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이 종영한지 1주일이 지났다. 지난 10주 동안 퀸즈푸드 식구들은 우리 가족, 이웃처럼 정들었지만 백수 남편 온달수(오지호)를 취업시키기 위한 천지애의 고군분투 못지않게 은 온갖 어려움과 함께 만들어진 드라마였다. SBS 에 이어 두 번째 미니시리즈를 준비하던 박지은 작가는 처음에 이 작품을 장교와 사병의 가족들이 모여 살고 엄격한 위계질서가 지배하는 군인 아파트 이야기로 기획했지만 민감한 소재와 현실적인 한계로 배경을 바꿀 수밖에 없었다. 이미 결혼한 세 부부의 이야기가 미니시리즈에 어울리겠냐는 의문이나, ‘착하지 않은’ 여주인공을 과연 누가 하려 하겠냐는 우려도 있었다. 하지만 박지은 작가는 “재미있으면 되지 않느냐”와 “그래도 (천지애가) 밉진 않지 않느냐” 라며 버텨 을 완성해 냈다.
“누구나 헤어진 첫사랑이 잘 나가는 거 보면 배 아파 하고 ‘저 남자와 결혼할 걸 그랬다’며 후회하는데 그게 남편을 사랑하지 않아서 그런 건 아니잖아요. 남자들이 길에서 예쁜 여자 보면 눈 돌아가는 것처럼 여자들도 그래요. (웃음) 사람의 감정이라는 게 복잡한 건데, 결혼이라는 울타리 안에 매여 살아가다 보니 그 선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것뿐이죠.” 세 부부의 얽히고설킨 관계가 자칫 ‘막장’으로 치닫지 않고 각자의 감정들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던 작가의 내공은 이어진 한 마디에서 그 바탕을 짐작하게 한다. “저도 그렇고 주변 친구들도 그렇고 우리 애 유아원 엄마들도 그렇거든요.” 가냘픈 외모와는 달리 그는 벌써 다섯 살짜리 딸을 둔 엄마다.
어릴 때부터 드라마를 너무 좋아한 나머지 “앉은뱅이 밥상에서 밥을 먹다가 TV에 빠져서 상을 엎는 바람에 마당으로 쫓겨나 손들고 벌을 섰고” 고등학교 3학년 때는 “MBC 마지막 회를 보기 위해 5교시부터 꾀병을 부려 기어코 야간자율학습을 빠지고 집에 돌아왔던” 소녀의 꿈은 물론 아주 오래 전부터 방송작가였다. ‘당연하게’ 국문과에 들어가고 졸업 전부터 교양 프로그램 구성작가로 방송 일을 시작한 뒤 10여 년 동안 시트콤과 단막극을 거친 끝에 올 상반기 가장 인상적이었던 드라마를 탄생시킨 박지은 작가가 특별히 꼽은 세 편의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MBC
1991년, 극본 김수현, 연출 박철“어릴 때도 재밌게 봤는데 마침 하희라 씨가 연기한 주인공 이름이 ‘박지은’이어서 더 기억이 나요. 얼마 전 도서관에 갔다가 대본집이 있어서 잠깐 집어 들었는데 놓을 수가 없더라구요. 제가 작가가 되어 보니 대사 한 줄 쓰는 게 어렵고, 시간 안에 끝내는 것조차 어려운데 이 작품은 방송극 대본이 그 자체로 문학처럼 읽힐 수 있고 감동을 준다는 걸 새삼 느꼈어요. 그리고 그렇게 오래된 작품인데 극 중에서 김혜자 씨가 연기한 엄마가 자식들에게 ‘애 안 봐주겠다’고 선언하는 내용이 있어요. 그 때만 해도 친정 엄마가 아이 봐 주는 게 당연한 거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익숙한 가족극 안에서도 그렇게 한 발짝씩 앞서 가는 생각이 낡지 않은 이야기로 시청자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日 후지 TV
2002년
“연애나 일이나 취미나, 뭔가에 한 번 빠지면 정말 푸욱 빠지는 성격이에요. 을 보기 전까지는 사실 기무라 타쿠야가 왜 그렇게 인기 있는지 몰랐는데 이걸 보고 완전히 풍덩 빠져서 그 뒤로 두 달 동안 그의 모든 출연작을 다 봤어요. (웃음) 기무라 타쿠야가 연기한 주인공은 악인인데도 너무 매력 있어서 어느 순간 이 ‘나쁜 남자’에게 동화되고 있는 나 자신을 느끼게 됐죠. 비극적인 엔딩도 잊을 수 없어요. 기본적으로는 코미디를 좋아하는데 이 작품이나 KBS 나 SBS 처럼 처절한 비극으로 끝나는 드라마들은 유독 마음에 남아요.”
MBC
2003년, 극본 민효정 구선경, 연출 김사현
“당시 한창 연애를 하던 남자와 헤어진 상황이었는데 그래서 더 가슴에 와 닿았던 것 같아요. 요즘에는 청춘물이 별로 없는데 는 칙칙하지 않으면서도 요즘 세상과 현실에 발 딛은 청춘물이랄까, ‘동거’라는 아이템이 화제가 되었지만 그보다는 두 주인공의 캐릭터나 맑고 담백한 감정들이 느껴지는 디테일이 좋았어요. 얼마나 좋아했냐면 방송 한 시간 전부터 대기하고 기다리다가 봤고, 최근에도 한 번 다시 봤어요. 아, 그리고 그 때 헤어졌던 애인과는 두 달 뒤에 다시 만나서 그 다음 해에 결혼했어요. (웃음)”“오여사가 매준 붉은 색 넥타이, 방송되지 못해서 아쉬워요”
“다행히 고동선 감독이 드라마의 기조와 코드를 너무나 잘 이해해줬고 연기자들도 정말 최고의 모습을 보여줘서 매번 내가 썼던 것 이상으로 재미있게 나왔다”고 이번 작업을 즐겁게 회상하는 박지은 작가는 으로 가장 주목받는 드라마 작가의 대열에 들어섰지만 그의 일상은 크게 변한 게 없다. “어떤 작가들은 작품 끝나면 멋있게 세계 여행도 가고 그런다는데, 저희 애가 밤에 저 없으면 잠을 못자서요. 유치원도 보내야 되고. (웃음)” 달수가 회사에서 자리를 잡고 나서도 자신이 디자인한 가방을 팔러 다니고 장을 보던 천지애와 흡사한 일상이다.
그리고 마지막 회, 평생 몸 담았던 회사에서 나오게 되며 자살을 생각하던 김 이사(김창완)와 오여사(나영희) 부부의 비하인드 스토리, 분량이 넘쳐 편집된 장면에 대해 그가 살짝 귀띔했다. “다음날 아침, 마지막으로 출근하는 김 이사에게 오여사가 화려한 붉은 색 넥타이를 매줘요. 밤새 울고 난 얼굴인데 웃으면서, 당신이 30년간 출근했던 직장에 나가는 마지막 날인데 레드카펫은 못 깔아줄 망정 이런 넥타이를 못 맬 이유가 뭐가 있냐고 말하는 장면이 시간 관계로 아쉽게 방송되지 못했어요. 현장에서도 정말 반응이 좋았다던데, 무삭제판 DVD가 나온다면 그런 장면들을 꼭 다시 넣고 싶어요.”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사진. 채기원 (ten@10asia.co.kr)
“누구나 헤어진 첫사랑이 잘 나가는 거 보면 배 아파 하고 ‘저 남자와 결혼할 걸 그랬다’며 후회하는데 그게 남편을 사랑하지 않아서 그런 건 아니잖아요. 남자들이 길에서 예쁜 여자 보면 눈 돌아가는 것처럼 여자들도 그래요. (웃음) 사람의 감정이라는 게 복잡한 건데, 결혼이라는 울타리 안에 매여 살아가다 보니 그 선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것뿐이죠.” 세 부부의 얽히고설킨 관계가 자칫 ‘막장’으로 치닫지 않고 각자의 감정들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던 작가의 내공은 이어진 한 마디에서 그 바탕을 짐작하게 한다. “저도 그렇고 주변 친구들도 그렇고 우리 애 유아원 엄마들도 그렇거든요.” 가냘픈 외모와는 달리 그는 벌써 다섯 살짜리 딸을 둔 엄마다.
어릴 때부터 드라마를 너무 좋아한 나머지 “앉은뱅이 밥상에서 밥을 먹다가 TV에 빠져서 상을 엎는 바람에 마당으로 쫓겨나 손들고 벌을 섰고” 고등학교 3학년 때는 “MBC 마지막 회를 보기 위해 5교시부터 꾀병을 부려 기어코 야간자율학습을 빠지고 집에 돌아왔던” 소녀의 꿈은 물론 아주 오래 전부터 방송작가였다. ‘당연하게’ 국문과에 들어가고 졸업 전부터 교양 프로그램 구성작가로 방송 일을 시작한 뒤 10여 년 동안 시트콤과 단막극을 거친 끝에 올 상반기 가장 인상적이었던 드라마를 탄생시킨 박지은 작가가 특별히 꼽은 세 편의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MBC
1991년, 극본 김수현, 연출 박철“어릴 때도 재밌게 봤는데 마침 하희라 씨가 연기한 주인공 이름이 ‘박지은’이어서 더 기억이 나요. 얼마 전 도서관에 갔다가 대본집이 있어서 잠깐 집어 들었는데 놓을 수가 없더라구요. 제가 작가가 되어 보니 대사 한 줄 쓰는 게 어렵고, 시간 안에 끝내는 것조차 어려운데 이 작품은 방송극 대본이 그 자체로 문학처럼 읽힐 수 있고 감동을 준다는 걸 새삼 느꼈어요. 그리고 그렇게 오래된 작품인데 극 중에서 김혜자 씨가 연기한 엄마가 자식들에게 ‘애 안 봐주겠다’고 선언하는 내용이 있어요. 그 때만 해도 친정 엄마가 아이 봐 주는 게 당연한 거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익숙한 가족극 안에서도 그렇게 한 발짝씩 앞서 가는 생각이 낡지 않은 이야기로 시청자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日 후지 TV
2002년
“연애나 일이나 취미나, 뭔가에 한 번 빠지면 정말 푸욱 빠지는 성격이에요. 을 보기 전까지는 사실 기무라 타쿠야가 왜 그렇게 인기 있는지 몰랐는데 이걸 보고 완전히 풍덩 빠져서 그 뒤로 두 달 동안 그의 모든 출연작을 다 봤어요. (웃음) 기무라 타쿠야가 연기한 주인공은 악인인데도 너무 매력 있어서 어느 순간 이 ‘나쁜 남자’에게 동화되고 있는 나 자신을 느끼게 됐죠. 비극적인 엔딩도 잊을 수 없어요. 기본적으로는 코미디를 좋아하는데 이 작품이나 KBS 나 SBS 처럼 처절한 비극으로 끝나는 드라마들은 유독 마음에 남아요.”
MBC
2003년, 극본 민효정 구선경, 연출 김사현
“당시 한창 연애를 하던 남자와 헤어진 상황이었는데 그래서 더 가슴에 와 닿았던 것 같아요. 요즘에는 청춘물이 별로 없는데 는 칙칙하지 않으면서도 요즘 세상과 현실에 발 딛은 청춘물이랄까, ‘동거’라는 아이템이 화제가 되었지만 그보다는 두 주인공의 캐릭터나 맑고 담백한 감정들이 느껴지는 디테일이 좋았어요. 얼마나 좋아했냐면 방송 한 시간 전부터 대기하고 기다리다가 봤고, 최근에도 한 번 다시 봤어요. 아, 그리고 그 때 헤어졌던 애인과는 두 달 뒤에 다시 만나서 그 다음 해에 결혼했어요. (웃음)”“오여사가 매준 붉은 색 넥타이, 방송되지 못해서 아쉬워요”
“다행히 고동선 감독이 드라마의 기조와 코드를 너무나 잘 이해해줬고 연기자들도 정말 최고의 모습을 보여줘서 매번 내가 썼던 것 이상으로 재미있게 나왔다”고 이번 작업을 즐겁게 회상하는 박지은 작가는 으로 가장 주목받는 드라마 작가의 대열에 들어섰지만 그의 일상은 크게 변한 게 없다. “어떤 작가들은 작품 끝나면 멋있게 세계 여행도 가고 그런다는데, 저희 애가 밤에 저 없으면 잠을 못자서요. 유치원도 보내야 되고. (웃음)” 달수가 회사에서 자리를 잡고 나서도 자신이 디자인한 가방을 팔러 다니고 장을 보던 천지애와 흡사한 일상이다.
그리고 마지막 회, 평생 몸 담았던 회사에서 나오게 되며 자살을 생각하던 김 이사(김창완)와 오여사(나영희) 부부의 비하인드 스토리, 분량이 넘쳐 편집된 장면에 대해 그가 살짝 귀띔했다. “다음날 아침, 마지막으로 출근하는 김 이사에게 오여사가 화려한 붉은 색 넥타이를 매줘요. 밤새 울고 난 얼굴인데 웃으면서, 당신이 30년간 출근했던 직장에 나가는 마지막 날인데 레드카펫은 못 깔아줄 망정 이런 넥타이를 못 맬 이유가 뭐가 있냐고 말하는 장면이 시간 관계로 아쉽게 방송되지 못했어요. 현장에서도 정말 반응이 좋았다던데, 무삭제판 DVD가 나온다면 그런 장면들을 꼭 다시 넣고 싶어요.”
글. 최지은 (five@10asia.co.kr)
사진. 채기원 (ten@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