감독의 얼굴은 문득 소년처럼 반짝인다. 국내 제작 드라마가 많지 않았던 6,70년대 주로 TBC에서 방영되었던 외화들은 그의 상상력과 감수성을 자극하고 키워낸 참고서들이었다. 디즈니에서 만든 TV 영화를 비롯해 같은 어린이용 시리즈들이 훗날 을 만들 때 영향을 끼쳤듯, 그 시절의 외화들은 그의 작품 속에 알게 모르게 녹아 있었다.
美 (Family Affair) CBS
1966~1971년
“뉴욕의 고급 맨션 꼭대기에 ‘빌 아저씨’라는 부유한 독신주의자가 살고 있는데 어느 날 갑자기 부모를 잃은 조카 세 명이 와서 같이 살게 돼요. 어린 꼬마아이 둘과 십대 소녀 하나인데, 빌 아저씨가 바쁘니까 아이들을 돌봐 주는 털북숭이 집사를 하나 고용하죠. 그래서 이 남자들이 애들을 양육하면서 벌어지는 소동이나 사춘기라던가 하는 사건들을 맞이하며 생기는 에피소드를 그렸는데 공간적인 배경도 흥미롭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과정도 굉장히 재미있어요. 판권을 사서라도 한국 상황에 맞춰 다시 만들어 보고 싶은 작품이었는데 워낙 옛날 시리즈다 보니 미국에서도 제대로 된 서류나 기록이 남아있질 않아서 아쉬웠어요.”
美 (The Green Hornet) ABC
1966~1967년
“주인공은 유력 언론사의 기자인데, 뒤로는 엄청난 부정을 저지르면서도 앞에서는 법망을 교묘하게 빠져나가는 정치인이나 사업가들의 비리를 캐내서 신문에 고발하는 일을 해요. 그런데 이 사람이 남의 사무실에 몰래 침입하고 문서를 훔치거나 할 때 항상 따라다니는 보디가드가 있어요. 몸집이 작고 말 한 마디 안 하는 동양인 남자인데 주인이 위험에 처하면 나타나서 적들을 때려눕히죠. 그게 바로 브루스 리, 이소룡이었어요. 어릴 때였으니까 주인공의 정의로운 메시지 같은 건 관심 없고 그저 이소룡이 따당-하고 액션 하는 장면만 기다렸어요. 나중에 영화 에서 보고 그야말로 뻑가서, 사실은 에서도 화려한 묘기 없이 두 합 정도만 가지고도 적을 쓰러뜨리는 액션을 보여주고 싶었는데 쉽지 않더라구요. (웃음)”美 (Rich Man, Poor Man) ABC
1976년
“어윈 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시리즈였는데 미국에 이민 온 가난한 동유럽 계 가족의 두 형제 이야기에요. 공부를 잘 해서 성공하고 정계에 뛰어들지만 점점 타락하게 되는 형과, 젊은 시절 형의 애인을 위험에서 구하려고 사람을 때려 감옥에 갔다가 밑바닥 인생을 떠도는 동생의 엇갈린 인생역정을 그린 작품으로 이 드라마가 방송된 뒤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티브를 쓰거나 제목에 ‘야망’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드라마들이 많이 나왔죠. 내가 라는 작품에서 해방 이후 우리나라가 현대화 되는 과정에서 훼절할 수밖에 없었던 지식인의 모습과 그 자손들의 이야기를 그리게 된 데도 이 드라마의 영향이 컸어요.”
“혼란의 시대, 코미디를 한 번 해보면 좋겠어요”
아직도 드라마를 통해 해 보고 싶은 게 더 있느냐는 우문에 황인뢰 감독은 20년 전 에피소드를 들려주었다. “88 올림픽을 앞두고 MBC 노조가 처음 생겼어요. 나는 차장 진급을 바로 앞두고 있다가 노조에 가입했는데 거기서도 연차가 제일 높은 축이었어요. 올림픽은 다가오고 분위기가 점점 흉흉해지니까 나도 불안해졌죠. 방송국 그만두면 뭐 하나. 그 땐 외주제작사도 없을 때였거든요. 파업이 길어지니까 이탈자들도 늘어나는데 노조에서 그걸 막으려고 오락 시간을 갖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거기 가서 낄낄대고 웃다 보니까 어느새 두려움이 잊히고 사라지더라구요. 그래서 혼란한 시대에는 코미디가 갖는 역할이 있다는 걸 느끼고 다음 번 할 땐 코미디를 해 봐야지,라고 맘먹고 만든 게 이에요.” 나지막이 속삭이는 듯한 특유의 말투로 한국 단막극에 길이 남을 명작의 탄생 배경을 털어놓은 그가 가볍게 말을 맺었다. “그래서 요즘은 코미디를 한 번 해 보면 좋겠다, 생각하고 있죠.” 역시 예상치 못했던 대답이다. 그러나 이 혼란한 시대에 황인뢰 감독의 코미디라니, 이보다 더 기이하면서도 기대되는 조합이 또 있을까. 나이 들어도 늙지 않고 머무름 없이 나아가는 그의 드라마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사진. 채기원 (ten@10asia.co.kr)
“입사하고 얼마 안 돼서 ENG 카메라라는 게 현장에 도입됐어요. 그 전까지는 드라마가 거의 스튜디오 메이킹 위주였는데 중계차가 없어도 야외 촬영이 가능해지자 거기에 익숙하지 않은 선배 감독들이 일을 많이 맡겼죠. 그 때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었고, 으로 내 작품을 연출하게 됐을 땐 나에게 어떤 스타일이 맞는지를 찾고 싶어 온갖 장르적인 접근을 다 해봤어요. 멜로, 액션 어드벤처, 심지어 어린이 드라마로 웨스턴 장르까지 해 봤으니 그 때가 내 전성기라고 할 수 있죠. (웃음) 80년대 중후반에 ‘미니시리즈’라는 포맷이 도입됐고 단막극을 통한 TV 영화 연출도 가능했어요. 이나 같은 시리즈물도 계속 만들어졌고. 그 때가 한국 드라마의 가장 빛나던 시기가 아니었나 싶어요.”
그러나 그 오랜 시간 동안 현장에서 수많은 변화와 격동의 시간을 직접 겪어낸 연출가답게 황인뢰 감독은 과거의 영화에 매달려 현재의 가능성을 흘려보내지 않는다. “방송사들의 과당 경쟁으로 인한 70분 편성만 옛날처럼 60분으로 줄여도 여러 가지가 나아질 거예요. 과거에는 순수 방영분만 48분 정도였는데 그게 점점 늘어나다가 70분에 가까워지니까 한 회에 기승전결을 거치고도 얘기가 끝이 나질 않아요.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지루하고, 광고 수주도 어려운데 시간이 긴 만큼 제작비는 많이 들고, 그렇게 찍어도 해외 판매되면 다 편집해서 방송하죠. 지금 이 시스템은 아무한테도 도움이 안 되는 거예요.”연륜이 쌓여도 고민은 결코 줄지 않지만 어린 시절부터 자신을 연출의 길로 들어서게 한 드라마를 회상하는 황인뢰 감독의 얼굴은 문득 소년처럼 반짝인다. 국내 제작 드라마가 많지 않았던 6,70년대 주로 TBC에서 방영되었던 외화들은 그의 상상력과 감수성을 자극하고 키워낸 참고서들이었다. 디즈니에서 만든 TV 영화를 비롯해 같은 어린이용 시리즈들이 훗날 을 만들 때 영향을 끼쳤듯, 그 시절의 외화들은 그의 작품 속에 알게 모르게 녹아 있었다.
美 (Family Affair) CBS
1966~1971년
“뉴욕의 고급 맨션 꼭대기에 ‘빌 아저씨’라는 부유한 독신주의자가 살고 있는데 어느 날 갑자기 부모를 잃은 조카 세 명이 와서 같이 살게 돼요. 어린 꼬마아이 둘과 십대 소녀 하나인데, 빌 아저씨가 바쁘니까 아이들을 돌봐 주는 털북숭이 집사를 하나 고용하죠. 그래서 이 남자들이 애들을 양육하면서 벌어지는 소동이나 사춘기라던가 하는 사건들을 맞이하며 생기는 에피소드를 그렸는데 공간적인 배경도 흥미롭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과정도 굉장히 재미있어요. 판권을 사서라도 한국 상황에 맞춰 다시 만들어 보고 싶은 작품이었는데 워낙 옛날 시리즈다 보니 미국에서도 제대로 된 서류나 기록이 남아있질 않아서 아쉬웠어요.”
美 (The Green Hornet) ABC
1966~1967년
“주인공은 유력 언론사의 기자인데, 뒤로는 엄청난 부정을 저지르면서도 앞에서는 법망을 교묘하게 빠져나가는 정치인이나 사업가들의 비리를 캐내서 신문에 고발하는 일을 해요. 그런데 이 사람이 남의 사무실에 몰래 침입하고 문서를 훔치거나 할 때 항상 따라다니는 보디가드가 있어요. 몸집이 작고 말 한 마디 안 하는 동양인 남자인데 주인이 위험에 처하면 나타나서 적들을 때려눕히죠. 그게 바로 브루스 리, 이소룡이었어요. 어릴 때였으니까 주인공의 정의로운 메시지 같은 건 관심 없고 그저 이소룡이 따당-하고 액션 하는 장면만 기다렸어요. 나중에 영화 에서 보고 그야말로 뻑가서, 사실은 에서도 화려한 묘기 없이 두 합 정도만 가지고도 적을 쓰러뜨리는 액션을 보여주고 싶었는데 쉽지 않더라구요. (웃음)”美 (Rich Man, Poor Man) ABC
1976년
“어윈 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시리즈였는데 미국에 이민 온 가난한 동유럽 계 가족의 두 형제 이야기에요. 공부를 잘 해서 성공하고 정계에 뛰어들지만 점점 타락하게 되는 형과, 젊은 시절 형의 애인을 위험에서 구하려고 사람을 때려 감옥에 갔다가 밑바닥 인생을 떠도는 동생의 엇갈린 인생역정을 그린 작품으로 이 드라마가 방송된 뒤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티브를 쓰거나 제목에 ‘야망’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드라마들이 많이 나왔죠. 내가 라는 작품에서 해방 이후 우리나라가 현대화 되는 과정에서 훼절할 수밖에 없었던 지식인의 모습과 그 자손들의 이야기를 그리게 된 데도 이 드라마의 영향이 컸어요.”
“혼란의 시대, 코미디를 한 번 해보면 좋겠어요”
아직도 드라마를 통해 해 보고 싶은 게 더 있느냐는 우문에 황인뢰 감독은 20년 전 에피소드를 들려주었다. “88 올림픽을 앞두고 MBC 노조가 처음 생겼어요. 나는 차장 진급을 바로 앞두고 있다가 노조에 가입했는데 거기서도 연차가 제일 높은 축이었어요. 올림픽은 다가오고 분위기가 점점 흉흉해지니까 나도 불안해졌죠. 방송국 그만두면 뭐 하나. 그 땐 외주제작사도 없을 때였거든요. 파업이 길어지니까 이탈자들도 늘어나는데 노조에서 그걸 막으려고 오락 시간을 갖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거기 가서 낄낄대고 웃다 보니까 어느새 두려움이 잊히고 사라지더라구요. 그래서 혼란한 시대에는 코미디가 갖는 역할이 있다는 걸 느끼고 다음 번 할 땐 코미디를 해 봐야지,라고 맘먹고 만든 게 이에요.” 나지막이 속삭이는 듯한 특유의 말투로 한국 단막극에 길이 남을 명작의 탄생 배경을 털어놓은 그가 가볍게 말을 맺었다. “그래서 요즘은 코미디를 한 번 해 보면 좋겠다, 생각하고 있죠.” 역시 예상치 못했던 대답이다. 그러나 이 혼란한 시대에 황인뢰 감독의 코미디라니, 이보다 더 기이하면서도 기대되는 조합이 또 있을까. 나이 들어도 늙지 않고 머무름 없이 나아가는 그의 드라마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사진. 채기원 (t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