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바나와 시애틀 그런지라는 흐름에 관심 있는 음악 팬이라면 ‘Man in the box’를 알 것이다. 너바나와 펄 잼, 사운드 가든 등 동시대 시애틀 록밴드들의 곡 중 가장 무거우면서도 어두운 분위기의 곡 중 하나인데 이것을 연주한 팀은 앨리스 인 체인스다. 쇠사슬에 묶인 앨리스라니 듣지 않아도 그들의 음악 분위기를 느낄 수 있지 않은가? 이런 식으로 자신의 욕망이나 추구하는 바처럼 아직 언어로 번역되지 않은 감정의 덩어리를 남에게 설명할 때, 모두가 알만한 문학 속 주인공을 빌려오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소통 방식이다.
아트스페이스 스푼에서 진행 중인 고선경의 개인전 ‘Alice in Nostalgia’展 역시 앨리스라는 동화 속 인물을 빌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내는 전시다. 사실 우리는 ‘Alice in Nostalgia’ 연작을 비롯한 작가의 작품에 동일하게 등장하는 소녀가 동화 속 앨리스라고 확신할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그녀를 ‘향수에 빠진 앨리스’라 설정할 때 그림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감정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사실주의적인 선명한 톤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초현실적인 느낌이 부각된 ‘보고 싶었어’ 연작과 ‘Not your Marilyn but our Norma Jean’의 배경 안에서 소녀는 쉽게 규정하기 어려운 표정을 짓고 있다. 하지만 제목이 붙는 것만으로도 그림 속 상황은 이상한 나라 안에서 방황하는 소녀가 느끼는 당황스러움과 원래 있던 세계에 대한 그리움으로 치환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적 흥미로움은 감성적 교감에 이른다. 감상은 결국 소통이고, 소통에 효과적인 방식은 감상에도 효과적이다.
1998년│작가 료우지 미나가와
의 작가 루이스 캐럴은 자신의 작품이 실사화 되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 믿진 않았어도 상상은 했을지 모른다. 하지만 적어도 자신의 작품을 모티브로 와 같은 독특한 SF 만화가 등장하는 것만큼은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에 등장하는 백토끼와 퀸, 의 자바워크와 기사, 그리고 앨리스는 이 만화 속에서 외계 운석을 통해 힘을 얻은 액션히어로로 재탄생한다. 하지만 괴물 자바워크처럼 소설 속 존재들의 성격이 액션캐릭터의 특성과 절묘하게 겹쳐지는 지점에서 이 만화 역시 원작의 힘에 기대 캐릭터를 설명한다.
1988년│감독 석래명
앨리스가 방황, 혹은 성장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캐릭터라면 역시 우유부단함은 햄릿, 저돌적인 용기는 돈키호테다. 거칠고 반항적인 80년대 하이틴 영화가 두 주인공 이름을 동기(최재성), 호태(박중훈)로 설정해 돈키호테의 이미지를 가져 온 건 당연한 선택일지 모른다. 미래형 자동차 개발이라는 조금은 무모한 과제에 도전하는 두 젊은이의 모습을 그린 영화로 최재성은 오혜성 때와 같은 반항적인 이미지로, 박중훈은 언변 좋고 넉살 좋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시리즈를 연출했던 감독의 작품답게 이들은 어떤 갈등에 부딪힐 정면돌파한다. 가끔 나가떨어지기도 하지만 그래도 돌진한다. 왜냐면 그들은 풍차를 향해 뛰어드는 돈키호테니까.
글. 위근우 (eight@10asia.co.kr)
아트스페이스 스푼에서 진행 중인 고선경의 개인전 ‘Alice in Nostalgia’展 역시 앨리스라는 동화 속 인물을 빌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내는 전시다. 사실 우리는 ‘Alice in Nostalgia’ 연작을 비롯한 작가의 작품에 동일하게 등장하는 소녀가 동화 속 앨리스라고 확신할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그녀를 ‘향수에 빠진 앨리스’라 설정할 때 그림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감정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사실주의적인 선명한 톤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초현실적인 느낌이 부각된 ‘보고 싶었어’ 연작과 ‘Not your Marilyn but our Norma Jean’의 배경 안에서 소녀는 쉽게 규정하기 어려운 표정을 짓고 있다. 하지만 제목이 붙는 것만으로도 그림 속 상황은 이상한 나라 안에서 방황하는 소녀가 느끼는 당황스러움과 원래 있던 세계에 대한 그리움으로 치환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적 흥미로움은 감성적 교감에 이른다. 감상은 결국 소통이고, 소통에 효과적인 방식은 감상에도 효과적이다.
1998년│작가 료우지 미나가와
의 작가 루이스 캐럴은 자신의 작품이 실사화 되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 믿진 않았어도 상상은 했을지 모른다. 하지만 적어도 자신의 작품을 모티브로 와 같은 독특한 SF 만화가 등장하는 것만큼은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에 등장하는 백토끼와 퀸, 의 자바워크와 기사, 그리고 앨리스는 이 만화 속에서 외계 운석을 통해 힘을 얻은 액션히어로로 재탄생한다. 하지만 괴물 자바워크처럼 소설 속 존재들의 성격이 액션캐릭터의 특성과 절묘하게 겹쳐지는 지점에서 이 만화 역시 원작의 힘에 기대 캐릭터를 설명한다.
1988년│감독 석래명
앨리스가 방황, 혹은 성장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캐릭터라면 역시 우유부단함은 햄릿, 저돌적인 용기는 돈키호테다. 거칠고 반항적인 80년대 하이틴 영화가 두 주인공 이름을 동기(최재성), 호태(박중훈)로 설정해 돈키호테의 이미지를 가져 온 건 당연한 선택일지 모른다. 미래형 자동차 개발이라는 조금은 무모한 과제에 도전하는 두 젊은이의 모습을 그린 영화로 최재성은 오혜성 때와 같은 반항적인 이미지로, 박중훈은 언변 좋고 넉살 좋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시리즈를 연출했던 감독의 작품답게 이들은 어떤 갈등에 부딪힐 정면돌파한다. 가끔 나가떨어지기도 하지만 그래도 돌진한다. 왜냐면 그들은 풍차를 향해 뛰어드는 돈키호테니까.
글. 위근우 (eight@10asia.co.kr)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